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CREDO” - “CREDIMUS” CAPUT SECUNDUM DEUS HOMINI OCCURRIT ARTICULUS 3 DE SACRA SCRIPTURA
교회 교리서

IV. De Scripturarum canone

IV. 정경

120 Traditio apostolica Ecclesiam discernere fecit quaenam scripta in Sacrorum Librorum adnumeranda essent elencho. Hic integer elenchus “canon” Scripturarum appellatur. Pro Vetere Testamento 46 implicat scripta (45, si Ieremias et Lamentationes simul adnumerantur) et 27 pro Novo. Sunt vero:
120 교회는 사도전승에 따라서 어떤 문서들이 성경 목록에 포함되어야 할지를 판단하였다.(97) 이렇게 결집된 목록을 성경의 ‘정경’(正經)이라고 부른다. 이 목록에는 구약 성경 46권과 신약 성경 27권이 들어 있다.(98)
Genesis, Exodus, Leviticus, Numeri, Deuteronomium, Iosue, Iudices, Ruth, duo libri Samuelis, duo libri Regum, duo libri Paralipomenon (seu Chronicorum), Esdras et Nehemias, Tobias, Iudith, Esther, duo libri Machabaeorum, Iob, Psalmi, Proverbia, Ecclesiastes, Canticum Canticorum, Sapientia, Ecclesiasticus, Isaias, Ieremias, Lamentationes, Baruch, Ezechiel, Daniel, Oseas, Ioel, Amos, Abdias, Ionas, Micheas, Nahum, Habacuc, Sophonias, Aggaeus, Zacharias, Malachias, pro Vetere Testamento.
구약 성경: 창세기, 탈출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 여호수아기, 판관기, 룻기, 사무엘기 상·하권, 열왕기 상·하권, 역대기 상·하권, 에즈라기, 느헤미야기, 토빗기, 유딧기, 에스테르기, 마카베오기 상·하권, 욥기, 시편, 잠언, 코헬렛, 아가, 지혜서, 집회서,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애가, 바룩서, 에제키엘서, 다니엘서, 호세아서, 요엘서, 아모스서, 오바드야서, 요나서, 미카서, 나훔서, 하바쿡서, 스바니야서, 하까이서, 즈카르야서, 말라키서.
Evangelia secundum Matthaeum, Marcum, Lucam et Ioannem, Actus Apostolorum, epistulae sancti Pauli ad Romanos, prima et secunda ad Corinthios, ad Galatas, ad Ephesios, ad Philippenses, ad Colossenses, prima et secunda ad Thessalonicenses, prima et secunda ad Timotheum, ad Titum, ad Philemonem, epistula ad Hebraeos, epistula Iacobi, epistula prima et secunda Petri, tres epistulae Ioannis, epistula Iudae, Apocalypsis, pro Novo Testamento.
신약 성경: 마태오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카 복음서, 요한 복음서, 사도행전, 로마서, 코린토 1·2서, 갈라티아서, 에페소서, 필리피서, 콜로새서, 테살로니카 1·2서, 티모테오 1·2서, 티토서, 필레몬서, 히브리서, 야고보서, 베드로 1·2서, 요한 1·2·3서, 유다서, 요한 묵시록.

Vetus Testamentum

구약 성경

121 Vetus Testamentum inamissibilis est pars sacrae Scripturae. Eius libri divinitus sunt inspirati et valorem servant permanentem, quia Foedus Vetus nunquam est retractatum.
121 구약은 성경의 사라지지 않을 한 부분이다. 구약 성경은 하느님의 영감을 받은 책들이며 영원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99) 옛 계약은 결코 철회된 바가 없기 때문이다.
122 Etenim “Veteris Testamenti Oeconomia ad hoc potissimum disposita erat, ut Christi universorum Redemptoris [...] Adventum praepararet”. Libri Veteris Testamenti, “quamvis etiam imperfecta et temporaria contineant”, totam divinam amoris salvifici Dei testantur paedagogiam: in illis “sublimes de Deo doctrinae ac salutaris de vita hominis sapientia mirabilesque precum thesauri reconduntur”, in illis “tandem latet mysterium salutis nostrae”.
122 사실 “구약의 경륜은 구세주이신 그리스도의 오심과 메시아 왕국의 도래를 준비하는 것이었다.” “구약 성경은 비록 불완전하거나 일시적인 것들을 포함하고 있지만” 구원을 위한 하느님의 사랑의 교육 방법 전체를 증언한다. “구약 성경은 하느님을 생생하게 느끼게 하고, 하느님에 관한 숭고한 가르침과 인생에 관한 건전한 지식과 기도의 놀라운 보물을 담고 있으며, 그 안에 구원의 신비가 감추어져 있다.”(100)
123 Christiani Vetus Testamentum tamquam verum Dei Verbum venerantur. Ecclesia ideam Vetus reiiciendi Testamentum, praetextantem id a Novo effectum esse caducum (Marcionismus), semper firmiter respuit.
123 그리스도인들은 구약 성경을 참된 하느님의 말씀으로 존중한다. 교회는 신약 성경이 구약 성경을 무효화하였다는 구실로 구약 성경을 배척하려는 생각(마르키온 이단)을 항상 강력히 물리쳐 왔다.

