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요셉 응우옌 반 루(11.24)

요셉 응우옌 반 루(11.24)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요셉 응우옌 반 루 (Joseph Nguyen Van Luu)
축일 11월 2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농부, 교리교사, 순교자
활동지역 베트남(Vietnam)
활동연도 1790-1854년
같은이름 요세푸스, 요제프, 조세푸스, 조세프, 조셉, 조제프, 주세페, 쥬세페, 호세
성인 기본정보

   베트남에 복음이 전해진 것은 1533년경 중국으로 가던 유럽 포르투갈의 선교사들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그 후 선교 사업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지다가 1615년에 예수회가 파견되어 정식으로 복음을 전하였다. ‘베트남의 사도’로도 불리는 예수회의 알렉상드르 드 로드(Alexandre de Rhodes) 신부는 1623년 성탄절에 이곳에 도착하여 1645년까지 추방과 재추방을 거듭하면서도 수많은 베트남인에게 세례를 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1645년부터 1886년까지 그리스도교 신자를 탄압하는 칙령이 53건 반포되었는데, 거의 3세기에 걸쳐 혹독한 박해가 이어지면서 전국적으로 약 13만 명이 희생되었다. 박해가 계속될수록 더 잔혹해졌는데, 뜨득 황제(Tu Duc, 1847~1883년 재위) 통치 중에는 선교사들을 체포하기 위해 거액의 상금을 걸고 사제와 외국인 교리 교사들을 학살하였다. 베트남 출신 교리 교사들의 뺨에는 ‘거짓 종교’를 뜻하는 ‘타다오’(Ta dao)라는 글자로 낙인을 찍어 대중의 경멸을 받도록 했다. 신자들은 재판관 앞에서 십자가를 짓밟으면 목숨을 구할 수 있었지만, 그러지 않으면 재산을 몰수당하고 가족과 떨어져 추방되거나 처형당했다.

   17세기에 시작된 박해가 계속 이어지고 19세기에도 더욱 잔인한 박해가 계속되자 프랑스는 이를 막기 위해 1862년 베트남을 침략했고, 1883년에 베트남을 식민지화함으로써 박해를 종식하였다. 이때까지 박해를 받고 순교한 이들에 대한 시복시성 절차가 시작되어 1900년 5월 27일 교황 레오 13세(Leo XIII)에 의해 64위가 복자품에 올랐다. 그리고 1906년 5월 20일에 교황 성 비오 10세(Pius X)는 베트남에서 순교한 도미니코 수도회 소속 8위를 시복하고, 1909년 5월 2일 20위의 순교자를 복자품에 올렸다. 1951년 4월 29일 네 번째로 25위의 순교자가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는 1988년 6월 19일 바티칸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117위 베트남의 순교복자에 대한 시성식을 거행하였다. 안남(Annam) 또는 통킹(Tonkin)의 순교자들로도 불리는 117위의 베트남 순교자들은 출신별로 보면 96위의 베트남인과 에스파냐 출신 도미니코 수도회 소속 선교사 11위 그리고 프랑스 출신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 10위가 포함되어 있다. 신분별로 보면 8위의 에스파냐와 프랑스 출신 주교들, 50위의 사제들(에스파냐와 프랑스 출신 13위와 베트남 출신 37위), 59위의 베트남 평신도들로 구성되어 있다.

   성 요세푸스 응우옌 반 루(Josephus Nguyen Van Luu, 또는 요셉 응우옌 반 루)는 1790년에 베트남 남부 메콩강 삼각주 연안의 빈롱(Vinh Long) 인근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는 열심한 가톨릭 신자였던 부모 밑에서 자랐는데, 어려운 가정 형편 때문에 10살 때 부모를 따라 형제들과 함께 새로운 땅으로 이주하여 막박(Mac Bac)에 정착했다. 그는 결혼하여 일곱 자녀를 두었고 신앙생활에 충실하며 덕행을 실천하는데도 소홀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막박 마을의 촌장으로 선출된 만큼 신임을 얻었고, 교리교사로 활동하면서 박해 시기에는 선교사들과 사제들의 은신처를 마련해주기도 했다. 1851년 3월에 뜨득 황제가 가톨릭을 금지하는 엄격한 칙령을 내렸다. 그는 본당 신부를 숨겨주고 있었는데, 도박과 음주에 중독되어 현상금을 노리는 사람의 신고로 1853년 2월 26일 밤에 군인들이 그의 집을 포위하고 수색을 벌였다. 그는 군인들이 찾고 있던 베드로 루(Petrus Luu) 신부를 대신하여 스스로 체포되어 빈롱의 감옥에 갇혔다. 그곳에서 혹독한 고문을 받으면서도 흔들리지 않고 신앙을 지킨 그는 1854년 5월 2일 고문 후유증과 질병으로 인해 감옥 안에서 숨을 거두었다. 그 후 그의 시신은 막박 성당 터에 안장되었다.

   성 요셉 응우옌 반 루는 1909년 5월 2일 교황 성 비오 10세에 의해 시복되었다. 그리고 1988년 6월 19일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로마의 성 베드로 광장에서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116위의 동료 순교자들’의 일원으로 성인품에 올랐다.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는 시성식 강론을 통해 혹독한 박해를 이기고 영웅적인 모범을 보인 순교자들의 용기와 신앙심에 대해 아낌없는 칭찬을 보내며, 그들의 축일을 11월 24일에 기념하도록 보편교회 전례력에 포함하였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5월 2일 목록에서 오늘날 베트남 남부에 해당하는 코친차이나(Cochinchina)의 빈롱에서 농부이자 교리교사였던 성 요셉 응우옌 반 루가 순교했는데, 그는 군인들에게 수배된 베드로 루 신부를 대신해서 자발적으로 체포되어 뜨득 황제 때 감옥에서 숨을 거두었다고 전해주었다. 그리고 11월 24일 목록에서는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들을 기념하는 날로, 이날 베트남 여러 지역에서 순교한 117명의 순교자를 함께 기념하는데, 이들 중에는 8명의 주교와 많은 사제와 수많은 남녀노소 평신도가 포함되었으며, 그들 모두 십자가를 모독하고 그리스도교 신앙을 부인하기보다는 추방 · 투옥 · 고문 · 극심한 처벌을 선택했다고 기록하였다.♣

참고자료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하) -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91-94쪽.
  • 한국교회사연구소 엮음, 송영웅 옮김, 오늘 성인(성 교황 요한 바오로 2세가 시성한 성인들) - ‘베트남의 순교자들’,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14년, 447-482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2 [요셉 응우옌 반 ...] 아시아 교회가 간다: 베트남 교회 주호식 2012/01/13 224 0
1 [요셉 응우옌 반 ...] 베트남의 순교자들(성 요셉 루 반 응우옌) 주호식 2011/12/31 239 0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