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비오 10세(8.21)

비오 10세(8.21)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비오 10세 (Pius X)
축일 8월 21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교황
활동지역
활동연도 1835-1914년
같은이름 비우스, 피오, 피우스
성인 기본정보

   교황 성 피우스 10세(또는 비오 10세)는 1835년 6월 2일 이탈리아 북부 베네치아(Venezia)의 리제(Riese, 오늘날의 Riese Pio X)에서 우체부인 아버지와 재봉사인 어머니의 10남매 중 둘째로 태어나 주세페 멜키오레 사르토(Giuseppe Melchiorre Sarto)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는 어머니의 신앙에 많은 영향을 받아 어린 시절부터 열심히 복사로 봉사했다. 그런 그의 신심과 성실함을 알아본 본당 신부는 1850년에 그가 파도바(Padova)에 있는 신학교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신학교 과정을 마치고 1858년 9월 18일 사제품을 받은 그는 톰볼로(Tombolo)의 보좌신부를 시작으로 1867년 살자노(Salzano)의 주임신부로 부임하여 열린 마음으로 사람들에게 다가가며 열정적인 사목 활동을 펼쳤다. 그는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향한 따뜻한 마음을 지니고 있었고, 지역의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본당과 자기 수입 가운데 일부를 사용하였다. 1875년에는 본인의 뜻과는 달리 트레비소(Treviso) 주교좌성당의 참사 위원으로 임명되었고, 그곳 신학교의 영성 지도 신부로도 활동하였다.

   그러다가 1884년 9월에 쇠락한 교구인 만토바(Nantova)의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겸손하게 주교직을 받아들인 후 많은 사제와 평신도를 만나 교구의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교구의 토대가 될 성직자들의 교육을 위해서는 학문적 기초를 튼튼히 하여 신앙에 적대적인 근대주의에 대비하도록 했다. 교황 레오 13세(Leo XIII)는 1893년 6월에 그를 베네치아의 총대주교 겸 추기경으로 임명하였다. 베네치아 정부와의 문제로 인해 착좌식이 1894년 11월 24일까지 늦춰지기는 했지만, 10년 동안 지혜롭게 정부와 협력하며 사회주의에 대항하고 신자들에게 헌신했다. 그는 교구장으로서 가난의 영성과 사도적 열정, 전례에 관한 관심, 가톨릭 운동 단체에 대한 지도 등으로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1887년에 발표한 사목 서한에서는 후대에 근대주의(Modernism)라고 불린 사조의 원리와 경향들에 대해 비난하였다.

   1903년 7월 20일 교황 레오 13세가 선종한 후 그해 8월 4일 그가 후임 교황으로 선출되어 비오 10세라는 교황명을 선택하였다. 전반적으로 사회 문제보다는 교회 내의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였던 교황 성 비오 10세는 전임 교황인 레오 13세가 추구했던 사회 개혁 문제에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오히려 영성적 사명에 헌신하며 사목과 교리 교육에 힘썼다. 그는 신자들이 충만한 기도 생활과 성사 생활에 더 자주 참여할 수 있도록 전례와 교회 음악을 개혁하고자 했다. 그리고 자신의 사목 경험을 토대로 전 세계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는 대중적인 교리서를 발간했고, 특별히 어린이들의 교리 교육을 위한 교리서를 쉬운 용어로 작성하였다. 한편, 자유주의 학문 연구에 대해 끊임없는 불신을 가졌던 그는 그러한 시도가 성경과 신학 연구에 매우 위험한 요소라 여겨 그에 대한 대처가 필요하다가 생각했다. 정치적인 면에서는 완고한 입장을 지녔는데, 특별히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사항에 관해 평신도들이 교회의 입장에 전적으로 순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황 비오 10세는 교회 내의 개혁을 위해 먼저 1904년에 새로운 “교회법전” 편찬 작업을 시작하도록 했고, 이는 그의 후임자인 교황 베네딕토 15세(Benedictus XV)에 의해 1916년 12월 4일 반포되었다. 1908년에는 교황청 조직을 개편하고, 1909년부터 “사도좌 관보”(Acta Apostolicae Sedis)를 발행하도록 하며, 그리스도교 정신을 강화하는 학문의 발전을 위해 ‘교황청 성서 연구소’(Pontifical Biblical Institute)를 설립하였다. 그는 또한 불가타 성경 개역 위원회를 만들고, 그레고리오 성가를 장려하며 시편과 성무일도서 개정을 명하였다. 그리고 전례 개혁을 통해 신자들이 매일 영성체할 것을 권장하고, 신자들의 공동기도와 미사를 강조하며 미사 때에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미사로써 기도하는 것임을 분명히 했다. 또한 어린이들이 첫영성체를 할 수 있는 나이를 낮추고, 병자들의 영성체를 완화해주는 교령을 발표하였다. 이렇게 영성체를 강조해서 ‘영성체를 자주 하는 교황’ 또는 ‘성체성사의 교황’이라는 별명이 붙기도 했다.

