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가 게시판

제목 그레고리안? 그레고리오? 성가
작성자윤용선 신부 쪽지 캡슐 작성일1999-11-03 조회수2,247 추천수4 반대(0) 신고

†. 찬미 예수님

 

  여러분의 의견은 어떠하십니까?......

 

 

  [’그레고리안 성가’인가, ’그레고리오 성가’인가?]

 

  이 성가(聖歌)의 이름은 대(大) 그레고리오(Gregorius) 교황 재임시(590-604), 그분께서 전례의 개혁과 더불어 성(聖)음악 분야에 관심이 많으셨기에, 그분의 명에 의하여 그동안 이태리를 중심으로 한, 유럽 전역의 각 수도원을 중심으로 나름대로 불리어 오던 여러 성가들이 수집, 정리되어 하나의 성가집(통일 성가집)으로 만들어 지면서 붙혀지게 된 이름입니다.  즉, 아시는 바와 같이 그레고리오 교황께서 직접 작곡하신 성가라기 보다는, 그분의 뜻에 따라 성가들이 정리됨에 따라 그분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그분의 이름을 따서 새로운 단어(Gregorianus)를 만들게 된 셈입니다.  

  이런 점에 비해, 어떤 이들은 이 성가가 마치 그레고리오 교황께서 직접 작곡하신 성가인양 잘못 알고 있고, 특히 한국 천주교회의 경우는 그 명칭의 사용에서부터 이러한 혼돈을 일으킬만한 소지가 다분히 주어지고 있음도 사실입니다.  실상, 두가지 용어, 즉 ’그레고리안 성가’와 ’그레고리오 성가’를 우리 교회는 혼용(混用)하고 있음을 많은 곳(성가집, 사전, 신문, 합창단 명칭,...)에서 자주 발견하게 됩니다(예를 들어, 공의회 문헌에는 ’그레고리안 성가’라고 적혀있고, 공의회 문헌 해설 총서에서는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적혀있음).    

  정식 명칭을 보면, 라틴어로 Cantus Gregorianus『그레고리오(식, 기념)의 성가』로서, Cantus Gregorius『그레고리오(의) 성가』가 아닙니다.  이러한 정확한 구분의 모습은 이 말을 번역한 유럽 및 미국의 모든 언어들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제가 알기로는, 외래어를 그대로 한국에서 사용하는 말로 받아들여 통상적으로 사용할 경우, 그 단어의 발음나는 모습 전체를 가져와야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보더라도, Chant of Gregory(명사)가 아닌 Gregorian(관형사) Chant이기에(애매한 구분일 수 있으나, 조금은 다른 성격이라고 저로서는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Gregorian(그레고리안)’이란 단어를 받아들여야 함이 더 합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저의 부족한 생각을 위와 같이 드러내면서, ’그레고리오’ 혹 ’그레고리안’, 이 둘중 어느쪽이라도 정리, 확정의 필요성을 느낍니다.  우리 교회안에서 혼란과 혼용됨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한국천주교회 주교회의 용어위원회에서는, 몇년 전, ’그레고리오 성가’로 정해두고 있음을 알고있음에도 불구하고(제가 그쪽을 향해 질문을 올렸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마의 어느 대학 이름= 그레고리안 대학으로 통용?...)

  한국말의 어려움, 그리고 나아가 교회음악의 토착화(한국화) 또한 생각하면서.................

 

 

  저의 의견을 읽어 주시어 감사드립니다.

 

 

                                                                           부산, 윤용선 신부.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