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CREDO” - “CREDIMUS” CAPUT SECUNDUM DEUS HOMINI OCCURRIT ARTICULUS 3 DE SACRA SCRIPTURA
교회 교리서

De Scripturae sensibus

성경의 의미

115 Secundum veterem traditionem duo possunt distingui Scripturae sensus: sensus litteralis et sensus spiritualis; hic vero ultimus in sensum allegoricum, moralem et anagogicum subdividitur. Profunda quattuor sensuum conspiratio viventi lectioni Scripturae in Ecclesia omnes eius praestat divitias.
115 성경의 의미는 오랜 전통에 따라 자구적 의미와 영성적 의미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후자는 우의적(寓意的) 의미, 도덕적 의미, 신비적 의미로 다시 세분된다. 교회 안에서 이루어지는 성경 읽기는 이 네 가지 의미들의 심오한 조화로써 더욱 생생해지고 풍요로워진다.
116 Sensus litteralis. Est sensus qui verbis Scripturae significatur et ab illa invenitur exegesi, quae rectae interpretationis observat regulas. “Omnes [sacrae Scripturae] sensus fundentur super unum, scilicet litteralem”.
116 자구적 의미. 자구적 의미는 성경의 말씀으로 나타내고, 올바른 해석 원칙에 따른 주석으로 밝혀 낸다. “성경의 모든 의미는 자구적 의미에 근거한다.”(90)
117 Sensus spiritualis. Propter consilii Dei unitatem, non solum Scripturae textus, sed etiam res et eventus de quibus textus loquitur, signa esse possunt.
117 영성적 의미. 하느님 계획의 단일성 때문에 성경 본문뿐 아니라, 그 본문이 말하는 실재와 사건들도 표징이 될 수 있다.
1. Sensus allegoricus. Profundiorem eventuum acquirere possumus intelligentiam, eorum significationem in Christo agnoscentes; sic transitus per Mare Rubrum signum victoriae est Christi et proinde Baptismi;
1. 우의적 의미. 사건들의 의미를 그리스도 안에서 깨달음으로써 더욱 깊은 이해를 얻을 수 있다. 가령 홍해를 건넌 일은 그리스도의 승리의 표징이며, 그로 말미암아 세례의 표징이 된다.(91)
2. Sensus moralis. Eventus in Scriptura narrati nos ducere debent ad iuste agendum. Ipsi scripti sunt “ad correptionem nostram” (1 Cor 10,11);
2. 도덕적 의미. 성경이 전하는 사건들은 우리를 올바르게 행동하도록 이끈다. 이 사건들은 ‘우리에게 본보기가 되도록’(1코린 10,11 참조) 기록된 것이다.(92)
3. Sensus anagogicus. Pariter possibile est res et eventus in eorum perspicere aeterna significatione, quatenus nos versus nostram ducunt (graece -<"(T() Patriam. Sic Ecclesia est in terris signum caelestis Ierusalem.
3. 신비적 의미(anagogia). 우리를 본향으로 인도하는(그리스 말 anagoge는 ‘위로’라는 뜻의 ana와, ‘인도하다’는 뜻의 agoge의 합성어이다.) 영원의 의미에서 실재와 사건들을 바라볼 수도 있다. 예컨대, 지상 교회는 천상 예루살렘의 표징이다.(93)
118 Distichon in Medio Aevo compositum quid quattuor significent sensus in synthesin colligit:
118 중세의 한 이행시(二行詩)는 이러한 네 가지 의미를 다음과 같이 요약하고 있다.
“Littera gesta docet, quid credas allegoria,
글자는 행한 것을 가르치고, 우의는 믿을 것을 가르치며,
moralis quid agas, quo tendas anagogia”.
도덕은 행할 것을 가르치고, 신비는 향할 것을 가르친다.(94)
119 “Exegetarum autem est secundum has regulas adlaborare ad sacrae Scripturae sensum penitius intelligendum et exponendum, ut quasi praeparato studio, iudicium Ecclesiae maturetur. Cuncta enim haec, de ratione interpretandi Scripturam, Ecclesiae iudicio ultime subsunt, quae Verbi Dei servandi et interpretandi divino fungitur mandato et ministerio”.
119 “성경 해석자들의 임무는 이러한 규범에 따라 성경의 뜻을 더 깊이 이해하고 해석하도록 노력하는 데 있다. 그리하여 어떤 의미에서 준비의 역할을 하는 연구로써 교회의 판단은 성숙하게 된다. 성경 해석에 관한 이 모든 것은 결국 하느님의 말씀을 보존하고 해석하라는 하느님의 명령과 그 직무를 수행하는 교회의 판단에 속한다.”(95)
“Ego vero Evangelio non crederem, nisi me catholicae Ecclesiae commoveret auctoritas”.
만일 가톨릭 교회의 권위가 나를 이끌어 주지 않는다면, 나는 복음을 믿지 않을 것입니다.(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