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실

제목 [구약] 예언서 여행: 이사야서 입문
작성자주호식 쪽지 캡슐 작성일2012-07-28 조회수5,805 추천수1
[예언서 여행] 이사야서 입문


1) 이사야 예언자는 누구인가?

‘야훼는 구원자’ 또는 ‘야훼께서 구원하시다’는 의미를 지닌 이사야 예언자는 기원전 760년경 아모츠의 아들로 태어났다(1,1a). 그의 이름은 야훼 하느님께서 당신 백성 이스라엘을 구원하시고자 하신 그분의 계획이 이사야 예언자를 통해 선포되고 또 실현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의미에서 집회서의 저자는 “거룩하신 분께서는 하늘에서 그들의 청을 곧바로 들어 주시어, 이사야의 손으로 그들을 구해주셨다.”(48,20)고 증언한다.


2) 이사야 예언자가 활동하던 시대적 배경

이사야 예언자는 “유다의 임금 우찌야, 요탐, 아하즈, 히즈키야 시대에 유다와 예루살렘에서”(1,1b) 활동했다. 이사 6,1은 이사야 예언자가 “우찌야 임금이 죽던 해에”(기원전 740년/739년) 예언자로서의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았다고 한다. 이사야 예언자가 언제 죽었는지에 대해서는 정확히 알 수 없지만, 2열왕 21,16을 근거로 수많은 예언자들을 죽인 므나쎄 임금(기원전687∼642년)에게 죽임을 당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3) 이사야서의 구분 기준

전체 66장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이사야 예언서를 자세히 읽어 보면, 그 안에는 이사야 예언서가 한 예언자에 의해 기록되었다고 볼 수 없는 여러 가지 정황들이 등장한다. 성경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기준을 근거로 이사야서를 제1이사야서(1-39장)와 제2 이사야서(40-55장), 그리고 제3 이사야서(56-66장)로 나누어 설명한다.

① 시대 배경의 차이

팔레스티나가 아시리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기원전 8세기를 배경으로 하는 제1 이사야서는 황금만능주의와 우상숭배에 빠진 남부 유다 왕국의 현실(2열왕 16,10-18 참조)과 백성들 사이에 성행한 사회적인 불의를 고발하면서(이사 1-5장 참조), 다윗의 후손으로서 ‘공정과 정의’(이사 9,6)를 실현할 새로운 임금의 출현을 예고한다.

이스라엘 백성의 바빌론 유배(기원전 587∼538년)를 배경으로 하는 제2 이사야서는 고대 근동의 패권이 바빌론에서 페르시아로 옮아갈 것임을 예고하면서, 야훼의 ‘기름부음 받은 이’, 즉 메시아의 출현을 예고한다(45,1).

이사 57,14-20; 58,1-12; 60-62장; 65,16b-25; 66,6-16의 신탁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제3 이사야는 이스라엘 백성이 바빌론 유배에서 귀환한 직후(기원전 538∼520년)에 주로 활동한 것으로 보인다. 이 시기에 바빌론 유배에서 돌아온 귀환자들은 하까이와 즈카르야 예언자들의 격려 속에서 예루살렘 성전을 재건하기 위해 온 힘을 기울인다.

② 중심 주제의 차이

제1 이사야서는 예루살렘과 그곳 주민들의 죄를 고발하고 그에 대한 재앙을 선포한다(1,2-3.21-31; 3장 등 참조). 그와 함께 비록 언제인지는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미래에 있게 될 야훼 하느님의 구원을 선포한다(2,2-5; 4,2-6; 5장 등 참조).

제2 이사야서는 바빌론 유배의 고통 중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유배에서의 귀향(41,17-20; 43,1-7.16-21; 48,20-22; 49,8-26 등 참조)과 예루살렘의 번영을 선포한다(44,24-28; 52,1-12; 54장 참조). 특히 이 부분에서는 ‘고통받는 야훼의 종’(42,1-9; 49,1-7; 50,4-11; 52,13-53,12)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에게 내릴 하느님의 구원 선포가 중점적으로 전개된다.

제3 이사야서는 고유한 중심 주제가 발견되지 않고 이스라엘 백성의 죄악을 고발하고(56,9-12; 57,3-13; 59,1-8 등 참조) 그들에게 구원을 선포하는(59,16-20 등 참조) 등 제1 이사야와 제2 이사야에서 다루어진 주제들을 반복한다. 그러나 예루살렘 재건과 관련된 선포들은(57,14-21; 58,12 참조) 제3 이사야가 앞의 두 부분과 다른 시대적인 배경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4) 이사야서의 구조

이사야서도 ‘이스라엘에 대한 하느님의 심판 선포 → 이민족들에 대한 불행 선포 → 이스라엘에 대한 구원의 약속’이라는 전통적인 도식을 따르고 있다.

A. 심판의 책(이사 1,1-39,8) 1장 도입부, 2-12장 유다 왕국과 예루살렘에 내린 신탁, 13-23장 이민족들에 내린 신탁, 24-27장 이사야의 묵시록(묵시문학적 단편 모음), 28-33장 유다 왕국에 대한 약속과 위협, 34-35장 작은 묵시문학적 단편 모음, 36-39장 이사야의 회고록.

B. 위로의 책(이사 40,1-66,24) 40,1-48,21 이스라엘의 해방에서 드러나는 주님의 영광, 49,1-55,13 죄의 속죄와 이스라엘의 영적인 해방, 56,1-66,24 포로들의 귀환.

[2010년 3월 14일 사순 제4주일 전주주보 숲정이 3면, 서동원 다미아노 신부(전주가톨릭신학원 교수)]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