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Re: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2808항 우리말 번역 오류에 대하여 카테고리 | 천주교
작성자안현신 쪽지 캡슐 작성일2011-05-16 조회수472 추천수4 신고

A only if B 표현의 우리말 번역에 대하여

 소순태 (sunsoh) (2011/05/14) : + 찬미 예수님! 위의 글은, "A only if B" 라는 표현을 "B일 때만 ..." 라는 표현의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어떻게 "..." 부분을 우리말로 표현하여야, 인과 관계에 있어 논리적으로 하자가 없는 번역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글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4) :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하여, 특히, 평소에 우리말 문장으로 법리를 밝혀야 하는, 국내의 법조계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의 고견들을 듣고 싶습니다.  
 
 안현신 (cassini) (2011/05/14) : 형제님다음 부분=> 자국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도입될 수 있는 오류에 의한 교회법 조문들에 대한 법리 및 해석에 있어서의 혼란을 사전에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하여,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은 라틴어 원문과 이 라틴어 원문에 대한 교도권의 해석만이 유효하다고 교회는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자국어로 번역된 교회법 조문들은 교회법적으로 어디까지나 참고 사항일 뿐]이단서조항의 출처는 어디인지요??   
 
 소순태 (sunsoh) (2011/05/15) : + 찬미 예수님! 우리말 교회법 머리말을 참고하십시오.  
 
 소순태 (sunsoh) (2011/05/15) : 뭐, 이런 설명이 주어져 있습니다: 물론 완전한 번역이란불가능한 일이고 또 해석상의 여러 문제가 따를 수 있으므로, 라틴어 원문만이 법적 효력을 갖는다는 것은 온당한 일이다.  
 
 소순태 (sunsoh) (2011/05/15) : 그리고 일러두기에는 다음의 설명이 있습니다: 교회법전의 번역판은 반드시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싣는 대역본으로만 출판 허가되고 라틴어 원문만 법적 효력을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 찬미 예수님!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핵심 문헌들을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라틴어 정본 및 여러 나라 언어로의 번역본들을 또한 읽을 수 있으며, 라틴어 정본들을 읽을 때에 또한 이들 여러 나라 언어로의 번역본들을 함께 읽는 습관을 가지는 것은 참 유익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느 나라의 언어로 라틴어 정본들이 번역이 되더라도, 번역 과정에서 그 내용이 달라져서는 아니될 것이며, 특히 교황청 홈페지 제공의 여러 나라 언어로의 번역본들에는 이러한 문제가 전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http://www.vatican.va/archive  
 
 소순태 (sunsoh) (2011/05/16) : [제 경우에는 이제 아마도 십 수년은 되었을 것입니다만], 평소에 바로 위의 한줄답변에서 안내해 드린 주소에 자주 접속하여, 예를 들어, 동일한 라틴어 정본의 이태리어 번역본, 프랑스어 번역본, 영어 번역본들을 동시에 비교/검토하면서 학습하는 습관을 가지면, 지중해 지역의 여러 언어들에 대한 학습도 되는 등, 매우 유익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예를 들어, 다음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여 보십시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 제110항에 대한, 이태리어 번역본, 프랑스어 번역본, 그리고 영어 번역본을 동시에 비교/검토하면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참고입니다만,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은 라틴어 정본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자료는, 언어장벽/문화장벽을 극복하는 데에 약간의 도움을 드리고자, 저의 졸저서(" ... 성경공부 해설서")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a_transfig_c554.htm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어느나라의 언어로 해석된다한들...라틴어 원본을훼손하며 번역하겠습니까??원본을 훼손하도록 번역을 하지도 않겠지요...형제님께서는...너무 우리교회문헌의 번역을 펌훼하시는것같다는게 여기 달린 형제님의 꼬릿글을 보고 느낀것입니다...저는 이렇게 해석되던데요...적용할때..-해석이아니라-라틴원문을 훼손없이 그대로 적용해야할것이다..   
 
