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목록

구분 성인명     축일 신분 지역명 검색
바르톨로메오(8.24)

바르톨로메오(8.24) 기본정보 [기본정보] [사진/그림] [자료실] 인쇄

성인명, 축일, 성인구분, 신분, 활동지역, 활동연도, 같은이름 목록
성인명 바르톨로메오 (Bartholomew)
축일 8월 2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사도,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세기
같은이름 나타나엘, 바르똘로메오, 바르똘로메우스, 바르톨로매오, 바르톨로매우스, 바르톨로메우스
성인 기본정보

   사도 성 바르톨로메우스(Bartholomaeus, 또는 바르톨로메오)는 열두 사도의 한 사람으로 공관복음(마태 10,3; 마르 3,18; 루카 6,14)과 사도행전(1,13)에서 예수님께서 뽑은 열두 사도 명단에 그 이름이 등장하는 것 외에 달리 신약성경 어디에서도 그에 관한 기록이 나오지는 않는다. 히브리 말로 ‘바르’는 아들이란 뜻이다. 그래서 ‘바르톨로메오’는 ‘톨마이’(Tolmai) 또는 ‘탈마이’(Talmai)의 아들이란 뜻이 된다. 9세기경부터 요한복음에 나오는 갈릴래아 카나 출신의 나타나엘(Nathaniel)과 성 바르톨로메오를 동일 인물로 보는 견해가 대두되었다. 성 나타나엘은 사도 성 필립보(Philippus, 5월 3일)의 인도로 예수님을 만나 예수님으로부터 “보라, 저 사람이야말로 참으로 이스라엘 사람이다. 저 사람은 거짓이 없다.”(요한 1,47)라는 칭찬을 들었다. 물론 성 바르톨로메오와 나타나엘을 동일인으로 보지 않는 견해도 있다. 만약 성 바르톨로메오가 나타나엘과 같은 사람이라면 그는 갈릴래아 카나 출신으로(요한 21,2) 사도 성 필립보를 통해 예수님을 만나고 그분이 메시아임을 깨달았다(요한 1,45-49). 예수님을 만난 그는 예수님께 신앙 고백을 하고,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메시아를 볼 것이라는 약속을 하셨다(요한 1,51). 그러나 성 바르톨로메오와 나타나엘이 같은 인물이 아니라면 성경에서 그에 대한 정보는 사도 명단 외에는 찾아볼 길이 없다.

   에우세비우스(Eusebius)의 “교회사”에 의하면 그는 인도에서 선교활동을 했고 히브리어로 마태오 복음을 저술했다고 한다. 다른 전승에 의하면 성령강림 후 사도들이 세상 곳곳으로 가서 복음을 전할 때, 성 바르톨로메오는 동쪽으로는 메소포타미아와 이란을 거쳐 인도까지 복음을 전하고 그곳 신자들에게 마태오 복음 사본을 전해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소아시아 중남부의 리카오니아(Lycaonia)를 비롯해 카스피해(Caspian Sea) 남쪽, 오늘날의 이란 북부 지역까지 가서 선교했다는 전승도 있다. 성 바르톨로메오는 사도 성 유다 타대오(Judas Thaddaeus, 10월 28일)와 함께 아르메니아(Armenia)에도 복음을 전했다고 전해지는데, 고대 아르메니아는 이미 4세기에 최초로 복음화가 된 나라였다. 2000년 교황 성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 10월 22일)는 아르메니아 복음화 1,700주년을 기념해 방문하기도 했고, 사도 성 바르톨로메오와 성 유다 타대오는 아르메니아 교회의 수호성인으로서 큰 공경을 받고 있다.

