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실베스테르 1세(12.31)

실베스테르 1세(12.31)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실베스테르 1세 (Silvester I)
축일 12월 31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교황
활동지역
활동연도 +335년
같은이름 실베스떼르, 실베스뗄, 실베스텔, 실베스트로
성인 기본정보

   교황 성 실베스테르 1세는 “연대 교황표”(Liber Pontificalis)에 따르면 로마에서 루피누스(Rufinus)라는 신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313년에 콘스탄티누스 대제(206~337년 재위)가 밀라노(Milano)에서 반포한 종교 관용령으로 신앙의 자유를 얻고 평화를 획득한 다음인 314년 1월 31일 교황 성 밀티아데스(Miltiades, 1월 10일)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후대의 전설에 따르면 그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284~305년 재위)의 박해로 고난을 겪었는데, 박해가 시작되기 전인 284년에 사제품을 받은 듯하다. 그 후 그는 박해와 로마에 만연한 나병을 피해 몇 년간 몬테 소라테(Monte Soratte)의 동굴에서 은신했었다. 성 실베스테르 1세는 교황으로 선출된 후 교회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에 21년간 교황직을 수행했지만, 그의 생애나 활동에 대해 정확한 자료는 거의 전해지지 않고 상당 부분 비역사적이고 전설적인 이야기들만 전해지고 있다. 이는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로마 제국과 교회 내에서 펼친 업적에 가려진 탓이기도 하다.

   교황 성 실베스테르 1세는 즉위 초기부터 도나투스주의(Donatismus)와 아리우스주의(Aranismu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였다. 그는 318년 도나투스파 이단에 대항해 아를(Arles)에서 열린 지역 공의회에 사제 두 명과 부제 두 명을 파견했다. 이 회의에서는 다시 한번 도나투스파를 단죄하고, 부활절 날짜를 고정하는 문제와 영성체와 세례성사에 관한 내용 등을 다루었다. 이를 통해 로마 교회의 주교가 전체 서방 교회에서 갖는 수위권의 단면을 보여주었다. 아프리카에서 발생한 도나투스주의가 서방 교회에서 큰 이단으로 등장했다면, 동방 교회에서는 아리우스주의 이단이 강하게 대두되었다. 그래서 325년 콘스탄티누스 대제가 개최를 선포한 니케아(Nicaea) 공의회에도 성 실베스테르 교황은 고령으로 직접 참석하지는 못했지만, 특사를 파견해서 아리우스 이단에 대한 가톨릭교회의 단호한 입장을 재천명했다.

   “연대 교황표”에 따르면 그는 다양한 교회 규율을 반포하였다. 첫째, 다시 가톨릭교회로 돌아오는 아리우스파 사제들은 가톨릭 주교가 축성한 축성 성유(chrisma)와 안수로써 주교에 의해 받아들여질 수 있고, 주교만이 축성 성유를 축성할 수 있으며 견진성사를 집전할 수 있으나, 죽을 위험이 있는 경우에는 신부가 물로 씻겨진 세례자들에게 축성 성유를 도유할 수 있다. 둘째, 평신도는 성직자를 고소할 수 없고, 사제도 주교를 고소할 수 없다. 셋째, 전례복에 관한 규율로 부제들은 달마티카(dalmatica)와 수대(手帶, manipulus)를 착용해야 한다. 넷째, 성직자는 어떠한 소송이든지 세속 법원에 출두하지 않고, 교회 안에서가 아니라면 세속 법정의 판사 앞에서 진술하지 않는다. 다섯째, 예수 그리스도가 아마포로 감싸여 무덤에 묻힌 것처럼 제대보는 아마포로만 만들어져야 한다. 여섯째, 성직의 절차에 관한 규정으로 강경자 · 구마자 · 시종자 · 차부제 · 부제 · 사제 등의 순서를 정하고, 주교 · 신부 · 부제는 오직 한 명의 부인만을 두어야 하며 좋은 평판을 받고 있어야 수품될 수 있다고 정했다.

