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바오로(십자가의)(10.19)

바오로(십자가의)(10.19)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바오로(십자가의) (Paul of the Cross)
축일 10월 19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신부, 설립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694-1775년
같은이름 바울로, 바울루스, 빠울로, 빠울루스, 파울로, 파울루스,
성인 기본정보

   십자가의 성 파울루스(Paulus a Cruce, 또는 십자가의 성 바오로)는 1694년 1월 3일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Piemonte) 지방의 오바다(Ovada)에서 가난한 귀족으로 잡화점을 운영하던 부모의 16남매 중 장남(또는 둘째)으로 태어나 파올로 프란체스코 다네이(Paolo Francesco Danei)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는 제노바(Genova) 근처 크레몰리노(Cremolino)에서 소년을 위한 학교를 운영하는 사제로부터 초등 교육을 받았다. 15살 때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학교를 그만두고 카스텔라초 보르미다(Castellazzo Bormida)에 있는 집으로 돌아왔다. 어려서부터 부모로부터 훌륭한 신앙의 유산을 물려받은 그는 집에 돌아와서도 엄격한 고행과 보속을 실천하며 금욕적인 생활을 이어갔다. 1713년에 그는 ‘첫 번째 회심’이라 부르는 영적인 체험을 했는데, 어느 날 한 사제의 강론을 들으면서 하느님께서 자신을 ‘참회의 생활’로 초대하심을 깨달았다. 성 바오로는 구체적인 참회의 실천으로 20살이 되던 1714년에 이슬람 군대와 맞서는 베네치아(Venezia) 공국의 군대에 입대하여 투르크군과 싸웠으나 군인은 자신의 길이 아님을 알게 되었다. 1년 만에 제대한 후 그는 사제였던 삼촌에게 물려받은 유산과 결혼이라는 두 가지 기회를 모두 거절하고 몇 년 동안 카스텔라초에서 은수자로서 기도와 참회의 생활을 하며 삶의 방향을 모색했다.

   그러던 중 1720년 여름에, 성 바오로는 기도 중의 체험을 통해 하느님께서 자신을 복음적 삶으로 초대하며 예수님의 수난에 나타난 하느님의 사랑을 전파하는 공동체를 만들라는 소명을 주심을 깨달았다. 그리고 검은색 제의 위에 하얀 십자가가 위에 그려져 있고 가슴 부분에 예수 그리스도의 이름이 하얀색의 문장으로 그려져 있는 환시를 보았다. 특히 세 번째 환시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고 설교하는 이들이 모인 수도회를 설립할 것이라는 성모 마리아의 말을 들었다. 그가 환시 중에 본 문장은 나중에 그가 설립한 예수 고난회의 문장이 되었다. 성 바오로는 자신이 속한 알레산드리아(Alessandria)의 주교에게 그동안 체험한 환시에 대해 알렸고, 주교는 모든 사실을 조사한 후 그의 환시가 옳음을 인정하고 수도회 설립을 허락하였다. 그해 11월 22일 그는 은수자의 검은 색 수도복을 입혀준 주교의 격려를 받은 후 40일간의 피정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의 수도 규칙 초안을 마련하였다. 이듬해에 그의 동생이자 평생의 동반자인 요한 세례자 다네이(Joannes Baptista Danei)가 수도복을 입고 공동체에 합류하였다.

   피정 이후 10년 동안 성 바오로는 여러 교구에서 은수 생활과 평신도로서 선교와 봉사 활동을 하면서 수도회 설립을 위해 노력했으나 쉽지 않았다. 처음 마련한 규칙을 갖고 교황청의 허가를 신청하러 동생과 함께 로마(Roma)에 갔으나 거절당했다. 1725년에 다시 로마를 방문한 그는 교황 베네딕토 13세(Benedictus XIII)로부터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 수도회(Congregatio Passionis Jesu Christi, 예수 고난회) 설립에 대한 구두 승인과 함께 수련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허락을 받았다. 성 바오로는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 속에서 기도와 활동의 일치점을 찾고자 했다. 그래서 예수회의 활동과 카르투지오회의 고독을 모범으로 삼았다. 그가 생각한 수도회는 엄격한 참회 생활과 그리스도의 수난에 대한 열렬한 신심을 결합하고, 그 결과를 선교 활동을 통해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하는 공동체였다. 그래서 그는 신자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에 대한 기억을 전파하겠다는 네 번째 서원을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는 스스로를 ‘십자가의 바오로 형제’라고 불렀다. 성 바오로와 그의 동생 요한 세례자는 1727년 6월 7일 로마의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교황 베네딕토 13세에게 사제품을 받았다. 그리고 이듬해에 토스카나(Toscana) 남부 해안가에 있는 몬테 아르젠타리오(Monte Argentario)에서 공동생활을 시작했다.

