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아이다누스(Aidanus, 또는 아이다노)는 아일랜드 태생으로 스코틀랜드(Scotland)의 대표적인 수도원 섬인 이오나(Iona)에서 수도승이 되기 전에 스캐터리(Scattery)의 성 세난(Senan, 3월 8일)의 문하에서 공부했다고 한다. 그 외에 그의 초기 생애에 대해 확실히 알려진 바는 없다. 수도승이 된 후 성 아이다노는 북아일랜드 클로거(Clogher)의 주교가 되었으나 630년경 사임하고 이오나 수도원으로 돌아와 수도 생활을 이어갔다. 634년 노섬브리아(Northumbria)의 왕이 된 성 오스왈도(Oswaldus, 8월 5일)는 그의 아버지가 전투에서 사망한 후 스코틀랜드로 쫓겨가 이오나 수도원에서 지낸 적이 있었다. 그는 그곳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하고 군대를 일으켜 승리한 후 노섬브리아의 왕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자신의 왕국에 그리스도교를 전파하기 위해 이오나 수도원의 원장에게 선교사를 보내달라고 했다. 성 아이다노는 노섬브리아 왕국으로 파견되었고 그곳에서 주교로 축성되었다. 성 오스왈도 왕은 성 아이다노가 왕국 전역에 복음을 선포하도록 도와주면서 린디스판(Lindisfarne)섬을 기증하여 주교좌로 삼도록 배려하였다. 성 아이다노는 망명 중에 친구로 지냈던 성 오스왈도 왕의 도움을 받아 많은 성당과 수도원을 세우고 복음을 전하는데 헌신하였다. 그의 해박한 성경 지식과 뛰어난 설교, 높은 성덕과 가난한 이들에 대한 애정 그리고 수많은 기적 이야기는 왕국 전체를 뒤흔들 정도로 유명했다. 그는 린디스판섬에 수도원과 성당과 학교를 세웠는데, 이곳은 점차 잉글랜드(England)의 이오나로 알려졌고 잉글랜드 북부 지역을 위한 선교의 중심지요 배움의 전당이 되었다. 그의 제자 중에는 머시아(Mercia)의 성 체아다(Ceadda, 3월 2일)와 휘트비(Whitby)의 성녀 힐다(Hilda, 11월 17일)도 있었다. 642년에는 오랜 친구이자 후원자인 성 오스왈도 왕이 이교도 왕인 머시아의 펜다 왕과의 전투에서 사망하는 슬픔을 겪기도 했다. 성 오스왈도가 전사한 후 성 오스윈(Oswin, 8월 20일)이 왕국의 남부를 다스리는 데이라(Deira)의 왕이 되었고, 오스위(Oswy)가 북부를 다스리는 베르니시아(Bernicia)의 왕이 되었다. 성 아이다노는 성 오스윈과도 친밀한 관계 속에서 선교 활동을 펼쳤고, 성 오스윈도 그를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 성 아이다노는 왕에게 선물 받은 말을 가난한 이에게 줄 만큼 겸손하고 가난한 삶을 살았다. 그는 항상 도보로 여행하며 최소한의 생필품을 제외하고는 선물 받은 모든 것을 가난한 사람들과 나누었다. 651년 8월 20일에 성 오스윈이 사촌인 오스위의 공격을 받고 포로로 잡혀 살해당한 후 성 아이다노는 그로부터 11일 뒤인 8월 31일 슬픔에 잠겨 세상을 떠났다. 그는 아마도 오스위 왕의 악행을 고발하기 위해 뱀버러(Bamburgh)에 있는 왕궁에 왔다가 갑자기 병으로 쓰러져 숨을 거둔 듯하다. 그 후 그의 유해를 린디스판 수도원에 옮겨 안장하였다. 영국 역사의 아버지로 불리는 성 베다 존자(Beda Venerabilis, 5월 25일)는 성 아이다노의 전기를 쓰면서 그를 뛰어난 성덕과 온유함 그리고 하느님에 대한 열정을 지닌 사람으로 묘사했다. 다만 부활절 날짜와 전례에 있어서 서방 교회에서 사용하던 로마 전례보다는 아일랜드에서 사용하던 켈트 전례를 끝까지 고수한 것을 비판하기도 했다. 나중에 린디스판 수도원의 원장이자 주교가 된 성 쿠트베르토(Cuthbertus, 3월 20일)는 소년 시절 양치기로 일하던 중 천사들이 한 영혼을 하늘로 인도하는 환시를 보았는데, 나중에 그날 밤 린디스판의 성 아이다노가 뱀버러에서 선종했음을 알고 수도자의 길을 선택했다고 한다. 옛 “로마 순교록”은 8월 31일 목록에서 영국에 린디스판의 주교인 성 아이다노가 있었는데, 당시 양치기였던 성 쿠트베르토가 그의 영혼이 하늘로 올라가는 것을 보고 양 떼를 떠나 수도승이 되었다고 전해주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같은 날 목록에서 영국 노섬브리아의 린디스판에 주교이자 수도원장인 성 아이다노가 있었는데, 그는 온유하고 독실하며 정직하게 수도원을 이끌었다고 하며 성 오스왈도 왕의 요청으로 이오나 수도원에서 린디스판 주교좌로 와서 왕국의 복음 전파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수도원을 설립했다고 기록하였다.♣
|
번호 | 성인명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추천수 |
---|---|---|---|---|---|---|
1 | [아이다노(8.3 ...] | 성인 이름에 담긴 뜻: 아이다노(Aidan) | 주호식 | 2020/05/03 | 387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