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Re:어찌 된 영문인지요?///새 예루살렘 (묵시록21장)/ 답변 추가 카테고리 | 성경
작성자이정임 쪽지 캡슐 작성일2015-07-10 조회수1,633 추천수0 신고

(십자성호를 그으며)
†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아멘.

 

천상 예루살렘에 성전이 없다는 것은 "천상 성전"에 대해 기록한 묵시록 예언 부분의 진술들과 상반되는 것처럼 보인다(11,19 참조). 그러나 저자는 성서에 계시된 하느님의 현존 과정을 따라 영성화 과정을 밟아간다고 볼 수 있다. 즉, 예루살렘 성전 안에 드러나는 하느님의 현존(2역대 6,18-21)은 하느님의 영적 성전이며 살아 있는 돌로 된 성전인 새로운 백성 사이의 신적 거주지로 묘사되고(에페 2,21; 1베드 2,5 참조),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하느님 당신이 예루살렘의 성전으로 바꾸어 묘사된다(21,22).

 

천상 예루살렘에는 거룩한 현존을 위한 자리가 따로 없다. 이제 주님과의 통교가 직접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백성들과 함께 하는 하느님의 현존"(21,3)이 이제 충만하게 이루어질 것이다. 제4복음서에서도 그리스도의 몸이 바로 종말시대의 새로운 성전이라고 말한다.(요한 2,21 참조).

 

자료출처 : 200주년 신약성서 주해서 1042쪽 각주 25번 발췌

 

21장 전체를 꼼꼼하게 읽고 묵상해 보시면 좋으실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저자는 성서에 계시된 하느님의 현존 과정을 따라 영성화 과정을 밟아간다고 볼 수 있다.


새 하늘과 새 땅은 곧 새 술은 새부대에 담는 것과 같다고 이해해 볼 때
새 예루살렘은 예수님의 열두 제자의 이름 위에 세워진 예수님의 교회를
의미한다고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그 다음에 21장 22절에서 말씀하시는
"나는 그곳에서 성전을 보지 못했습니다. 전능하신 주 하느님과 어린양의
도성이 성전이기 때문입니다."라는 말씀은 바오로 사도께서도 말씀하셨듯이
우리 몸은 성령의 궁전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성령의 궁전을
넘어서 진짜로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모시는 사람들로서 참으로 보이지
않는 영적인 교회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몸을 모시고 사는 사람들은 ...
해도 달도 비출 필요가 없습니다. 하느님의 영광이 그곳에 빛이 되어 주시고
어린양이 그곳의 등불이 되어 주시기 때문입니다.(묵시 21,23)

그래서 우리들이 그렇게 예수님의 몸을 모시고 그리스도의 빛으로 세상을
살아갈 때 민족들이 우리들의 빛을 받아 걸아다니게 되는 것입니다.

 

사람들은 민족들의 보화와 보배를 그 도성으로 가져갈 것이라 하셨는데

그 보화와 보배가 무엇이겠습니까? 사랑과 섬김과 나눔의 그런 보화가 아닐런지요?

또한 이렇게 살아가는 이들은 어린양의 생명의 책에 기록된 이들이 되는 것

아닐까 합니다.

 

묵시록은 현재 우리들의 신앙에 비추어 묵상해야 한다고 배웠습니다.

종말에 이루어질 어떤 표징을 통해 지금 현재의 우리들의 신앙을 깨닫고 결심하고

살아가는 것이라고 배웠습니다.

감사합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4/500)
[ Total 24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
  • 김종업 (rlawhddjq) 쪽지 대댓글

    † 찬미 예수님! 이정임클라라님, 200주년 주해서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좀더 알아 듣게 쉬운방법은 없을까요? 주님의 평화를 빕니다. 살롬.

    2015-07-11 추천(0)
  • 이정임 (rmskfk) 쪽지 대댓글

    † 찬미 예수님! 어린양의 아내가 될 신부는 누구인가? 교회입니다. 묵시록에서 교회를 도성으로 표현한 것은 교회의 외적인 사회적 모습을 드러낸다. 교회는 자신에게 가해지는 박해는 물론 사회 내의 부정적 요소를 극복하고 자신의 진로를 굳건하게 걸어가야 한다. 저자는 내적, 외적인 두 모습이 일치하는 가운데 점차 발전하여 완성에 이르러야 교회다운 교회가 된다고 생각한다. 이때 신부인 교회는 거룩하고 사랑스러운 그리고 사랑할 능력을 갖춘 교회가 되어 모든 박해를 이기며 더럽혀지지 않는 도성이 될 것이다. 이것이 종말론적으로 완성된 교회의 모습이기도 하다.

    2015-07-11 추천(0)
  • 이정임 (rmskfk) 쪽지 대댓글

    신부라는 말은 교회가 내적인 부정적 요소들을 극복하여 신랑인 그리스도와 가장 완전한 일치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회는 그 완전한 일치를 이룰 때까지 계속하여 그리스도의 사랑으로 연결되어 발전해야 한다. 이러한 이해 안에서 생각해 볼 때 ... 구원의 매체로서의 교회는 지나갔고, 구원의 열매로 존재하는 교회에 대한 설명은 아니겠는가? 그렇게 생각해 봅니다. 건물로서의 교회가 아닌 하느님 백성으로서의 교회로 우리 모두 각자가 성령의 궁전으로 우리 모두가 예수님의 몸을 받아 모심으로써 모두 새로운 교회가 된 그러한 상태를 설명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렇게 생각해 봅니다.

    2015-07-11 추천(0)
  • 맨 처음 이전 1 다음 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