 안현신 (cassini) (2011/05/16) : 한번의 해석으로 덜컥 번역하는것도 아닐것이며...해석해놓은것을 다시검토하고 또 다시 검토하지 않겠습니까??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어느나라의 언어로 해석된다한들...라틴어 원본을훼손하며 번역하겠습니까??원본을 훼손하도록 번역을 하지도 않겠지요...형제님께서는...너무 우리교회문헌의 번역을 펌훼하시는것같다는게 여기 달린 형제님의 꼬릿글을 보고 느낀것입니다...저는 이렇게 해석되던데요...적용할때..-해석이아니라-라틴원문을 훼손없이 그대로 적용해야할것이다.. 한번의 해석으로 덜컥 번역하는것도 아닐것이며...해석해놓은것을 다시검토하고 또 다시 검토하지 않겠습니까??] <----- 말씀하신대로 당연히 그래야지요... 그런데, 자세히 비교/검토하면서 들여다 보면 간혹 번역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고의로 번역이 잘못된 경우는 없다는 생각이며, 우리말로 번역 후에, 예를 들어, 프랑스어 번역본, 이태리어 번역본, 영어 번역본과 내용에 있어 동일하도록 철저한 비교/검토를 하여야 하는데, 바로 이 단계에서, 이들 외국어 자체로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비교/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문화장벽/언어장벽 때문에 그러지 못한 경우가 간혹 있다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예를 들어, 교황청 발 핵심 문헌들 대부분이 근거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신학 대전에서 정의되고 있는 개념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분들이 교회 문헌을 번역하는 한 제가 지속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번역 오류에 관한 문제의 해결은 상당히 힘들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번역 과정에서, 문화장벽/언어장벽 등으로 발생하는 개념 전달 오류가 특히 문제이며, 지난 십 수년간 고민하면서도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참으로 힘들었으나, 작년 1월경에 나름대로 확실하게 파악하게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다행히 요 근래에 들어와, 이제 국내 언론들도 외국어로 된 우리나라와 다른 다라 사이의 외교 협약 문서들의 우리말 번역문의 번역 오류들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니, 앞으로는 많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그런데, 위의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번역 오류는 해당 우리말 번역 표현의 논리적인 면의 부적절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에, 우리말을 사용하는 분들 모두가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하여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안현신 (cassini) (2011/05/16) : 그런데, 위의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번역 오류는 해당 우리말 번역 표현의 논리적인 면의 부적절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에, 우리말을 사용하는 분들 모두가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하여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형제님의 생각도 생각으로 그쳐야한다는 생각입니다.이런생각을 정론으로 주장하시면 안된다는겁니다..형제님의 주장이라면...자국어해석도 필요없는것으로 해석되어집니다..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왜냐면 자국어번역본은 단지 참고할뿐이지...적용은 라틴어원문...으로만 해야한다..이렇게 나오기때문입니다...형제님...성경을 위시하여 모든 교회의 문헌들...을...교회에서 함부로 해석하고 번역하지 않는다는것은 이미 형제님이 인정하셨습니다...그렇다면 그런 형제님의 생각들도 생각으로 그쳐야할것입니다...이곳 교회게시판에서 교회의 해석이 틀렸으니 따를필요없다고 이야기하시는건...저항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형제님께서는 이미 교회인가 출판사에서 성경을 번역하신 저서도 있지 않습니까...저는 형제님께서 한국 가톨릭에서 성경과 각종 문헌 번역에 대해 어떤 자격과 위치를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안현신 (cassini) (2011/05/16) : 그리고 번역오류에 대한 지적이나 수정권고의 권한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하구요..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지적과 비판을 거부하는것이 아닙니다..그것이 순수한 비판이 되고 지적이 되어야한다는게 제 지론입니다...그러나...형제님의 기준으로 한 해석에 대해 교회의 판단이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 형제님만 옳다고 주장하시는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전문지식이 없는 저나 이글을 보는 다른 신자분들에게 오히려 혼란만 줄뿐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가만히 보니, 참으로 왜곡을 잘 하시네요... 기존의 체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의 우리말 번역부터 번역을 다시 하여야 한다는 이야기는 일부 사제들께서도 지적하고 있는 줄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제들께서도 저의 지적의 글들을 읽고 계시니, 그냥 지켜보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위의 한줄답변에서와 같은 의심과 왜곡의 말씀들은 정도가 지나치기에,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평소 습관대로 우리말 번역문들과 영문본 (혹은 프랑스어본들)을 비교/검토하면서 읽다가, 간혹 심각한 번역 오류로 보이는 부분이 발견되면 그때 그때 작성하여 올려드리는 일종의 보고의 글들이기도 하니, 쓸데없는 오해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안현신 (cassini) (2011/05/16) : 무슨 왜곡을 어떻게 했다는 말입니까??제글 다 삭제하시고..왜곡이라니요??제가 틀린말한게 있습니까??제가 형제님말이 틀렸다고 했나요??내용도 없는글에 저와 형제님의 대화였지않나요??글은 다 삭제를 해놓고 왜곡이라했다가..오해없기를 바란다니오..정말 너무하신거 아닙니까?? 그리고 왜 제 글엔 답변이 없습니까?? 그럼 형제님이 성경과 교회문헌을 번역하시는 담당자입니까?? 제가 없는말하였던가요??도대체 형제님은 교회에 어떤 권한을 부여받아서...그 보고의 글을 쓰시냐구요..그것은 제가 교회당국자에게 따지고 넘어가겠습니다..서울대교구든 주교회의든간에요..아니면 서울대교구신학교 교수신부님께라도 여쭐생각입니다.. 

