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황 성 클레멘스 1세(Clemens I)는 로마인으로서 사도 성 베드로(Petrus, 6월 29일)를 계승한 교황 성 리노(Linus, 9월 23일), 교황 성 아나클레토(Anacletus, 4월 26일)에 이어 제4대 교황으로 사도 교부의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그는 알렉산드리아(Alexandria)의 클레멘스와 구별하기 위해 클레멘스 로마누스(Clemens Romanus)로도 불린다. 교회 전승에 따르면 그는 사도 성 베드로에게 직접 안수를 받았다고 한다. 오리게네스(Origenes)와 에우세비우스(Eusebius), 성 예로니모(Hieronymus, 9월 30일) 등 3~4세기의 저술가들은 그를 사도 성 바오로(Paulus, 6월 29일)가 서간에서 자신의 동료로 언급한 클레멘스(필리 4,3)과 동일 인물로 보았는데, 이는 사실인 듯하다. 그 외에도 그의 신원에 관한 여러 설들이 있으나 확실한 점은 그의 저서에 나타난 성경과 유대교 및 외경에 대한 심오한 지식으로 보아 유대교에서 그리스도교로 개종한 사람으로 여겨진다. 성 클레멘스 1세는 91년경 교황이 되었으나 트라야누스 황제(98~117년 재위)의 그리스도교 박해 때 크림반도(Krym Peninsula)로 귀양을 갔다. 4세기의 전설에 따르면 그는 아마도 당시 크림반도에서 악명 높은 대리석 채석장이 있었던 케르소네소스(Chersonesos, 오늘날 우크라이나의 헤르손[Cherson/Kherson])에서 강제노역형을 받은 듯하다. 그는 그곳에서 노동형을 받고 일하는 동료 죄수들에게 열렬히 설교하여 많은 개종자를 얻었다. 그런데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물 부족으로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었다. 어느 날 성 클레멘스는 어린양 한 마리가 오른발로 어떤 곳을 파는 것을 보고 그 자리를 파자 그곳에서 샘물이 솟았다. 그래서 수많은 사람이 갈증을 해소하고 개종하여 세례를 받았다. 이 소식을 들은 트라야누스 황제는 성 클레멘스에게 사형을 선고하고, 그의 목에 닻을 매단 채 흑해 바닷속으로 던지도록 했다. 그렇게 순교의 월계관을 쓴 교황 성 클레멘스 1세의 유골과 닻이 9세기 교황 성 니콜라오 1세(Nicolaus I) 때, 슬라브족의 사도인 성 치릴로(Cyrillus)와 성 메토디오(Methodius, 2월 14일) 형제에 의해 기적적으로 발견되어 로마로 옮겨져 그의 이름으로 봉헌된 성당에 안치되었다. 교황 성 클레멘스 1세가 코린토 교회의 내분을 해결하고 이교를 반박하기 위해 쓴 “제1 코린토 서간”은 신약성경 다음으로 오래된 초대교회 문헌으로 전체 65장으로 되어 있다. 최초의 교부 문헌으로 인정받는 이 편지에서 성 클레멘스는 구약과 신약의 예를 들어 불목과 시기를 꾸짖고, 사랑과 평화와 순명의 덕으로써 평화를 회복하도록 촉구하였다. 그리고 이 서간에서 주목할 점은 로마 주교가 지니는 권위, 즉 교황의 수위권에 관한 문제이다. 사도 시대부터 각 지역교회는 그곳의 책임 주교에 의해 관리되었는데, 로마의 주교가 발칸 반도에 있는 코린토 교회의 문제에 개입함으로써 교황의 수위권이 교회 안에서 형성되기 시작했으며, 다른 교회들로부터 어떻게 인정받았는지 살펴볼 수 있는 최초의 문헌이 되었다. 이 서간에서 그는 또한 그리스도교 신앙의 기초인 예수님의 부활과 피닉스 새의 신화를 연결해서 설명하였다. 이집트 신화에 나오는 피닉스 새는 500년 동안 사는데, 죽을 때가 가까워지면 아라비아로 날아가 둥우리를 만들고 그 안에 들어가 죽는다. 죽은 몸뚱이에서 애벌레가 나와 죽은 어미의 살을 먹고 자라서 다시 어미의 고향인 이집트로 와서 500년을 산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불사조의 의미와 자기 몸으로 새끼를 기른다는 점에서 성체성사의 의미를 내포함으로써 후기 그리스도교 문학과 교회 미술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옛 “로마 순교록”은 11월 23일 목록에서 사도 성 베드로에 이후 세 번째로 교황직(제4대 교황)을 맡았던 성 클레멘스 교황의 탄생일로 그는 트라야누스 황제의 박해 때 케르소네소스로 유배되었고, 그곳에서 목에 닻이 묶인 채 바다에 던져져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는데, 니콜라오 1세 교황의 재위 기간에 그의 유해가 로마로 옮겨져 예전에 그의 이름으로 건립된 성당에 예우를 갖춰 안치했다고 전해주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같은 날 목록에서 성 클레멘스 1세는 순교자이자 교황으로서 사도 성 베드로 이후 세 번째 교황으로서 로마 교회를 다스렸으며, 코린토 신자들에게 보낸 유명한 서한을 통해 교회 간의 평화와 화합을 강화했다고 했다. 그리고 이날은 그의 유해가 로마에 안장된 것을 기념하는 날이라고 기록하였다. 서방 교회에서는 그의 축일을 11월 23일에 기념하는데, 동방 정교회에서는 11월 24일 또는 25일에 축일을 기념한다. 교황 성 클레멘스 1세는 로마 미사 경본 감사 기도 제1양식에서 기념하는 성인 중 한 명이며,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을 타원형으로 둘러싼 열주 위에 세워진 140명의 성인 입상의 주인공 중 한 명으로 공경을 받았다.♣
|
| 번호 | 성인명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추천수 |
|---|---|---|---|---|---|---|
| 9 | [클레멘스 1세( ...] | 명화와 성인: 제4대 교황 성 클레멘스 1세 | 주호식 | 2019/04/17 | 472 | 0 |
| 8 | [클레멘스 1세( ...] | 도난당했던 성 클레멘스 1세 교황 유해 되찾아 웨스트민스터 ... | 주호식 | 2018/07/03 | 511 | 0 |
| 7 | [클레멘스 1세( ...] | 성인 이름에 담긴 뜻: 클레멘스(Clemens) | 주호식 | 2017/02/06 | 1419 | 1 |
| 6 | [클레멘스 1세( ...] | 영성으로 읽는 성인성녀전: 성 클레멘스 1세 교황|1| | 주호식 | 2010/02/23 | 81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