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 자료실

제목 [동물] 힘을 상징하는 곰: 힘과 폭력, 압제자로 의인화
작성자주호식 쪽지 캡슐 작성일2006-09-27 조회수3,542 추천수0

[성경 속의 동식물] 16 - 힘을 상징하는 곰


힘과 폭력... 압제자로 의인화

 

 

- 성경에 나오는 곰은 힘과 폭력을 상징한다.

 

 

아프리카ㆍ오스트레일리아ㆍ남극을 제외한 전 대륙에 널리 분포하는 포유류 동물 곰은 뭍에 사는 육식성 동물 중 몸집이 가장 크다. 몸체가 육중하고 다리가 짧다. 몸무게 27~46kg의 작은 태양곰에서부터 780㎏의 거대한 알래스카 갈색곰까지 크기가 다양하다.

 

곰은 나무에 쉽게 기어오를 수 있으며 수영도 잘한다. 또 발바닥을 지면에 대고 사람처럼 걸어다닐 수 있다. 발가락은 5개로 발톱을 안으로 구부릴 수는 없지만 느림보곰의 발톱은 특히 땅을 파기에 적합하게 돼 있다.

 

우리나라 건국신화에 등장하는 곰은 몸집에 비해 조그마한 눈에 얼핏 보기에 느릿한 행동을 하고, 둥글고 큰 덩치에 성질도 온순한 편이라 맹수라기보다 친근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그래서일까. 우리 속담과 민담은 "재주는 곰이 넘고 돈은 사람이 챙긴다", "미련하기가 곰과 같다"처럼 미련함과 어리석음을 곰에 비유한다.

 

그러나 동물 생태학자들은 곰의 지능이 상당히 높다고 말한다. 지리산에는 방사한 멸종위기 반달가슴곰 14마리가 현재 적응훈련을 받고 있다. 벌꿀을 좋아하는 반달가슴곰은 곧잘 농가 벌통을 습격하는데 빈 벌꿀통에 몇번 허탕을 치면 으레 뚜껑을 열어보고 꿀이 가득 찬 것만 건드릴 정도로 학습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이다.

 

곰은 구약시대 팔레스티나 지방에 많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성경에서 표범은 빠른 속력을, 곰의 발은 엄청난 힘을, 사자의 입은 용맹스러운 공격을 상징한다.

 

곰은 성경에 여러 번 언급되는데 이스라엘 사람들은 곰을 위험한 동물로 간주했던 것 같다. 일반적으로 성경에 나오는 곰은 사자처럼 힘과 폭력을 나타내는 데 사용됐다.

 

엘리사가 베텔로 올라가는 도중에 어린이들이 성읍에서 나와 그를 대머리라고 놀려대자 암곰 두마리가 숲에서 나와 그 아이들 가운데 42명을 물어 죽인 이야기가 나온다(2열왕 2, 23-24). 다윗은 목장을 지키다가 양을 물고 가는 곰의 이빨에서 양을 구해낸 일이 있다(1사무 17,34).

 

곰은 새끼에 대한 모성애가 강한 동물이라고 한다. 겨울에 새끼를 낳고 봄이 되면 새끼들이 어미 뒤를 졸졸 따라 다닌다.

 

성경은 새끼를 빼앗긴 어미 곰의 격분을 비유로 말하기도 했다. "새끼 잃은 암곰과 마주칠지언정 미련함을 고집하는 바보는 만나지 마라"(잠언 17,12). 여기서 '미련'의 뜻은 '살찐', '어리석은', '경건치 않은', '신앙심 없는', '사악한', '바보' 등의 뜻을 내포하고 있다.

 

성경에 비유된 것처럼 새끼를  빼앗긴 곰은 잔인한 행동을 한다. 곰의 이러한 특성을 두고 악한 관리를 곰에게 비유하기도 했다. "가난한 백성을 사악하게 다스리는 자는 포효하는 사자와 덮치는 곰과 같다"(잠언 28,I5).

 

곰은 발의 힘이 무척 강해 큰 발과 발톱을 적을 공격하는 무기로 사용한다. 그래서 성경은 곰을 가난한 이들을 압제하는 통치자로서 의인화해 표현하기도 한다.

 

피할 수 없는 하느님 심판을 곰에 비유하기도 했다. "사자를 피해 도망치다가 곰을 만나고 집 안으로 피해 들어가 손으로 벽을 짚었다가 뱀에게 물리는 것과 같으리라"(아모 5,19). 이 말씀은 설상가상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지혜로 하느님의 심판을 면할 수는 없고 하느님 사랑과 은총만이 가능하다.

 

호세아는 이스라엘 백성이 교만해 망할 수밖에 없는 죄를 경책하며 사나운 짐승들과 새끼 잃은 곰에 비유하여 심판을 설명했다(호세 13:7-8).

 

[평화신문, 2006년 9월 10일, 허영엽 신부(서울대교구 홍보실장)]

태그
COMMENTS※ 500자 이내로 작성 가능합니다. (26/500)
[ Total 27 ] 기도고침 기도지움
등록하기
※ 로그인 후 등록 가능합니다. 파일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