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정하상 바오로(9.20)

정하상 바오로(9.20)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정하상 바오로 (丁夏祥 Paul)
축일 9월 20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회장, 신학생, 순교자
활동지역 한국(Korea)
활동연도 1795-1839년
같은이름 바울로, 바울루스, 빠울로, 빠울루스, 정 바오로, 정바오로, 파울로, 파울루스,
성인 기본정보

   성 정하상 바오로(丁夏祥, Paulus)는 남인 양반의 후예로 1795년 경기도 양근 지방 마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정씨 가문에서 최초로 신앙을 받아들인 복자 정약종 아우구스티노(丁若鍾, Augustinus)로 1801년 신유박해 때 맏아들인 복자 정철상 가롤로(丁哲祥, Carolus)와 함께 순교하였고, 어머니인 성녀 유 체칠리아(柳 Caecilia)는 기해박해의 여파로 1839년 11월 순교하였다. 아버지가 순교할 당시 겨우 일곱 살이었던 성 정하상 바오로와 누이동생 성녀 정정혜 엘리사벳(丁情惠, Elisabeth)은 어리다는 이유로 어머니와 함께 풀려났다.

   그러나 가산이 모두 몰수당해 살길이 막연해지자 양근 지방 마재에 있던 그의 숙부 정약용 요한(丁若鏞, Joannes)에게 의지하며 살았다. 그런데 숙부 정약용이 전라도 강진으로 귀양 가 있던 때였기에 천주교를 믿지 않던 친척들로부터 갖은 천대와 냉대를 받았지만, 성 정하상 바오로는 어려서부터 어머니로부터 기도와 교리를 충실히 배웠다. 하지만 외교인들 틈바구니에서 신자의 본분을 지키기가 어려워 20살 때에 서울로 올라와 성녀 조증이 바르바라(趙曾伊, Barbara)의 집에 머물면서 목자 없는 조선 교회의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교회 재건을 모색하였다.

   그는 함경도에 귀양 가 있던 한학자 조동섬 유스티노(趙東暹, Justinus)에게 학문을 배우고,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양반 신분을 감추고 어떤 역관의 집에 하인으로 들어가 살다가 북경에 가서 세례와 견진과 성체 성사를 받고 주교에게 성직자 파견을 요청했으나 실패하였다. 그러나 실망하지 않고 계속해서 북경까지 9회, 변문까지는 11회나 왕래하였다.

   그는 성 유진길 아우구스티노(劉進吉, Augustinus)와 성 조신철 가롤로(趙信喆, Calolus) 그리고 강진에 유배 가 있는 삼촌 정약용의 자문과 후원으로 끊임없이 성직자 영입 운동을 전개했다. 그들은 로마 교황에게 탄원서를 보내는 한편, 북경 주교에게도 서신 등을 보냄으로써 마침내 조선 교회가 파리 외방 전교회에 위임됨과 동시에 조선 독립교구가 설정되었다. 마침내 그는 유방제 파치피코(劉方濟, Pacificus) 신부를 조선으로 모셔 들이고, 성 모방 베드로(Maubant Petrus) · 성 샤스탕 야고보(Chastan Jacobus) 신부와 성 앵베르 라우렌시오(Imbert Laurentius) 주교까지 모셔 들여 자신의 집에 모셨다.

   성 정하상 바오로가 사제가 되기에 적당하다고 여긴 성 앵베르 라우렌시오 주교가 그에게 라틴어와 신학을 가르치던 중 박해가 일어나자 그는 주교를 피신시키고 순교의 때를 기다렸다. 이때 그는 체포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재상서”(上宰相書, 재상에게 올리는 글)를 작성했는데, 이것이 조선 교회 최초의 호교론서(護敎論書)이다. 그는 이 글 속에서 박해의 부당성을 뛰어난 문장으로 논박했기 때문에 조정에서까지 이 글에 대하여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고 한다.