 

이곳 교회게시판에서 교회의 해석이 틀렸으니 따를필요없다고 이야기하시는건...

아마 제가 쓴 이부분때문에 의심과 왜곡의 말씀들은 정도가 지나치다라고 생각하셨나본데..

제가 본것만해도 몇개됩니다만...

이게 왜곡인가요??의심이구요??

 

다시한번여쭙습니다...

소형제님께서는

성경이나 교회문헌 번역에 관하여 어떤 권한을 부여받으셨기에

오류에 관해 보고해야한다고 하시는지...

그리고

형제님께서 한 해석에 대해

보고해야한다고 해놓고서

교회의 감수없이 이렇게 주장하실 권한을 부여받으신건지...

 =======================================================================================

  소순태 (sunsoh) (2011/05/14) : + 찬미 예수님! 위의 글은, "A only if B" 라는 표현을 "B일 때만 ..." 라는 표현의 우리말로 번역할 때에 어떻게 "..." 부분을 우리말로 표현하여야, 인과 관계에 있어 논리적으로 하자가 없는 번역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글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4) : 이 글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하여, 특히, 평소에 우리말 문장으로 법리를 밝혀야 하는, 국내의 법조계에 종사하고 계신 분들의 고견들을 듣고 싶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5) : + 찬미 예수님! 우리말 교회법 머리말을 참고하십시오.  
 
 소순태 (sunsoh) (2011/05/15) : 뭐, 이런 설명이 주어져 있습니다: 물론 완전한 번역이란불가능한 일이고 또 해석상의 여러 문제가 따를 수 있으므로, 라틴어 원문만이 법적 효력을 갖는다는 것은 온당한 일이다.  
 
 소순태 (sunsoh) (2011/05/15) : 그리고 일러두기에는 다음의 설명이 있습니다: 교회법전의 번역판은 반드시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싣는 대역본으로만 출판 허가되고 라틴어 원문만 법적 효력을 가지도록 규정되어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 찬미 예수님! 다음의 인터넷 주소에 접속하면, 교황청 홈페이지 제공의 가톨릭 교회 핵심 문헌들을 누구나 읽을 수 있습니다. 라틴어 정본 및 여러 나라 언어로의 번역본들을 또한 읽을 수 있으며, 라틴어 정본들을 읽을 때에 또한 이들 여러 나라 언어로의 번역본들을 함께 읽는 습관을 가지는 것은 참 유익하리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느 나라의 언어로 라틴어 정본들이 번역이 되더라도, 번역 과정에서 그 내용이 달라져서는 아니될 것이며, 특히 교황청 홈페지 제공의 여러 나라 언어로의 번역본들에는 이러한 문제가 전혀 없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http://www.vatican.va/archive  
 