   아르메니아에서 성 바르톨로메오는 그 지역 왕의 동생을 개종시켰다는 이유로 왕실의 박해를 받아 순교했다고 전해진다. 순교 방법에 대해서는 십자가에 거꾸로 매달려 창에 찔려 순교했다거나 자루에 담겨 바다에 버려졌다는 등 여러 전승이 있으나, 산 채로 살갗을 벗기는 고통을 당한 후 참수형을 받고 순교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래서 칼과 벗겨진 살가죽이 그의 상징이 되었다. 미켈란젤로(Michelangelo)는 바티칸의 시스티나 경당(Sacellum Sixtinum)에 ‘최후의 심판’을 그리면서 심판관이신 구세주 예수 그리스도께 자신의 살가죽을 두 팔로 봉헌하는 모습으로 사도 성 바르톨로메오의 모습을 표현했다. 사도 성 바르톨로메오의 유해는 507년경 황제 아나스타시우스 1세(Anastasius I)가 오늘날 시리아 동부에 있는 고대도시 두라에우로포스(Dura-Europos)로 모셔왔다. 그 후 최종적으로 983년 오토 3세(Otto III) 황제에 의해 로마로 옮겨졌고, 테베레강에 있는 섬(이졸라 티베리나)에 성 바르톨로메오 성당을 세워 그곳에 안치하였다. 성인의 두개골 일부는 1238년 독일 프랑크푸르트(Frankfurt)로 모셔져 그곳에 성 바르톨로메오 대성당이 세워졌다.

   옛 “로마 순교록”은 8월 24일 목록에서 사도 성 바르톨로메오가 인도에서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고 아르메니아로 건너가 그곳에서 많은 사람을 개종시킨 후 산 채로 살가죽을 벗기고 고통을 당한 후 왕의 명령으로 참수당해 순교했다고 전해주었다. 그리고 그의 유해가 로마의 테베레강에 있는 섬으로 옮겨진 역사를 전하며 그곳에서 신자들의 공경을 받고 있다고 했다. 2001년 개정 발행되어 2004년 일부 수정 및 추가한 “로마 순교록”은 같은 날 목록에서 보통 나타나엘과 동일 인물로 여겨지는 사도 성 바르톨로메오가 갈릴래아 지방 카나에서 태어나 성 필립보에 의해 요르단강 근처에서 예수님께 인도되었고, 예수님께서 그를 열두 제자의 하나로 부르셨으며, 주님 승천 후에 인도에서 주님의 복음을 전하고 그곳에서 순교의 월계관을 받았다고 기록하였다. 그는 미장공, 가죽 세공인, 푸줏간, 제본 업자 등의 수호성인이며, 동시에 피부 및 신경계 관련 질환을 앓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주는 성인으로 공경을 받고 있다. 동방 정교회에서는 그의 축일을 사도 성 바르나바(Barnabas)와 함께 6월 11일에 기념한다.♣

참고자료

  • 고종희 저, 명화로 읽는 성인전(알고 싶고 닮고 싶은 가톨릭성인 63인) - '바르톨로메오', 서울(한길사), 2014년, 85-92쪽.
  • 김정진 편역, 가톨릭 성인전(상) -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309-311쪽.
  • 신치구 저, 성서와 전설에서 본 열두 사도의 생애 - '바르톨로메오', 서울(가톨릭출판사), 2004년, 231-264쪽.
  • 야코부스 데 보라지네 저, 변우찬 역, 황금 전설 : 성인들의 이야기 - '성 바르톨로메오', 서울(일파소), 2023년, 702-712쪽.
  • 정진석 저, 위대한 사명(구세주의 협조자들) - '나타나엘 바르톨로메오 사도', 서울(가톨릭출판사), 2019년, 217-225쪽.
  • 한국가톨릭대사전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제5권 - '바르톨로메오', 서울(한국교회사연구소), 1997년, 3043-3044쪽.
  • L. 폴리 저, 이성배 역, 매일의 성인, '성바르톨로메오 사도', 서울(성바오로), 2002년, 214-216쪽.

사진/그림

자료실

성인 게시판
번호 성인명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10 [바르톨로메오(8 ...] 저는 믿나이다: 필립보 사도와 바르톨로메오 - 소아시아 지역 ... 주호식 2025/05/22 39 0
9 [바르톨로메오(8 ...] 성경 속 인물: 진리를 찾는 진실한 사람, 바르톨로메오 주호식 2025/04/02 61 0
8 [바르톨로메오(8 ...] 명화와 만나는 성인 이야기: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과 성 ... 주호식 2020/03/21 649 0
7 [바르톨로메오(8 ...] 명화와 성인: 예수님의 사도 성 바르톨로메오 주호식 2017/08/19 2304 2
검색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