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CREDO” - “CREDIMUS” CAPUT SECUNDUM DEUS HOMINI OCCURRIT ARTICULUS 1 DE REVELATIONE DEI
교회 교리서

Foedus cum Noe

노아와 맺으신 계약

56 Deus, unitate generis humani peccato comminuta, statim humanum intendit salvare genus cum unaquaque ex eius partibus interveniens. Foedus cum Noe initum post diluvium principium Oeconomiae divinae exprimit erga “nationes”, id est, erga homines “secundum linguam suam et familias suas in nationibus suis” (Gn 10,5) coniunctos.
56 죄 때문에 인류의 단일성이 깨어진 뒤, 하느님께서는 먼저 갈라진 민족들 하나하나를 구원하고 인류 전체를 구원하고자 하셨다. 대홍수 이후 노아와 맺으신 계약은(9) “지방과 각 언어와 씨족과 민족에 따라 퍼져 나간 백성들”(창세 10,5)에 대한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드러낸다.(10)
57 Hic ordo pluralitatis nationum, simul cosmicus, socialis et religiosus, destinatur ad generis humani lapsi limitandam superbiam, quod in sua perversitate unanime, per se ipsum ad modum Babelis suam efficere vellet unitatem. Sed, propter peccatum, polytheismus, sicut etiam nationis eiusque ducis idololatria huic provisoriae Oeconomiae indesinenter paganam minantur perversionem.
57 우주적이며 사회적이고 종교적인 다양한 민족들의 이 질서는(11) 타락한 인류의 교만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인간은 교만하게도 바벨 탑 사건에서처럼, 한마음으로 악을 꾸며(12) 스스로 일치를 이루려 하였다.(13) 인류의 죄 때문에, 이 질서는 다신교라든가, 국가와 왕의 우상화 등 이교도적인 타락으로 끊임없이 위협받게 되었다.(14)
58 Foedus cum Noe initum viget donec perdurant tempora nationum, usque ad universalem Evangelii proclamationem. Scriptura magnos quosdam “nationum” veneratur homines, sicut “iustum Abel”, regem et sacerdotem Melchisedech, qui Christi est figura, vel iustos “Noe, Danel et Job” (Ez 14,14). Sic Scriptura exprimit quam sanctitatis altitudinem illi attingere possunt, qui secundum Foedus initum cum Noe vivunt, exspectantes Christum, qui “filios Dei, qui erant dispersi, congregaret in unum” (Io 11,52).
58 노아와 맺은 계약은 민족들의 시대가 다 찰 때까지,(15) 곧 복음이 온 세상에 선포될 때까지 유효하였다. 성경은 이러한 “이방 민족들”의 몇몇 위대한 인물들을 공경한다. “의인 아벨”, 그리스도의 예표이며(16) 임금이자 사제인 멜키체덱,(17) “노아, 다니엘, 욥”(에제 14,14)과 같은 의인들이 그러한 사람들이다. 이처럼 성경은, 그리스도께서 “흩어져 있는 하느님의 자녀들을 하나로 모으시러”(요한 11,52) 오실 날을 기다리면서 노아의 계약에 따라 사는 사람들이 얼마나 드높은 성덕에 도달할 수 있는지를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