   몬테 아르젠타리오에서의 처음 10년 동안 성 바오로는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새로운 수련자들이 점점 늘었지만, 한편으로는 규칙이 너무 엄격해서 많은 수련자가 떠나기도 했다. 성 바오로는 1737년에 몬테 아르젠타리오에 첫 수도원을 완공했고, 1741년에는 교황 베네딕토 14세로부터 개정 회칙을 인준받았다. 그리고 1747년에는 수도원이 세 곳으로 늘어났다. 성 바오로는 고독을 즐기는 한편 이탈리아 전역을 누비며 순회 설교가로서 활동했다. 그의 설교는 놀라운 힘을 발휘하여 만인의 심금을 울렸다. 그는 초자연적인 은혜로써 축복을 내렸고, 치유의 은사와 원거리에서 동시에 사람들에게 나타나는 기적을 행하기도 했다. 그는 당대 최고의 설교가 중 한 명으로 인정받았다. 하지만 1765년에 평생의 동반자요 동생인 요한 세례자를 먼저 떠나보내는 아픔을 겪었다. 그는 1769년에 예수 고난회에 대한 최종적 승인을 교황 클레멘스 14세(Clemens XIV)에게 받은 후 자기 뜻과는 달리 초대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그리고 로마의 첼리오 언덕에 있는 성 요한과 바오로 대성당(Basilica dei Santi Giovanni e Paolo al Celio)으로 총원을 옮겼는데, 이는 1773년에 교황 클레멘스 14세로부터 받은 곳이다.

   1771년에 코르네토(Corneto)에 여성 수도자를 위해 예수 고난 관상 수녀회를 설립한 십자가의 성 바오로는 생애의 마지막을 주로 로마 총원에서 지냈는데, 마지막 3년 동안 병고로 고생하면서도 임종 직전까지 교황들의 영적 지도와 고해 신부로 활동하였다. 그는 1775년 10월 18일 선종하기에 앞서 수도회 형제들에게 “서로 사랑하고 십자가 아래 머물러 살 것”을 유언으로 남기고 평화로이 숨을 거두었다. 그가 선종할 당시 예수 고난회에는 180명의 신부와 수사들이 있었다. 성 바오로는 몇 권의 중요한 저서를 남겼는데, 그중 하나가 “신비적 죽음”(Morte mistica)으로 1976년에 재발견되었다고 한다. 그 외에도 40일간의 피정 중에 기록한 “영적 일기”와 2천 통이 넘는 편지가 다섯 권의 책으로 출간되었다. 십자가의 성 바오로는 1853년 5월 1일 교황 복자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복자로 선포되었고, 1867년 6월 29일 같은 교황에 의해 성 베드로 대성당에서 시성식이 거행되었다. 그의 축일은 4월 28일로 정해졌다.

   옛 “로마 순교록”은 10월 18일 목록에서 로마에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고난 수도회의 설립자인 십자가의 성 바오로의 천상 탄일을 기념하는데, 교황 비오 9세는 그의 탁월한 순수함과 참회 정신을 기려 그를 성인품에 올리고 4월 28일을 축일로 정했다고 전해주었다. 그리고 4월 28일 목록에서 십자가의 성 바오로는 순결한 삶과 참회 정신으로 뛰어난 사람으로, 예수 고난회의 설립자로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에 대한 불타는 사랑으로 가득 차 천상 은총과 기적으로 빛나며, 완전한 덕행으로 살다가 주님 안에서 안식에 들었다고 적었다. 1969년 전례력 개정 이후에는 그의 축일을 선종 다음 날인 10월 19일에 기념하고 있다. 10월 18일은 이미 로마 보편 전례력 안에서 성 루카(Lucas) 복음사가의 축일로 지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10월 19일 목록에서 십자가의 성 바오로 신부가 젊은 시절부터 참회와 열정으로 빛났으며, 십자가에 못 박히신 그리스도를 향한 특별한 사랑에 감동되어 가난하고 병든 이들의 얼굴을 바라보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수난을 묵상하는 성직 수도회를 설립했다며, 그가 로마에서 선종한 날은 10월 18일이나 다음 날 그의 축일을 기념한다고 기록하였다.♣

참고자료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상) - '십자가의 성 바오로 사제',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334-336쪽.
  • 예수고난회 편역, 울려퍼지는 고난의 신비, 서울(계성출판사), 1995년.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5권 - '바오로, 십자가의',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1997년, 3088-3089쪽.
  • 헤수스 알바레스 고메스 저, 강운자 편역, 수도생활 역사 III - '예수 고난회', 서울(성바오로), 2005년, 238-242쪽.
  •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십자가의 성바오로 사제', 서울(성바오로), 2002년, 271-272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6 [바오로(십자가의 ...] 십자가의 성 바오로: 예수 고난회의 창설자 주호식 2011/12/18 441 1
5 [바오로(십자가의 ...] 수도회 창설자를 찾아서: 십자가의 성 바오로 주호식 2011/05/30 433 0
4 [바오로(십자가의 ...] 십자가의 성 바오로 주호식 2010/10/10 497 0
3 [바오로(십자가의 ...] 수도 영성: 예수 고난회 주호식 2009/05/22 562 0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