   또한 성 실베스테르 1세 교황은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도움과 증여로 로마에 많은 성당을 건축했다. “연대 교황표”에 따르면 그는 황제에게 선사 받은 라테라노 궁을 개조해 라테라노 대성당(Basilica di San Giovanni in Laterano)과 세례소를 건축했고, 황후인 성녀 헬레나(Helena, 8월 18일)의 궁 옆에 예루살렘의 성 십자가 대성당(Basilica di Santa Croce in Gerusalemme)을 지어, 성녀 헬레나가 예루살렘에서 직접 발견한 예수님께서 못 박혀 돌아가신 십자가(聖十字架, True Cross)를 모셔 놓았다. 또한 사도 성 바오로(Paulus, 6월 29일)의 유해를 모신 성 바오로 대성당과 성 라우렌시오(Laurentius, 8월 10일) 대성당, 성녀 아녜스(Agnes, 1월 21일) 대성당 등을 건축했다. 그는 335년 12월 31일 선종했는데, 그 장소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의 유해는 살라리아 가도(Via Salaria)에 있는 성녀 프리스킬라(Prischilla) 카타콤바에 안장되었다. 그는 로마에서 순교하지 않고 성인으로 공경받은 최초의 성인 중 한 명으로 동방 교회에서는 1월 2일에 그의 축일을 기념하고 있다. 그의 유해는 761년에 교황 바오로 1세(Paulus I)에 의해 오늘날 카피테의 성 실베스테르 성당(Chiesa di San Silvestro in Capite)으로 옮겨 안치되었다.

   교회 미술에 그는 종종 황소나 용과 함께 묘사되는데, 이는 복자 야고보 데 보라지네(Jacobus de Voragine, 7월 13일)가 쓴 “황금 전설”(Legenda Aurea)에 나오는 이야기에서 유래하였다. 교황 성 실베스테르 1세는 유다인 학자와의 토론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야생 황소를 죽이기도 살리기도 해서 믿지 못하는 이들의 개종을 이끌었다. 그리고 황제가 그리스도교 신앙을 택해 많은 사람이 용에게 희생되었다는 말을 듣고는 용이 있는 웅덩이로 가서 그 입을 묶어 봉인했다고 한다. 옛 “로마 순교록”은 12월 31일 목록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에게 세례를 주고 니케아 공의회를 승인한 교황 실베스테르 1세가 다른 많은 거룩한 업적인 이룬 후 로마에서 평화롭게 선종했다고 전해주었다. 그런데 이는 중세에 확인되지 않고 널리 퍼진 전설에 따른 것으로, 역사적으로 확인된 바에 따르면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개종 직후 교황 성 실베스테르 1세에게 세례를 받지 않았다. 장소도 로마가 아니었고 사망할 무렵에야 아리우스파 주교인 니코메디아(Nicomedia)의 에우세비우스(Eusebius) 주교에게 세례를 받았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같은 날 목록에서 콘스탄티누스 황제가 유서 깊은 대성당들을 건축하고, 니케아 공의회에서 그리스도를 하느님의 아들로 선포했던 시대에 오랜 세월 교회를 지혜롭게 다스린 성 실베스테르 1세 교황이 있었는데, 이날 그의 유해가 로마의 프리스킬라 묘지에 안치되었다고 기록하였다.♣

참고자료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하) - '성 실베스테르 1세 교황',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49-51쪽.
  • 야코부스 데 보라지네 저, 변우찬 역, 황금 전설 : 성인들의 이야기 - '성 실베스테르', 서울(일파소), 2023년, 116-128쪽.
  • 존 노먼 데이비슨 켈리 / 마이클 월시 저, 변우찬 역, 옥스퍼드 교황 사전 - 실베스테르 1세, 왜관읍(분도출판사), 2014년, 69-71쪽.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8권 - '실베스테르 1세',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01년, 5529-5532쪽.
  •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성실베스트로 1세 교황', 서울(성바오로), 2002년, 326-327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3 [실베스테르 1세 ...] 명화와 성인: 교황 성 실베스테르 1세 주호식 2019/02/04 510 0
2 [실베스테르 1세 ...] 성인 이름에 담긴 뜻: 실베스테르(Silvester) 주호식 2018/11/07 2652 0
1 [실베스테르 1세 ...] 성 실베스테르 1세 교황 독서기도 주호식 2006/07/19 495 0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