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속 상징] (57) 비둘기 : 초대교회부터 순결과 희망 나타내 비둘기 하면 '평화의 상징'이라는 이미지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비둘기는 극한지역, 육지와 멀리 떨어져 있는 섬을 제외한 전 세계에 분포한다. 구조(區鳥), 시조(市鳥), 도조(道鳥) 등 전국 여러 지방자치단체가 비둘기를 상징새로 삼고 있는 것처럼 우리에게 매우 친근한 새다. 그런데 최근 들어 평화의 상징 비둘기가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 6월 환경부가 비둘기를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하고, 지방자치단체의 허가를 받아 비둘기를 포획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비둘기 알 수거, 먹이 공급 차단 등으로 개체 수를 줄일 계획이라고 한다. 비둘기 배설물은 건축물, 철탑과 전선을 부식시키며, 떨어진 깃털과 함께 온갖 병원균의 원천, 환경파괴의 주범이라는 이유에서다. 현재 서울 도심에 서식하는 집비둘기는 약 100만 마리로 추정되며, 대부분 1988년 서울올림픽 때 행사용으로 들여온 것이 무서운 속도로 번식해 현재와 같이 늘어났다고 한다. 인류가 있는 곳에 비둘기가 있었고, 수천 년 전부터 비둘기는 인간의 좋은 친구였다. 식탁에 닭고기가 오르기 전부터 비둘기는 중요한 식량이었다. 비둘기는 다른 애완 조류와는 달리 멀리서도 집을 찾아가는 귀소 본능이 있다. 비둘기를 전쟁에 전서구(傳書鳩)로 이용하게 되면서 전쟁 판도를 바꾸고 통신 혁명을 이뤘다. 고대문명은 비둘기를 숭배했다. 수메르인에게 비둘기는 신의 사자였다. 그리스 로마에서는 사랑, 생명, 다산을 상징하는 동물이었다. 중국에서도 비둘기는 장수, 신의, 질서, 효행의 상징이다. 성경에서 비둘기는 성령을 상징한다.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시고 물에서 올라오실 때 하늘이 열리고 하느님의 영이 비둘기처럼 내려오셨다(마르 1,9-10). 성경을 주제로 한 성화에도 비둘기가 자주 등장한다. 성경에서 비둘기는 희생제물을 위한 새다. 하느님께 드리는 제물을 산비둘기나 집비둘기로 바치라고 했다. "날짐승 가운데에서 주님을 위한 예물을 골라 번제물로 바치려면, 산비둘기나 집비둘기 가운데에서 예물을 골라 바쳐야 한다"(레위 1,14). 비둘기는 예루살렘 성전 구내나 뜰에서 많이 서식하고 있었다. 사람들과도 친숙해 조금도 두려워하지 않았다. 비둘기와 비둘기 새끼는 양이나 염소를 제물로 바칠 수 없는 가난한 자들의 제물이었다(레위 5,7). 예수님께서 태어났을 때에도 부모는 이 노점에서 비둘기를 사서 하느님께 바쳤을지 모르지만 후년에 예수께서는 성전 구내에서 이런 비둘기 장수를 쫓아냈다(요한 2,16). 신약에서 예수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뱀같이 슬기롭고 비둘기같이 순박하라고 당부하신다. "나는 이제 양들을 이리떼 가운데로 보내는 것처럼 너희를 보낸다. 그러므로 뱀처럼 슬기롭고 비둘기처럼 순박하게 되어라"(마태 10,16). 이처럼 비둘기는 순박함의 상징으로 나타난다. 또한 비둘기 울음소리는 슬프게 들리기에 불쌍한 인간의 슬픔을 비둘기 소리에 비유하기도 했다. "저는 제비처럼 두루미처럼 울고 비둘기처럼 탄식합니다. 위를 보느라 제 눈은 지쳤습니다. 주님, 곤경에 빠진 이 몸, 저를 돌보아 주소서"(이사 38,14). 비둘기는 초대 그리스도교회에서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순결과 희망을 상징하고 있다. [평화신문, 2009년 8월 23일, 허영엽 신부(서울대교구 문화홍보국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