 소순태 (sunsoh) (2011/05/16) : [제 경우에는 이제 아마도 십 수년은 되었을 것입니다만], 평소에 바로 위의 한줄답변에서 안내해 드린 주소에 자주 접속하여, 예를 들어, 동일한 라틴어 정본의 이태리어 번역본, 프랑스어 번역본, 영어 번역본들을 동시에 비교/검토하면서 학습하는 습관을 가지면, 지중해 지역의 여러 언어들에 대한 학습도 되는 등, 매우 유익할 것이라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예를 들어, 다음의 인터넷 주소를 클릭하여 보십시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CCCC) 제110항에 대한, 이태리어 번역본, 프랑스어 번역본, 그리고 영어 번역본을 동시에 비교/검토하면서 읽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참고입니다만, 가톨릭 교회 교리서 요약편은 라틴어 정본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 자료는, 언어장벽/문화장벽을 극복하는 데에 약간의 도움을 드리고자, 저의 졸저서(" ... 성경공부 해설서")의 인터넷 각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http://ch.catholic.or.kr/pundang/4/a_transfig_c554.htm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어느나라의 언어로 해석된다한들...라틴어 원본을훼손하며 번역하겠습니까??원본을 훼손하도록 번역을 하지도 않겠지요...형제님께서는...너무 우리교회문헌의 번역을 펌훼하시는것같다는게 여기 달린 형제님의 꼬릿글을 보고 느낀것입니다...저는 이렇게 해석되던데요...적용할때..-해석이아니라-라틴원문을 훼손없이 그대로 적용해야할것이다.. 한번의 해석으로 덜컥 번역하는것도 아닐것이며...해석해놓은것을 다시검토하고 또 다시 검토하지 않겠습니까??] <----- 말씀하신대로 당연히 그래야지요... 그런데, 자세히 비교/검토하면서 들여다 보면 간혹 번역에 문제가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고의로 번역이 잘못된 경우는 없다는 생각이며, 우리말로 번역 후에, 예를 들어, 프랑스어 번역본, 이태리어 번역본, 영어 번역본과 내용에 있어 동일하도록 철저한 비교/검토를 하여야 하는데, 바로 이 단계에서, 이들 외국어 자체로 그 내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제대로 된 비교/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는데 문화장벽/언어장벽 때문에 그러지 못한 경우가 간혹 있다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예를 들어, 교황청 발 핵심 문헌들 대부분이 근거하고 있는, 성 토마스의 신학 대전에서 정의되고 있는 개념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분들이 교회 문헌을 번역하는 한 제가 지속적으로 지적하고 있는 번역 오류에 관한 문제의 해결은 상당히 힘들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번역 과정에서, 문화장벽/언어장벽 등으로 발생하는 개념 전달 오류가 특히 문제이며, 지난 십 수년간 고민하면서도 그 이유를 파악하는 것이 참으로 힘들었으나, 작년 1월경에 나름대로 확실하게 파악하게 되었다는 생각입니다. 다행히 요 근래에 들어와, 이제 국내 언론들도 외국어로 된 우리나라와 다른 다라 사이의 외교 협약 문서들의 우리말 번역문의 번역 오류들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기 시작하였으니, 앞으로는 많이 좋아질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그런데, 위의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번역 오류는 해당 우리말 번역 표현의 논리적인 면의 부적절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에, 우리말을 사용하는 분들 모두가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하여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가만히 보니, 참으로 왜곡을 잘 하시네요... 기존의 체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들의 우리말 번역부터 번역을 다시 하여야 한다는 이야기는 일부 사제들께서도 지적하고 있는 줄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제들께서도 저의 지적의 글들을 읽고 계시니, 그냥 지켜보아 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위의 한줄답변에서와 같은 의심과 왜곡의 말씀들은 정도가 지나치기에, 삭제하도록 하겠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평소 습관대로 우리말 번역문들과 영문본 (혹은 프랑스어본들)을 비교/검토하면서 읽다가, 간혹 심각한 번역 오류로 보이는 부분이 발견되면 그때 그때 작성하여 올려드리는 일종의 보고의 글들이기도 하니, 쓸데없는 오해 없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안현신 (cassini) (2011/05/16) : 무슨 왜곡을 어떻게 했다는 말입니까??제글 다 삭제하시고..왜곡이라니요??제가 틀린말한게 있습니까??제가 형제님말이 틀렸다고 했나요??내용도 없는글에 저와 형제님의 대화였지않나요??글은 다 삭제를 해놓고 왜곡이라했다가..오해없기를 바란다니오..정말 너무하신거 아닙니까?? 그리고 왜 제 글엔 답변이 없습니까?? 그럼 형제님이 성경과 교회문헌을 번역하시는 담당자입니까?? 제가 없는말하였던가요??도대체 형제님은 교회에 어떤 권한을 부여받아서...그 보고의 글을 쓰시냐구요..그것은 제가 교회당국자에게 따지고 넘어가겠습니다..서울대교구든 주교회의든간에요..아니면 서울대교구신학교 교수신부님께라도 여쭐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그런데, 위의 글에서 지적하고 있는 번역 오류는 해당 우리말 번역 표현의 논리적인 면의 부적절함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기에, 우리말을 사용하는 분들 모두가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하여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이러한 형제님의 생각도 생각으로 그쳐야한다는 생각입니다.이런생각을 정론으로 주장하시면 안된다는겁니다..형제님의 주장이라면...자국어해석도 필요없는것으로 해석되어집니다.. ]<----- 자국어해석이 필요없다고 제가 말한 적이 없으므로, 그렇게 해석된다면 그건 자매님 고유의 해석이라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왜냐면 자국어번역본은 단지 참고할뿐이지...적용은 라틴어원문...으로만 해야한다..이렇게 나오기때문입니다] <----- 상당히 잘못 이해하셨는데요... 제가 알기로, 교회법전에 대하여 그렇다는 것입니다. 또 그 근거도 말씀드렸습니다. 잘못 이해한 것이 아닌데 이런 주장을 하는 것은 왜곡이라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이곳 교회게시판에서 교회의 해석이 틀렸으니 따를필요없다고 이야기하시는건...] <----- 이런 이야기를 한 적이 없는데, 말을 만들어내어 하시네요... 또한 왜곡이라는 생각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저항으로 밖에 보이지 않습니다...] <----- 자매님 눈에는 그렇게 보일 수도 있겠지만, 그건 자매님 생각입니다. 저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으신 일부 사제들께서는, 그러한 지적을 해 주어 고맙다고 말씀하신 분들도 계십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 저는 형제님께서 한국 가톨릭에서 성경과 각종 문헌 번역에 대해 어떤 자격과 위치를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 <----- 평신자 소순태 마태오 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그리고 번역오류에 대한 지적이나 수정권고의 권한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하구요.. ] <----- 평신자 소순태 마태오 입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6) : 지적과 비판을 거부하는것이 아닙니다..그것이 순수한 비판이 되고 지적이 되어야한다는게 제 지론입니다...그러나...형제님의 기준으로 한 해석에 대해 교회의 판단이 나오지 않은 상태에서 무조건 형제님만 옳다고 주장하시는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전문지식이 없는 저나 이글을 보는 다른 신자분들에게 오히려 혼란만 줄뿐이라고 생각합니다... ] <----- 대단히 죄송스런 말씀이지만, 굳이 말씀드리자면 애초에 이런한 혼란을 초래한 측은 제가 아니고, 번역을 담당한 분들입니다. 예를 들어,영어가 능통한 분들 중에는 저와 같은 고통을 겪고 있는 분들이 좀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거듭 부탁드리지만, 제 글이 마음에 들지 않는 분들께서는 제 글을 클릭하고 들어와 읽지 않으시면 됩니다. 꼭 부탁드립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언제가 될 지는 모르지만, 위에 안내해 드린 교황청 홈페이지 주소에, 교회의 핵심 문헌들의 우리말 번역본들이 또한 올려져 있는 날을 참으로 기다리고 있습니다. 다음의 주소를 방문하여, 지금까지, 어느 나라의 자국어 번역본들이 올려져 있는지 한 번 살펴보도록 하십시오: http://www.vatican.va/archive  

