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Re:칠고묵주기도의 유래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카테고리 | 천주교
작성자이정임 쪽지 캡슐 작성일2014-03-20 조회수1,271 추천수0 신고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성모통고 ◆   
한자 聖母痛苦
라틴어 B.M.V. Perdolens
영어 sorrows of Mary
출처 : [가톨릭대사전]

   성모 마리아가 아들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받았던 슬픔과 고통을 말한다. 성모통고는 예수의 구세사(救世史)적인 수난죽음에서 절정을 이룬다. 성모통고에 대한 신심성모가 예수의 십자가 아래 서 있었다는 사실에 근거한다(요한 19:25). 또한 성모가 아기 예수를 성전봉헌하러 갔을 때의 예언자 시메온이 성모의 마음이 날카로운 칼에 찔리듯 괴로움을 받게 되리라는 예언(루가 2:35)에도 근거한다. 성모통고에 대한 신심은 6세기에 동방에서 먼저 발달되어, 여러 예술작품을 통해 이를 표현해 왔다. 서방에서는 12세기에 시작되어 특히 이 신심을 목적으로 한 성모 마리아의 시녀회(Servites)가 창립(1233년)되면서 본격적으로 되었다. 성모통고의 숫자는 처음에는 확정되지 않았는데, 14세기에는 그리스도의 다섯 상처를 본떠 다섯 가지로 정해진 적도 있으며 7, 8, 9, 23 등 150가지로도 가능하였다. 그러나 15세기 말경 7이란 숫자가 가지는 상징과 또한 성모칠락과 연관되어 성모칠고로 고정되었는데 이는 쿠덴베르크의 사제였던 요한의 영향 때문이었다.

   성모통고의 기념일은 1960년까지는 두 가지였다. 즉 고난주일(현재의 사순 제5주일) 후 금요일에 지켜지던 축일(the seven sorrow of the Blessed Virgin Mary)은 1423년 쾰른 교회의회에서 결정된 미사에서 발견되는데, 1482년 교황 식스토(Sixtus) 4세가 전례적인 미사를 만들어 로마 미사 전례서에 삽입시켰다. 이 축일은 몇몇 수도단체와 나라에서 지켜지다가 1727년 교황 베네딕토(Benedictus) 13세에 의해 전교회(全敎會)에서 지켜졌다. 그러나 1960년의 예식서는 이 축일 지키는 것을 감소시켰다. 두 번째 축일은 16세기 세르비트회(Servites)가 주창한 성모통고 신심에서 시작된 것으로 9월 셋째 주일에 미사와 행렬을 하는 것이 1600년경에는 대중화되어, 1668년 교황 복자 인노첸시오(B. Innocentius) 11세에 의해 이 날이 축일로 인가되었다. 1814년 교황 비오(Pius) 7세가 이 축일전교회로 확장시켰으며, 1908년 교황비오(St. Pius) 10세가 축일의 등급을 높였다. 1913년부터는 9월 15일(the seven sorrow of the B. V. Mary)로 고정되었고 1969년부터는 의무적 기념일로만 남게 되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