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우리들의 묵상/체험

제목 ◆요셉 신부님의 매일 복음 묵상 - 성사보다 공동체
작성자김백봉 쪽지 캡슐 작성일2021-07-02 조회수6,486 추천수5 반대(0) 신고

 

 

 

 

2021년 나해 성 토마스 사도 축일

 

 

 

<성사보다 공동체>

 

 

 

복음: 요한 20,24-29

 

 



성모자


부티노네(Butinone) 작, (1490), 밀라노 브레라 미술관 


 

 

     오늘은 성 토마스 사도 축일입니다. 예수님께서 부활하셔서 제자들에게 나타나셨을 때 토마스 사도는 그들과 함께 있지 못했습니다. 나중에서야 돌아온 토마스는 자존심이 상했는지 예수님의 부활을 믿지 않으려 합니다. 일주일 뒤 예수님은 다시 나타나셔서 토마스의 의심을 해갈시켜 주십니다. 그러며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너는 나를 보고서야 믿느냐? 보지 않고도 믿는 사람은 행복하다.”

 

도대체 어떻게 보지 않고서 믿을 수 있을까요? 예수님께서 이렇게 말씀하신 뜻은 무엇일까요? 우리는 공동체에 머물러야 하는 중요성에 대해 생각해보지 않을 수 없습니다.

    

 

    개가 고양이를 낳았다면 믿을 수 있으시겠습니까? TV 동물농장에 개가 고양이를 낳았다? 출생 미스터리의 진실!’이란 내용이 방영된 적이 있었습니다.

    완도에서 개가 고양이를 낳았다는 이야기가 있어 찾아갔습니다. 어미 나주는 혼자만 다른 모습의 고양이처럼 생긴 새끼를 낳았습니다. 새끼를 낳을 때 주인이 보고 있었는데 30분 뒤 고양이 새끼가 한 마리 더 있었던 것입니다. 마을 사람들은 개가 낳았다고 믿어지지만, 아무리봐도 고양이인 것 같아서 전문기관에 유전자 검사까지 하게 됩니다.   

 

 

    어미는 다른 새끼들보다 작은 고양이 새끼를 더 신경 써줍니다. 어쨌건 유전자 검사는 고양이가 맞았습니다. 아마도 새끼를 낳던 그 30분 동안 어떤 고양이도 새끼를 낳았는데 밖으로 나온 자기의 새끼인 것 같아서 그것을 물어와 자기 새끼들과 함께 두었고 냄새가 같아져서 자기 새끼로 인식을 하게 된 것으로 추측합니다.

    

 

    ‘미운 오리 새끼에서 한 오리가 태어났습니다. 그러나 그 공동체에서는 좀처럼 불편해서 있을 수가 없었습니다. 왜 그럴까요? 부모가 달랐기 때문입니다. 공동체는 같은 부모에 의해서만 형성될 수 있고 다른 부모에 의해 키워졌다면 그 공동체에 머물 수 없게 됩니다.

 

 

    이처럼 한 공동체가 형성되면 반드시 그 구성원들의 부모를 그 공동체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기까지 그 사람을 성장시켜 준 부모의 모습을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모는 자녀를 양식과 가르침으로 키웠습니다. 양식으로는 부모가 창조자임을 믿게 만든 것이고, 가르침으로는 부모의 모범을 따르게 한 것입니다. 모기처럼 자기만 아는 상태로 태어나서 공동체에서 나눔을 할 줄 아는 사람으로 성장하게 된 것은 다 이 부모 때문입니다.

    그러니 각자가 공동체 안에서 행동하는 것을 보면 그 부모의 모범이 보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 부모가 이기적이었는데 자녀가 공동체에서 희생하는 사람일 수 없습니다.

 

 

    그런데 가톨릭교회에서 형성되는 공동체 안에서는 각자의 부모인 누가 보일까요? 바로 하느님이 보입니다. 성령도 보이고 그리스도도 보입니다. 하느님은 성령이라는 양식으로 우리에게 믿음을 주시고, 그리스도라는 모범으로 우리를 성장시키셨습니다. 그러니 그리스도 공동체 안에서 그리스도를 만나지 못한다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예수님께서는 토마스에게 당신 사도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당신을 볼 수 없었느냐고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가톨릭교회는 냉담 신자를 정할 때 고해성사를 3년 동안 한 번도 보지 않는 것으로 기준을 삼습니다. 그러나 이런 시각이 과연 합당할까요? 고해성사나 성체성사는 과정이지 신앙의 목적이 아닙니다.

    신앙의 목적은 그런 과정을 거쳐 성장한 이들이 맺게 될 신앙 공동체입니다. 따라서 본당에서 형성된 신앙 공동체에 참석하여 친교를 나누지 않는 사람이 진정 냉담 하는 신자입니다. 그 안에서 각자의 예수 그리스도를 만날 수 있는데 어린이처럼 성사에 참여하는 것만을 냉담의 기준으로 삼는 것은 아니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리옷 유다도 성체를 모셨습니다. 물론 토마스 사도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러면 3년 동안 냉담 신자가 아닐까요? 이미 공동체에서 떠남으로써 그들은 바로 냉담 신자가 된 것입니다.

    공동체 안에서 그들을 모이게 하신 그리스도를 만날 수 있는데 공동체를 떠나면 곧 그리스도를 떠난 것이 되기 때문입니다. 성체를 영하더라도 친교를 위한 에너지를 얻기 위한 목적이 아닌 잘못된 지향으로 미사를 할 수도 있는 일입니다.

    그래서 올바른 신앙의 목적을 안다면 토마스 사도처럼 다시 공동체에 돌아왔을 때 냉담을 푼 것이고 떠나가면 냉담 하는 것으로 여기는 것이 더 사목적으로 적당하다 여겨집니다.

    

 

    신앙 공동체의 결속력은 각자가 얼마나 많이 내어놓을 수 있느냐로 결정됩니다. 초대 교회는 가진 재산 모두를 공동체에 내어놓았습니다. 그러나 하나니아스는 재산의 반만 가져다 바쳤습니다. 아버지가 하느님이 아니란 뜻입니다. 아버지가 하느님인 사람이었다면 하느님 가족 공동체를 위해 다 바쳤어야 옳습니다. 그래서 그는 벌을 받아 죽었습니다. 좀 심한 내용 같지만 아버지가 다른 이는 신앙 공동체에 머물 수 없다는 큰 메시지를 줍니다.

 

 

    그러니 공동체는 그 공동체 안에서 자신을 키워준 아버지가 드러나게 되어 있습니다. 당연히 그리스도 공동체에서는 각자의 아버지인 그리스도를 만날 수 있었습니다. 그렇게 초대 교회에서는 공동체 덕분으로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증가하였습니다.선교는 우리 공동체의 사랑을 통해 그 속에서 우리 부모를 세상 사람들에게 보여주는 방식이어야 합니다.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너희가 서로 사랑하면, 모든 사람이 그것을 보고 너희가 내 제자라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요한 13,35)

 

 

 

 

     https://youtu.be/JCGCw8WGA9E

유튜브 묵상 동영상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