   사회 · 정치적으로 그의 재임 기간에 이탈리아는 국가와 교회 사이의 관계가 악화한 상태였다. 교황 성 비오 10세는 신자들이 사회 개혁을 위한 거대한 연합 단체를 형성하기를 원했으며, 평신도들은 정치에서 교회 지도자의 지도에 따라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그는 가톨릭 운동(Catholic Action)을 격려하면서도 가톨릭 정당을 구성하거나 성직자들이 정치적 성향을 띤 단체에 가입하는 것을 금했다. 또한 그의 재임 중에 ‘근대주의’(Modernism)와의 투쟁이 많았고, 1912년에는 프랑스 청년 가톨릭 신자들의 민주주의 운동에 가톨릭시즘을 동화시키려던 마크 상니에(Marc Sangnier)의 ‘르 시용’(Le Sillon) 운동을 단죄하였다. 교황 성 비오 10세의 근대주의 비판은 철학적 · 신학적 · 성서적인 경향에 대한 것이었으나 정치적인 경향에 대한 것이기도 했다. 즉 교회와 국가 사이의 관계에 대한 비판이기도 했다. 정교분리를 철저히 고수하려 한 그는 외교적인 면에서는 많은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교황 성 비오 10세는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한 지 22일 후인 1914년 8월 20일, 전쟁으로 인해 수많은 사람이 생명을 잃는 것을 개탄하며 선종해 성 베드로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생전에 이미 성인으로까지 불렸던 그는 1951년 6월 3일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복자품에 올랐고, 1954년 5월 29일 같은 교황에 의해 시성되었다. 그럼으로써 1712년 교황 성 비오 5세가 시성된 후 처음으로 성인품에 오른 교황이 되었다. 그의 축일은 처음에는 9월 3일로 정해졌다가 1969년 로마 보편 전례력을 개정하면서 선종 다음 날인 8월 21일로 변경하였다. 그래서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8월 20일 목록에서 교황 성 비오 10세의 선종 사실을 알리며, 다음날 그의 축일을 기념한다고 했다. 8월 21일 목록에서 교황 성 비오 10세가 처음에는 본당 사제였다가 만토바의 주교와 베네치아의 대주교를 지낸 후 로마 교황으로 선출된 후 자신의 사목 목표를 그리스도 안에서 모든 것을 통합하는 것으로 설정했다고 했다. 그는 소박한 정신과 청빈과 용기로 이 계획을 달성했고, 성찬례 참여와 거룩한 전례의 존엄성을 강조하고 교리의 온전함을 통해 신자들 사이에서 그리스도교적 삶을 증진했다고 기록하였다.♣

참고자료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상) - '성 비오 10세 교황',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443-446쪽.
  • 루돌프 피셔-볼페르트 저, 안명옥 역, 교황사전 - 비오 10세, 서울(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01년, 176-178쪽.
  •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 마이클 월시 저, 변우찬 역, 옥스퍼드 교황 사전 - 비오 10세, 왜관읍(분도출판사), 2014년, 462-464쪽.
  • 페르디난트 홀뵉 저, 이숙희 역, 성체의 삶을 위한 성체와 성인들 - '비오 10세 성인', 서울(성요셉출판사), 2000년, 381-394쪽.
  • 페에를루이지 오첼리 저, 박양운 역, 성 비오 10세, 서울(가톨릭출판사), 2001년.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6권 - '비오 10세',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1998년, 3780-3782쪽.
  •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성비오 10세 교황', 서울(성바오로), 2002년, 211-212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6 [비오 10세(8 ...] 우리 시대의 성인들: 성 비오 10세 교황 주호식 2023/08/30 285 0
5 [비오 10세(8 ...] 금주의 성인: 성 비오 10세 교황 주호식 2023/08/22 255 0
4 [비오 10세(8 ...] 부온 프란조: 성 비오 10세 교황 주호식 2022/11/14 544 0
3 [비오 10세(8 ...] 전례 개혁 초석 다진 성 비오 10세 교황|1| 주호식 2020/08/18 1017 1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