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묻고답하기

제목 성무일도의 용어 몇 가지에 대하여 카테고리 | 천주교
작성자송제훈 쪽지 캡슐 작성일2008-02-03 조회수429 추천수1 신고
아래는 <칠층산>을 다시 번역한 원고의 일부입니다. 빨간색 글씨 부분은 원래의 번역서를 그대로 따른 것인데, 바로 이 용어들을 어떻게 고쳐야 요즘 쓰는 정확한 용어가 되는지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주교 아닌 증거자 공통 부분"과 "겨울 경본"이 가장 큰 문제인데, "겨울경본"은 아마 대성무일도 네 권 중의 하나를 지칭하는 게 아닌가 추측은 됩니다만...  답을 주실 수 있는 분이 계시면 좋겠습니다. ^^
 

   내가 성무일도를 처음 바친 날은 아르스의 본당 사제 성 요한 비안네(Cure of Ars, St. John Vianney)의 축일이었다. 나는 기차를 타고 올리언으로 돌아가고 있었다. 올리언의 산장은 당시 내가 생각해낼 수 있는 가장 안전한 장소였으며, 성 보나벤투라 대학은 내가 교수직을 얻을 가능성이 가장 큰 곳이었다.

   기차가 출발하자마자, 나는 책을 펴서 주교 아닌 증거자 공통(the Common of a Confessor-non-pontiff) 부분의 말씀기도부터 시작했다.

   “Venite exultemus Domino, jubilemus Deo salutari nostro..." ("어서 와 하느님께 노래 부르세. 송가를 부르며 주님 앞에 나아가세...") 그것은 행복한 경험이었다. 다만 예식 거행 지침(rubrics)의 정글을 헤매다보니 그 들뜬 환희는 가라앉았다. 무엇보다 나는 겨울 경본(Pars Hiemalis)의 앞부분에 있는 일반적인 예규(禮規)부분을 바로 찾지 못했고, 겨우 찾은 다음에도 깨알 같은 라틴어로 인쇄된 방대한 분량의 불명료한 예절 용어들을 이해하기가 힘들었다.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