소순태 (sunsoh) (2011/05/16) : 그런데... 위의 세 번째, 네 번째 및 다섯 번째 한줄답변은, 다음의 질문에 대한 답변이었습니다. 제가 지운 것이 아니라, 질문을 주신 분이 스스로 지우셨기에 오해의 소지를 없게 하기 위하여 아래에 붙였습니다:  
 
 소순태 (sunsoh) (2011/05/16) : [안현신 (cassini) (2011/05/14) : 형제님다음 부분=> 자국어로의 번역 과정에서 도입될 수 있는 오류에 의한 교회법 조문들에 대한 법리 및 해석에 있어서의 혼란을 사전에 원천적으로 봉쇄하기 위하여, 가톨릭 교회의 교회법은 라틴어 원문과 이 라틴어 원문에 대한 교도권의 해석만이 유효하다고 교회는 가르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자국어로 번역된 교회법 조문들은 교회법적으로 어디까지나 참고 사항일 뿐]이단서조항의 출처는 어디인지요??]  
 
 소순태 (sunsoh) (2011/05/16) : 그리고 특히 성직자와 수도자들께서 위의 본글을 읽어 주실 것을 요청합니다.  
 

 

개인적인...친분이 있는 사제가 오류지적이 고맙다고 하여 그것을 빌미로..
교회의 해석이 틀렸으니 믿지 마라 따르지 마라할수있는것인가???
그게 공식적인 교회의 입장인가??개인적인 친분이있는 사제가???

개인적인 친분이 있는 사제들이 많다하여..
그사제들이 잘했다 칭찬해줬다해서..
그런 것이 다용납된다??그 친분있다는 사제분들에게 물어야겠네...
이게 내성에 차지 않는다고 해서...비난하고 음해 하려고 올린글이란 말인가??

 

내가 뭔소리들으려고 이런글을 올렸단 말인가...

결국은 다 자기잘난맞에 사는것을...

이런 험담이나 들으려고??

소순태 마태오 형제님..천국가실껍니다...주님께서 교회에서 주시는 복 받으실겁니다...

앞으로 교회를 위해 더욱더 매진하시어 수고하십시오...

남 험담이나하고 왜곡이나 하고

싫은소리나하는 이몸은 물러갑니다...

그리고 08년도에 클린에 올리셨던 글이나 삭제해주십시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