   기해박해가 한창이던 1839년 7월 11일, 포졸들이 성 정하상 바오로의 집에 달려들어 그와 그의 노모와 누이동생을 잡아 포도청으로 압송한 후 성 정하상 바오로와 4대 조상까지의 이름을 명부에 올리고 옥에 가두었다. 이튿날 “상재상서”를 포장대리에게 주니 사흘 후 문초가 시작되었다. 성 정하상 바오로는 무서운 고통을 강인하게 참아나갔고 배교하라는 엄명 또한 단호히 거절하였다. 며칠 뒤 옥에서 다시 끌려 나와 톱질형을 받아 살이 떨어져 나가고 골수와 피가 쏟아져 나왔다. 또한 그는 성 샤스탕 야고보와 성 모방 베드로 신부의 은신처를 대라는 심문에도 끝내 입을 열지 않았다. 그 후 두 신부가 자수한 다음 재차 심문을 받고 세 차례의 고문을 더 받았다. 그리하여 1839년 9월 22일, 서양 신을 나라에 끌어들인 모반죄와 부도(不道)의 죄명을 쓰고 성 유진길 아우구스티노와 함께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을 받아 순교하였다. 이때 그의 나이는 45세였다.

   성 정하상 바오로의 유해는 순교 후 고향인 양근의 분원(경기도 광주시 남종면 분원리) 인근 배알미리(경기도 하남시 배알미동)에 묻혔다. 그리고 1981년 10월 파묘되는 과정에서 남은 유해를 거두어 수원교구 하남 신장성당에 안치했다가 그해 12월 31일 천진암 성지로 옮겨져 안장되었다. 그는 1925년 7월 5일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복되었고, 1984년 5월 6일 한국 천주교회 창설 200주년을 기념해 방한한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서울 여의도 광장에서 ‘103위 한국 순교성인’ 중 한 명으로 성인품에 올랐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9월 22일 목록에서 한국의 서울에서 성 정하상 바오로와 성 유진길 아우구스티노가 잔혹한 고문을 받고 순교했다고 기록하였다. 그의 축일은 9월 20일 ‘성 김대건 안드레아 사제와 성 정하상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들 대축일’에 함께 경축하고 있다.♣

참고자료

  • 구중서 외 저, 한국천주교회가 낳은 103위 순교성인들의 생애 1 - '성 바울로 정하상, 성녀 엘리사벳 정정혜, 성녀 체칠리아 유', 서울(성황석두루가서원), 1992년, 126-175쪽.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상) - '성 정하상 바오로 순교자',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321-327쪽.
  • 신중신 저, 강 건너 저편 - 소설 정하상, 서울(바오로딸), 2005년.
  • 아드리앙 로네/폴 데통베 저, 안응렬 역, 한국 순교자 103위 성인전 (상), '제12장 정 바오로와 유 아우구스티노', 2016년, 198-217쪽.
  • 조현범 저, 순교자의 삶과 신앙 - '순교자 정하상의 삶과 신앙', 서울(도서출판 형제애), 2014년, 99-147쪽.
  • 최영미 저, 성인 정하상 바오로, 수원(하상출판사), 2018년.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10권 - '정하상',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2004년, 7588-7591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23 [정하상 바오로( ...] 그림 읽어주는 신부: 성 정하상 바오로(박득순 작)|2| 주호식 2020/09/19 1176 1
22 [정하상 바오로( ...] 기해박해 순교자의 삶과 신앙: 기해박해 대표 순교자 정하상 ... 주호식 2019/10/28 242 0
21 [정하상 바오로( ...] 가족의 인연을 하느님께로: 성 정하상 바오로 가족 주호식 2019/09/09 480 0
20 [정하상 바오로( ...] 굿뉴스 연재 기해박해 순교자 약전: 정하상 바오로(1795- ...|9| 굿뉴스 2019/08/30 1033 3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