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 베네딕투스(Benedictus, 또는 베네딕토)는 750년경 프랑스 남부 마구엘론(Maguelone)의 백작이자 서고트족(Visigoth)의 귀족인 아이굴프(Aigulf)의 아들로 태어나 위티자(Witiza)라는 이름을 얻었고, 단신왕 페팽(Pepin the Short 또는 Pepinus III), 751~768년 재위)과 샤를마뉴(Charlemagne, 768~814년 재위)의 궁정 학교에서 교육을 받은 후 군인으로 궁정에서 복무하였다. 그 후 이탈리아에 주둔했던 샤를마뉴의 군대에서 복무하던 774년 파비아(Pavia) 포위 전투에서 동생을 구하려고 강에 뛰어들었다가 거의 익사할 뻔한 위기를 경험한 후 세상을 떠나서 수도 생활에 헌신하며 하느님의 종으로 일생을 봉사하며 살겠다고 결심했다. 프랑스 남부의 랑그도크(Languedoc)로 돌아온 그는 군대를 나와 상센(Saint-Seine)의 성 베네딕토회에 입회하여 베네딕토라는 수도명을 받았다. 그는 몇 년 동안 수도원 생활을 하면서 엄격한 고행을 실천하였다. 상센 수도원의 원장이 선종한 후 동료 수도승들이 그를 수도원장으로 선출하고자 했으나 그는 수도원 규율이 너무 느슨하다고 생각해 거절하였다. 평소 동방의 수도 생활을 동경했던 그는 수도원 개혁에 미지근한 수도원을 나와 아버지에게 상속받은 몽펠리에(Montpellier) 근처 아니아네에 있는 영지로 가서 은수자로서 고적한 삶을 시작했다. 그에게 가르침을 청하는 몇몇 은수자들과 함께 780년경 동방의 엄격한 금욕주의에 기반한 수도원을 설립하였다. 하지만 기대하던 만큼 발전하지 못하자 782년경 성 베네딕토의 수도 규칙을 따르는 수도원을 그 자리에 다시 설립하였다. 그러고 나서 수많은 제자가 모여들면서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다. 그는 수도 생활의 개혁을 위해 노력하며 각 수도원이 사용하던 여러 규칙서를 성 베네딕토의 수도 규칙서와 비교 연구하여 임의 해석이 아닌 수도 규칙서 본연의 정신으로 돌아가는 것이 진정한 개혁의 출발점임을 확신했다. 이러한 성공에 고무된 샤를마뉴는 그에게 프랑크 왕국 내 전체 수도원 개혁을 위임하였다. 그의 사후 왕위를 계승한 경건왕 루이 1세(Louis I the Pious, 814~840년 재위)도 그에게 재차 수도원 개혁을 위임하였다. 성 베네딕토는 814년부터 루이 1세의 요청에 따라 아헨(Aachen) 남동쪽 인데강(Inde R.) 기슭에 코르넬리뮌스터(Kornelimunster) 수도원을 설립하고 수도원 개혁의 중심지로 삼았다. 그는 당시 사용되던 25개의 수도 규칙서를 모은 “수도 규칙서 전집”(Codex Regularum)과 그 규칙들을 성 베네딕토의 수도 규칙서와 병행하며 주석한 “규칙서들의 대조”(Concordia Regularum)를 저술했다. 결국 아니아네의 성 베네딕토는 수도원 연합의 수석 원장이 되어 모든 수도자가 같은 수도 규칙서를 따르며 세상을 포기하고 구원에 다다르기를 희망했다. 루이 1세 왕은 816년과 817년 아헨 교회 회의에서 성 베네딕토의 수도원 개혁 의지를 담아 수도자들의 생활을 개선하는 규칙인 “수도회 참사 규칙”(Capitulare Monachorum)’을 공표했다. 하지만 모든 수도원의 기원이 다양하기에 모든 수도원이 같은 규칙서에 따른 표준화된 삶을 실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했다. 성 베네딕토의 적극적인 후원자였던 루이 1세 왕이 죽은 후 중앙집권적인 수도 규칙서는 더는 사용되지 않았으나 서방 수도원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런 이유로 그는 서방 수도 생활을 쇄신한 재건자이자 종종 ‘제2의 베네딕토’라고 불린다. 성 베네딕토는 821년 2월 11일 코르넬리뮌스터 수도원에서 평화롭게 선종하였다. 코르넬리뮌스터 수도원의 수도승들은 자신들의 스승인 성 베네딕토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었던 그의 초기 제자이자 아니아네 수도원의 원장직을 이어받은 성 아르도 스마라그도(Ardo Smaragdus, 3월 7일)에게 전기 집필을 요청하였다. 성 아르도 스마라그도는 1년여의 집필 작업을 거쳐 822년에 “아니아네와 인데의 수도원장 성 베네딕토의 생애”(Vita sancti Benedicti Anianensis et Indensis abbatis)를 완성하였다. 그의 축일은 선종한 날인 2월 11일 또는 매장일인 2월 12일에 기념해왔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2월 12일 목록에서 성 베네딕토의 수도 규칙을 전파하고, 수도승들에게 주어진 관습을 충실히 준수하도록 하며, 로마 전례를 쇄신하기 위해 힘쓴 아니아네의 성 베네딕토 수도원장이 독일의 코르넬리뮌스터 수도원에서 선종했다고 기록하였다.♣
|
번호 | 성인명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조회수 | 추천수 |
---|---|---|---|---|---|---|
2 | [베네딕토(2.1 ...] | 가톨릭 영성을 찾아서: 아니아네의 베네딕투스의 수도원 개혁 | 주호식 | 2017/07/29 | 1039 | 2 |
1 | [베네딕토(2.1 ...] | 무능한 왕의 종교적 경건성 | 주호식 | 2009/07/02 | 473 |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