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지/사적지 목록

교구 성지명     지역명     내용 검색

마산교구 > 문산 성당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간략설명 성당 건축의 토착화 과정을 보여주는 동서양의 조화
지번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소문리 58-1 
도로주소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 소문길67번길 9-4
전화번호 (055)761-5453
팩스번호 (055)761-5456
홈페이지 http://munsan.cathms.kr
전자메일 ms1009@cathms.or.kr
문화정보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35호(신구 성당)

복자 구한선 타대오(1844-1866년)

구한선(具漢善) 타대오는 경상도 함안 미나리골(현, 경남 함안군 대산면 평림리)의 중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총명하였던 그는 글을 많이 읽었는데, 천주교에 입교하기 전에는 어떤 요술에 빠진 적도 있었다.

어느 날 구 타대오는 우연히 천주교 신자를 만나 교리를 듣게 되었다. 그러고는 곧바로 이를 받아들여 그에게 교리를 배운 다음, 성 다블뤼(A. Daveluy, 安敦伊) 주교에게 세례를 받았다. 이후 약 10년 동안 열심히 교리를 실천하다가 리델(F. Ridel, 李福明) 신부의 복사로 선택되어 거제도 전교에 동행한 적도 있다.

1866년 병인박해가 시작된 뒤에, 구 타대오는 리델 신부와 헤어져 집으로 돌아와 지내던 중에 진주 포졸들에게 체포되어 그곳 관아로 압송되었다. 이윽고 관장 앞으로 끌려 나간 그는 갖가지 문초와 형벌을 받으면서도 결코 신앙을 버리지 않았다. 또한 옥에 갇혀서는 주요 교리를 설명한 글을 적어 관장의 부인에게 전하였다.

구 타대오의 글을 읽은 그 부인은, 관장에게 그를 석방해 주라고 청하였는데, 이 말을 들은 관장은 더욱 화가 나서 구 타대오를 옥에서 끌어내어 혹독하게 매질을 하라고 시켰다. 그럼에도 구 타대오는 ‘아프다.’는 신음 소리 한번 내지 않았다. 이에 관장이 화가 나서 ‘제대로 매질을 하지 못한다.’며 형리들을 꾸짖자, 형리들은 ‘제대로 매질을 하는 것입니다. 만일 더 때리면 그가 죽을 것입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관장이 이번에는 구 타대오를 향해 “어찌하여 ‘아프다.’는 소리 한번 내지 않느냐?” 하고 묻자, 그는 이렇게 대답하였다. “늙으신 어머니가 문밖에 있을 터인데, 만일 신음 소리를 내면 어머니가 이를 듣고 기절하실 것이므로 신음 소리를 내지 않았습니다.” 또 관장이 “그러면 어찌하여 천주교를 신봉하였느냐?” 하고 묻자, 구 타대오는 “부모에게 효도를 하라고 가르치므로 천주교를 신봉하였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이처럼 모진 형벌을 당한 뒤, 구 타대오는 석방되어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그 형벌로 7일 만에 죽었으니, 당시 그의 나이는 22세였다. 순교한 뒤 그의 이마에는 ‘품’(品)자 모양의 붉은 점이 찍혀 있었다고 한다. 구한선 타대오의 시신은 가족이 고향 인근에 안장하였다. [출처 :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편,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서울(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년]

구한선 타대오는 대전교구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하고자 한국을 사목방문한 교황 프란치스코(Franciscus)에 의해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동료 순교자 123위와 함께 시복되었다. 시복미사가 거행된 광화문 광장 일대는 수많은 순교자와 증거자가 나온 조선시대 주요 사법기관들이 위치해 있던 곳이며, 또한 처형을 앞둔 신자들이 서소문 밖 네거리 · 당고개 · 새남터 · 절두산 등지로 끌려갈 때 걸었던 순교의 길이었다.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들은 매년 5월 29일에 함께 축일을 기념한다.


복자 정찬문 안토니오(1822-1867년)

경상도 진주 허유고개 중촌(현, 경남 진주시 사봉면 무촌리)의 양반 집안에서 1822년에 태어난 정찬문(鄭燦文) 안토니오는, 먼저 세례를 받고 입교한 아내로부터 뒤늦게 천주교 신앙에 대해 듣게 되었다. 그런 다음 교리를 배워 입교하였으니, 그의 나이 41세 때인 1863년이었다.

이후 정 안토니오는 3년 이상을 열심히 계명을 지키며 살았다. 그러던 가운데 1866년 병인박해가 일어나 사방에서 신자들에 체포되기 시작하였고, 그해 가을에 그도 진주 포졸들에게 체포되었다. 이때 일가친척과 평소에 알던 그 지방의 하급 관리가 와서 “배교한다는 말만 하면 끌려가지 않도록 하겠다.” 하며 유혹하였지만 그의 신앙은 흔들리지 않았다.

진주로 끌려간 정 안토니오는, 25일 동안 옥에 갇혀 있으면서 자주 관장 앞으로 끌려 나가 혹독한 형벌을 받았다. 그 동안 그의 가산은 적몰되고 가족은 생활이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그의 아내는 밥을 빌어다 옥으로 가져가 그에게 넣어 주곤 하였다.

어느 날 정 안토니오는 다시 옥에서 끌려 나와 무수히 매를 맞았다. 그래도 그는 결코 신앙을 버리지 않았다. 그러고 나서 다시 옥으로 끌려 들어간 뒤, 그날 밤에 숨을 거두고 말았으니, 이때가 1867년 1월 25일(음력 1866년 12월 20일)로, 당시 그의 나이는 45세였다.

정찬문 안토니오가 순교한 뒤 그의 시신은 3일 동안 옥에 버려져 있었다. 그의 조카들이 그의 시신을 거두어 고향 인근에 장사를 지냈는데, 그때까지도 그의 몸이 굳지 않았고, 얼굴에 화색이 있어 산 사람 같았다고 한다. [출처 : 주교회의 시복시성 주교특별위원회 편, '복자'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하느님의 종' 증거자 최양업 토마스 신부, 서울(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년]

정찬문 안토니오는 대전교구에서 열린 제6회 아시아 청년대회에 참석하고자 한국을 사목방문한 교황 프란치스코(Franciscus)에 의해 2014년 8월 16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동료 순교자 123위와 함께 시복되었다. 시복미사가 거행된 광화문 광장 일대는 수많은 순교자와 증거자가 나온 조선시대 주요 사법기관들이 위치해 있던 곳이며, 또한 처형을 앞둔 신자들이 서소문 밖 네거리 · 당고개 · 새남터 · 절두산 등지로 끌려갈 때 걸었던 순교의 길이었다.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들은 매년 5월 29일에 함께 축일을 기념한다.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