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미사

전날 오늘 다음날

2013년 1월 4일 금요일

[(백) 주님 공현 전 금요일]

TV매일미사 업로드 준비중 입니다.

굿뉴스 추천 성가

굿뉴스 추천 성가
입당 성가 101번 글로리아 높으신 이의 탄생 영성체 성가 172번 그리스도의 영혼
예물준비 성가 220번 생활한 제물 161번 성체를 찬송하세
340번 봉헌 497번 거룩하신 성사여
파견 성가 103번 오늘 아기 예수

입당송

시편 112(111),4 참조
올곧은 이들에게는 어둠 속에서 빛이 솟으리라. 주님은 너그럽고 자비로우며 의로우시다.

본기도

주님, 주님을 믿는 저희를 인자로이 비추시고, 주님 영광의 찬란한 빛으로 저희 마음을 밝혀 주시어, 저희가 구세주를 올바로 알아보고 성실히 섬기게 하소서. 성자께서는 성부와 …….

말씀의 초대

선(善)은 악(惡)과 타협하지 않는다. 그래서 하느님의 사랑을 깨달은 이는 죄를 저지르려 하지 않는다. 믿음에 충실하다는 것은 죄와 타협하지 않는 태도이다(제1독서). 요한 세례자의 증언으로 예수님의 첫 제자들이 생긴다. 곧이어 시몬 베드로 또한 예수님의 제자가 되는데 이 역시 동생 안드레아의 증언으로 이루어진다. 이처럼 예수님에 대한 체험은 증언을 낳고, 증언은 다른 이를 예수님께 인도하게 한다(복음).

제1독서

<그는 하느님에게서 태어났기 때문에 죄를 지을 수가 없습니다.>
▥ 요한 1서의 말씀입니다. 3,7-10
7 자녀 여러분, 아무에게도 속지 마십시오. 의로운 일을 실천하는 이는 그분께서 의로우신 것처럼 의로운 사람입니다. 8 죄를 저지르는 자는 악마에게 속한 사람입니다. 악마는 처음부터 죄를 지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악마가 한 일을 없애 버리시려고 하느님의 아드님께서 나타나셨던 것입니다.
9 하느님에게서 태어난 사람은 아무도 죄를 저지르지 않습니다. 하느님의 씨가 그 사람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그는 하느님에게서 태어났기 때문에 죄를 지을 수가 없습니다. 10 하느님의 자녀와 악마의 자녀는 이렇게 뚜렷이 드러납니다. 의로운 일을 실천하지 않는 자는 모두 하느님께 속한 사람이 아닙니다. 자기 형제를 사랑하지 않는 자도 그렇습니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화답송

시편 98(97),1.7-8.9(◎ 3ㄷㄹ)
◎ 우리 하느님의 구원을 온 세상 땅끝마다 모두 보았네.
○ 주님께 노래하여라, 새로운 노래. 그분이 기적들을 일으키셨네. 그분의 오른손이, 거룩한 그 팔이 승리를 가져오셨네. ◎
○ 소리쳐라, 바다와 그 안에 가득 찬 것들, 누리와 그 안에 사는 것들. 강들은 손뼉 치고, 산들도 함께 환호하여라.
○ 주님 앞에서 환호하여라. 세상을 다스리러 그분이 오신다. 그분은 누리를 의롭게, 백성들을 올바르게 다스리신다. ◎

복음 환호송

히브 1,1-2 참조
◎ 알렐루야.
○ 하느님이 예전에는 예언자들을 통하여 조상들에게 여러 번 말씀하셨지만, 이 마지막 때에는 아드님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씀하셨네.
◎ 알렐루야.

복음

<우리는 메시아를 만났소.>
+ 요한이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35-42
그때에 35 요한이 자기 제자 두 사람과 함께 서 있다가, 36 예수님께서 지나가시는 것을 눈여겨보며 말하였다. “보라, 하느님의 어린양이시다.” 37 그 두 제자는 요한이 말하는 것을 듣고 예수님을 따라갔다.
38 예수님께서 돌아서시어 그들이 따라오는 것을 보시고, “무엇을 찾느냐?” 하고 물으시자, 그들이 “라삐, 어디에 묵고 계십니까?” 하고 말하였다. ‘라삐’는 번역하면 ‘스승님’이라는 말이다.
39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와서 보아라.” 하시니, 그들이 함께 가 예수님께서 묵으시는 곳을 보고 그날 그분과 함께 묵었다. 때는 오후 네 시쯤이었다.
40 요한의 말을 듣고 예수님을 따라간 두 사람 가운데 하나는 시몬 베드로의 동생 안드레아였다. 41 그는 먼저 자기 형 시몬을 만나, “우리는 메시아를 만났소.” 하고 말하였다. ‘메시아’는 번역하면 ‘그리스도’이다.
42 그가 시몬을 예수님께 데려가자, 예수님께서 시몬을 눈여겨보며 이르셨다. “너는 요한의 아들 시몬이구나. 앞으로 너는 케파라고 불릴 것이다.” ‘케파’는 ‘베드로’라고 번역되는 말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강론 후 잠시 묵상한다.>

예물기도

주님, 주님의 백성이 드리는 이 제물을 인자로이 받으시고, 저희가 경건한 마음으로 고백하는 믿음을 천상 성사로 깨닫게 하소서. 우리 주 …….

감사송

<성탄 감사송: 182면 참조>

영성체송

1요한 4,9
하느님의 사랑이 우리에게 나타났네. 하느님이 당신 외아드님을 세상에 보내시어, 우리가 그분을 통하여 살게 해 주셨네.

영성체 후 묵상

<그리스도와 일치를 이루는 가운데 잠시 마음속으로 기도합시다.>

영성체 후 기도

하느님, 성체성사로 저희에게 가까이 오셨으니, 이 성사의 힘으로 저희 마음을 움직이시어, 저희가 주님의 선물인 성찬에 더욱 합당히 살아가게 하소서. 우리 주 …….

오늘의 묵상

오늘 복음은 우리가 신앙의 맛을 들이려면 예수님과 함께 머물러야 한다는 점을 가르칩니다. 예수님을 따르고자 제자들이 왔을 때에 예수님께서는 무엇보다도 그들과 함께하는 시간을 가지셨습니다. 이른바 맛 들이는 과정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어렸을 때는 대개 김치를 잘 먹지 못합니다. 젓갈의 맛도 잘 모릅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어느새 김치 없이는 음식을 못 먹게 되고, 젓갈을 곁들이면 밥을 더 먹게 됩니다. 김치 맛과 젓갈 맛은 이렇게 점점 친숙해지다가 어느새 그 진미를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김치가 어떤 맛이고 젓갈이 어떤 맛인지 이론적으로 배웠다고 해서 그 맛을 아는 것도 아닙니다. 결국 김치라는 음식에 대한 체험이 그 맛을 알게 합니다.
오늘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와서 보아라.” 하시며 초대하시고 그들과 함께 머무르십니다. 예수님께서 제자들에게 당신에 대해 아무리 이론적으로 알려 주신다 해도 신앙이 생기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과연 어떻습니까? 예수님에 대해 제대로 알고 있습니까? 그분을 두고 안드레아처럼 “우리는 메시아를 만났소.” 하고 고백할 만큼 그분 안에 머무르고 있습니까? 예수님과의 진정한 만남을 바란다면 일상 안에서 그분과 함께 머무르는 시간을 가져야만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