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빈첸시오 신부의 여행묵상 8 - 곁에 있는 아름다움 (타지마할/인도)
작성자양상윤 쪽지 캡슐 작성일2019-12-20 조회수1,141 추천수1 반대(0) 신고

 

인도(아그라) - 곁에 있는 아름다움

 

 

타지마할은 생각보다 훨씬 화려하고 정교했다,
하얀색 대리석으로 지은 건물로 그 자체만으로도 충분히 멋지고 훌륭하지만
가까이서 보면 단순히 하얀 대리석이 아니라 건물 전체에다 상감기법으로 무늬를 새겨 넣었다.
"
상감기법"에 대해서는 모두들 한 두 번 정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너무나 잘아는 “고려 상감 청자” 때문이다.
상감기법이란 도자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어느 정도 꾿꾿하게 굳은 표면을 파내고

거기에다 다른 색의 흙을 집어 넣어 무늬를 새기는 기법으로  

그냥 그리는 것에 비하면 나름 까다로운 기법이다.
그런데 타지마할은
단단한 돌을 파내고 그곳에다 파낸 것과 똑같은 모양의 돌을 다시 끼워 맞췄는데
어떤 특별한 비법이 있었는지는 모르겠지만 다들 한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한 것이 
도자기의 상감 기법이 나름 까다로운 기법이라고는 하지만 이것을 보니 비교 조차 되지 않는다.
큰 건물 전체를 이런 식으로 장식을 했으니
화려함과 정교함이 극치란 바로 이런 것을 두고 하는 말이 아닌가 싶을 정도다.

 

 

 

 

  

 

 

 

여행을 하다 보면 화려함과 정교함에 감탄하게 되는 경우가 한 두 번이 아니다.
유럽 성당에 있는 “스테인드글라스”나 “모자이크”, 태국 왕궁의 화려함,
대만의 국립 박물관에서는  

“사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정교함의 한계가 바로 이런게 아닐까!” 싶은 작품들도 봤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화려함, 정교함에 감탄하게 되지만
조형적 완성도는 늘 그것과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더구나 조형적 완성도라는 것이 늘 상대적으로 평가되는 것도 아니다.
하얀색 웨딩드레스가 검은색 정장 보다 더 “화려하다”라고는 할 수 있을지 몰라도
더 “아름답다”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두 옷은 서로 용도가 다를 뿐 아니라
모두 나름 데로의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주위를 조금만 둘러보면
정교하지도, 화려하지도 않지만 아름다운 것들이 너무나 많이 있다.
한옥의 지붕선을 보면 가운데가 살짝 낮아 지면서 부드러운 곡선을 그리고 있다,
유럽성당들의 하늘로 높게 치솟은 고딕식 지붕이나
이슬람 사원의 꽃 봉오리 모양의 지붕처럼
한 눈에 “확”하고 들어오는 극적인 멋은 없지만
보면 볼수록 친근한 것이 아름답기로 치면 결코 뒤지지 않는다

 

 

 

 

- 전남, 운주사



고등학교 때 수학여행 이후로  근 이십 년 만에 다시 경주에 간 적이 있었다.
대학 때부터 꼭 다시 한번 가야겠다고 마음 먹었었는데 결국은 서른이 넘어서 가게 되었고
그때 나는 드디어 토암산 석굴암에 있는 불상에서 미소를 보았다,
교과서에서 “보일듯 말듯 신비하다”라고 말하던 그 미소다,
나만 그랬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고등학교 수학여행 때 “미소 짓고 있다, 미소 짓고 있다….”라고
스스로 최면을 걸고 봐도 안 보였던 그 미소가
석굴암뿐만이 아니라 경주박물관에 있는 많은 불상들에서도 보였다.
보일 듯 말 듯 한 “신비한 미소”가  

세계적으로 유명한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에만 있었던게 아니라
아주 옛날 우리나라의 이름 모를 석공이 새긴 “회색의 화강암 불상에도 있었던 것이다.
“한국의 미”란 무엇인가?라고 했을 때 “소박함”이라고들 많이 한다,
중고등학교 때 수도 없이 들었던 말이고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것을 머리가 아닌 느낌으로 깨닫기 위해서는 참 많은 시간이 필요했다.  

그보다도 먼저 소박함이 “미”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데 오랜 시간이 걸렸다.
그만큼 우리는 화려함과 정교함에 길들여져 왔는지도 모른다.

“미”를 제대로 느끼는데도 노력과 연륜이 필요하다.
하긴 이 세상에 노력과 연륜이 필요 없는 일이 얼마나 되겠는가?
“고기도 많이 먹어본 사람이 그 맛을 안다”라고 하지 않던가?
하루 세끼 꼬박 꼬박 챙겨 먹는 음식도
그 맛을 제대로 느끼려면 노력과 연륜이 필요한데
어떤 사물을 보면서 “미”를 제대로 느끼려면 노력과 연륜이 필요한게 당연한 이치 일 것이다.
하지만 꼭 이런 것들을 알아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런 것에 관심을 갖고 안 갖고는 각자 취향이고 선택일 따름이며 

이런 것을 몰라도 세상을 행복하게 살아 가는 데는 아무런 지장이 없다,
우리 나라 것이 외국 것에 비해 더 우수하다고 하는 것도 아니고
우리 것이기 때문에 꼭 알아야 한다는 것도 아니다,
물론 모르는 것보다야 낫다,
하지만 모르는 걸로 치자면 내가 모르는 “우리의 것”이 어디 한 두 가지 이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이런 말을 하는 것은
아름답고 소중한 것을 바로 옆 가까이에 두고도
미쳐 그것을 깨닫지 못하는게 안타깝기 때문이다.

 

 

- 10, 20, 30일에 업테이트됩니다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