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아달베르토(6.20)

아달베르토(6.20)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아달베르토 (Adalbert)
축일 6월 20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대주교, 선교사
활동지역 마그데부르크(Magdeburg)
활동연도 +981년
같은이름 아달베르또, 아달베르뚜스, 아달베르투스, 아달베르트
성인 기본정보

   성 아달베르투스(Adalbertus, 또는 아달베르토)는 10세기 초에 프랑크 왕국의 알자스(Alsace) 또는 로렌(Lorraine)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그의 초기 생애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그는 950년경 쾰른(Koln) 대주교의 서기관이 되었고, 953년부터 958년까지는 장차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될 독일 오토 1세(Otto I) 왕의 공증인이 되었다. 그리고 959년경 당시 독일에서 가장 유명한 수도원 중 하나였던 트리어(Trier)의 성 막시미노(Maximinus) 수도원에서 베네딕토회 수도승이 되었다. 키이우(Kyiv)의 대공비인 성녀 올가(Olga, 7월 11일)는 오토 1세에게 주교를 중심으로 선교사들을 파견하여 민족의 복음화와 교계제도를 회복하도록 도와달라고 요청하였다. 오토 1세는 961년 선교 주교로 축성된 후 선교사들을 이끌고 슬라브족의 선교를 위해 파견되었다.

   그런데 성 아달베르토의 선교활동을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성녀 올가의 요청으로 키이우로 파견되었으나 이교도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혀 이듬해에 그곳을 떠나야만 했다. 게다가 성녀 올가의 아들로 여전히 개종하지 않았던 스뱌토슬라프(Svyatoslav)가 성인이 되어 왕권을 얻은 후 그리스도교 선교사들을 박해하였다. 많은 선교사가 키이우 근처에서 살해되었으나 성 아달베르토는 간신히 죽음을 모면하고 962년에 되돌아왔다. 966년에 그는 오토 1세 황제에 의해 바이센부르크(Weissenburg)에 있는 수도원의 대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그곳에서 프룀(Frum)의 레기노(Regino)가 쓴 “연대기”를 이어서 썼다. 그는 907년부터 967년까지 다뤘는데, 이는 “오토 왕조의 연대기”로 알려졌으며 역사적으로 귀중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오토 1세 황제는 작센 지방에 대한 지배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새로운 요새 도시를 마그데부르크에 건설하기로 했다. 그리고 이 도시가 그리스도교의 중심지가 되도록 새로운 수도원을 건설하고 교황을 설득하여 대주교좌로 삼았다. 968년 성 아달베르토는 황제와 교황의 명에 의해 엘베강 동쪽 슬라브족과 벤트족(Wends)에 대한 관할권을 가진 마그데부르크의 초대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그는 교구의 체제를 갖추고 수도회를 육성하며 오늘날 동유럽과 러시아에 대한 선교에 힘썼다. 그의 주교 재임 중에 마그데부르크는 제국에서 가장 중요한 문화 중심지 중 하나가 되었다. 그는 학문을 장려하여 대성당 학교를 제국의 교육 중심지로 발전시켰다. 그의 제자 중에는 나중에 프라하(Prague)의 주교가 된 성 아달베르트(Adalbert, 4월 23일)도 있었다. 성 아달베르토는 981년 6월 20일 할레(Halle) 근처 츠셰르벤(Zscherben)을 방문하고 돌아오는 길에 선종하였다. 츠셰르벤은 오늘날 메르제부르크(Merseburg)에 속한 지역이다. 성 아달베르토는 ‘슬라브족의 사도’로서 공경을 받았는데, 그의 시성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옛 “로마 순교록”이나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에서 그의 이름을 찾을 수는 없다.♣

사진/그림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