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에 복음이 전해진 것은 1533년경 중국으로 가던 유럽 포르투갈의 선교사들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선교 사업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다가 1615년에 예수회가 파견되어 정식으로 복음을 전하였다. ‘베트남의 사도’로도 불리는 예수회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 신부는 1623년 성탄절에 이곳에 도착하여 1645년까지 추방과 재추방을 거듭하면서도 수많은 베트남인에게 세례를 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645년부터 1886년까지 그리스도교 신자를 탄압하는 칙령이 53건 반포되었는데, 거의 3세기에 걸쳐 혹독한 박해가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약 13만 명이 희생되었다. 박해가 계속될수록 더 잔혹해졌는데, 뜨득 황제(Tu Duc, 1847~1883년 재위) 통치 중에는 선교사들을 체포하기 위해 거액의 상금을 걸고 사제와 외국인 교리 교사들을 학살하였다. 베트남 출신 교리 교사들의 뺨에는 ‘거짓 종교’를 뜻하는 ‘타다오’(Ta dao)라는 글자로 낙인을 찍어 대중의 경멸을 받도록 했다. 신자들은 재판관 앞에서 십자가를 짓밟으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지만, 그러지 않으면 재산을 몰수당하고 가족과 떨어져 추방되거나 처형당했다. 17세기에 시작된 박해가 계속 이어지고 19세기에도 더욱 잔인한 박해가 계속되자 프랑스는 이를 막기 위해 1862년 베트남을 침략했고, 1883년에 베트남을 식민지화함으로써 박해를 종식하였다. 이때까지 박해를 받고 순교한 이들에 대한 시복시성 절차가 시작되어 1900년 5월 27일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해 64위가 복자품에 올랐다. 그리고 1906년 5월 20일에 교황 성 비오 10세(Pius X)는 베트남에서 순교한 도미니코 수도회 소속 8위를 시복하고, 1909년 5월 2일 20위의 순교자를 복자품에 올렸다. 1951년 4월 29일 네 번째로 25위의 순교자가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는 1988년 6월 19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117위 베트남의 순교복자에 대한 시성식을 거행하였다. 안남(Annam) 또는 통킹(Tonkin)의 순교자들로도 불리는 117위의 베트남 순교자들은 출신별로 보면 96위의 베트남인과 에스파냐 출신 도미니코 수도회 소속 선교사 11위 그리고 프랑스 출신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 10위가 포함되어 있다. 신분별로 보면 8위의 에스파냐와 프랑스 출신 주교들, 50위의 사제들(에스파냐와 프랑스 출신 13위와 베트남 출신 37위), 59위의 베트남 평신도들로 구성되어 있다. 성 안드레아스 둥락(Andreas Dung-Lac, 또는 안드레아 둥락)은 1795년 베트남 북부 하노이(Hanoi) 근처 박닌(Bac Ninh)에서 통킹 출신의 가난한 비그리스도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성 안드레아 둥락이 12살 때 그의 부모는 하노이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는 교리교사의 보살핌을 받으며 가톨릭 신자로 성장해 안드레아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그리고 소신학교 교장이었던 본당 신부와 함께 지내며 중국어와 라틴어를 배우고, 신학교에서 3년간 신학을 공부한 후 1823년 3월 15일 사제품을 받고 케담(Ke Dam)에서 사목 활동을 시작했다. 그는 열정적으로 설교하며 세상 문제에 대해서도 분명한 판단을 내리고 온화하게 처신해 신자들의 존경을 받았다. 박해 중에도 그는 계속해서 가난한 사람들을 방문하고 도와주었다. 그러다가 1835년 민망 황제(Minh Mang, 1820~1841년 재위)의 박해 때 체포되어 투옥되었으나 교구민이 몸값을 내서 겨우 풀려날 수 있었다. 그 후 베트남에 활동하던 선교회 사제들과 함께 활동하던 중 극심한 박해가 다시 일어나 1839년 11월 10일 파리 외방전교회의 성 베드로 쯔엉 반 티(Petrus Truong Van Thi) 신부와 함께 체포되었다. 그들은 감옥에서 심한 고문을 당하고 인간 이하의 처우를 받으면서도 서로 위로하며 고통을 나누었다. 십자가를 밟고 지나가면 풀어주겠다는 관리의 유혹을 단호히 거부한 두 신부는 하노이로 압송되었고, 그해 12월 21일 참수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성 안드레아 둥락 신부는 1900년 5월 27일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1988년 6월 19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는 로마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116위의 동료 순교자들’을 시성하면서 그들의 축일을 11월 24일에 기념하도록 보편교회 전례력에 포함하였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는 시성식 강론을 통해 혹독한 박해를 이기고 영웅적인 모범을 보인 순교자들의 용기와 신앙심에 대해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12월 21일 목록에서 오늘날 베트남 통킹만(Gulf of Tonkin)의 하노이에서 십자가를 모독하라는 명령을 거부하고 참수형을 받고 성 안드레아 둥락과 성 베드로 쯔엉 반 티가 이날 순교했는데, 11월 24일 전례 안에서 기념한다고 전해주었다. 그리고 11월 24일 목록에서는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을 기념하는 날로, 이날 베트남 여러 지역에서 순교한 117명의 순교자를 함께 기념하는데, 이들 중에는 8명의 주교와 많은 사제와 수많은 남녀노소 평신도가 포함되었으며, 그들 모두 십자가를 모독하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부인하기보다는 추방 · 투옥 · 고문 · 극심한 처벌을 선택했다고 기록하였다.♣
|
| 번호 | 성인명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추천수 |
|---|---|---|---|---|---|---|
| 7 | [안드레아 둥락( ...] | 금주의 성인: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 | 주호식 | 2023/11/21 | 128 | 0 |
| 6 | [안드레아 둥락( ...] | 베트남의 성 안드레아 둥락과 동료 순교자들|1| | 주호식 | 2012/11/03 | 1085 | 2 |
| 5 | [안드레아 둥락( ...] | 아시아 교회가 간다: 베트남 교회 | 주호식 | 2012/01/13 | 2212 | 0 |
| 4 | [안드레아 둥락( ...] | 세계 교회 신앙유산 순례: 베트남 북부지역 성지 | 주호식 | 2012/01/13 | 1058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