Novum Testamentum

신약 성경

124 “Verbum Dei, quod virtus Dei est in salutem omni credenti, in scriptis Novi Testamenti praecellenti modo praesentatur et vim suam exhibet”. Haec scripta veritatem Revelationis divinae nobis tradunt definitivam. Eorum centrale obiectum est Iesus Christus, Filius Dei incarnatus, Eius gesta, doctrina, passio et glorificatio, sicut etiam Eius Ecclesiae initia sub actione Spiritus Sancti.
124 “믿는 모든 이를 구원하는 하느님의 힘인 하느님의 말씀은 신약 성경 안에서 탁월한 방식으로 표현되고 그 능력을 드러내신다.”(101) 이 기록들은 하느님 계시의 궁극적 진리를 우리에게 전해 준다. 신약 성경의 중심 주제는 강생하신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와 그분의 활동, 가르침, 수난과 영광 받으심, 그리고 성령의 활동을 통한 그리스도 교회의 탄생 등이다.(102)
125 Evangelia sunt omnium Scripturarum cor, “quippe quae praecipuum testimonium sint de Verbi Incarnati, Salvatoris nostri, vita atque doctrina”.
125 복음서는 “우리의 구원자, 사람이 되신 말씀의 삶과 가르침에 관한 으뜸가는 증언이기 때문에”(103) 모든 성경의 핵심이다.
126 In Evangeliorum compositione tres distingui possunt periodi:
126 복음서의 형성 과정을 세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1. Iesu vita et doctrina. Ecclesia firmiter tenet quattuor Evangelia, “quorum historicitatem incunctanter affirmat, fideliter tradere quae Iesus Dei Filius, vitam inter homines degens, ad aeternam eorum salutem reapse fecit et docuit, usque in diem qua assumptus est”.
1. 예수님의 생애와 가르침. 교회는 네 복음서의 “역사성을 주장하는 데에 주저하지 않으며, 하느님의 아들 예수님께서 사람들 가운데서 사시는 동안, 승천하신 그날까지 그들의 영원한 구원을 위하여 실제로 행하시고 가르치신 것을 이 복음서들이 충실히 전해 주고 있음”을 확고하게 주장한다.
2. Traditio oralis. “Apostoli quidem post Ascensionem Domini, illa quae Ipse dixerat et fecerat, auditoribus ea pleniore intelligentia tradiderunt, qua ipsi, eventibus gloriosis Christi instructi et lumine Spiritus veritatis edocti, fruebantur”.
2. 구전(口傳). “사도들은 주님 친히 말씀하시고 행하신 것들을 주님의 승천 후에 충분히 깨달아 청중들에게 전해 주었다. 그와 같이 깨닫게 된 것은 사도들 자신이 그리스도의 영광스러운 사건들을 직접 겪고 진리이신 성령의 빛으로 가르침을 받은 덕분이다.”
3. Evangelia scripta. “Auctores autem sacri quattuor Evangelia conscripserunt, quaedam e multis aut ore aut iam scripto traditis seligentes. quaedam in synthesim redigentes, vel statui Ecclesiarum attendendo explanantes, formam denique praeconii retinentes, ita semper ut vera et sincera de Iesu nobiscum communicarent”.
3. 복음서의 기록. “성경 저자들은 예수님에 관한 참되고 바른 것을 우리에게 전달하려고, 어떤 것은 말이나 이미 쓰여진 글로 전해지는 많은 전승들 가운데서 선택하고, 어떤 것은 종합하고, 또 어떤 것은 교회의 상황과 관련하여 설명하면서 선포 양식으로 네 복음서를 썼다.”(104)
127 Evangelium quadriforme in Ecclesia locum tenet singularem, sicut veneratio quam ei liturgia tribuit, et incomparabilis attractio quam ipsum in sanctos omni tempore exercuit, testantur.
127 네 복음서는 교회 안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전례에서 복음서들이 존중되고, 모든 시대의 성인들이 복음서에 비할 데 없는 매력을 느껴 왔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Non est maior nec melior nec pretiosior nec splendidior ulla doctrina quam Evangelii lectio. Hoc videte, hoc tenete, quod Dominus et Magister noster Christus et verbis docuit et exemplis implevit”.
복음서보다 더 훌륭하고 소중하며 더 빛나는 교리는 없습니다. 우리 주님이시며 스승이신 그리스도께서 당신의 말씀으로 가르치시고 행동으로 실현하신 것을 직접 보고 간직하기 바랍니다.(105)
“Super omnia Evangelium in meis orationibus me occupat; in illo invenio quidquid pauperi animae meae est necessarium. In eo semper nova lumina, sensus absconditos detego et arcanos”.
기도 중에 내가 머무는 곳은 무엇보다도 복음서입니다. 나는 거기에서 내 불쌍한 영혼에 필요한 모든 것을 얻습니다. 복음서에서 나는 늘 새로운 빛과 감추어진 의미와 신비의 의미를 발견합니다.(106)

De Veteris et Novi Testamenti unitate

구약 성경와 신약 성경의 단일성

128 Ecclesia, inde a temporibus apostolicis et deinde in Traditione constanter, consilii divini in duobus Testamentis unitatem illustravit per typologiam. Haec in Dei operibus sub Vetere Testamento peractis praefigurationes discernit illius quod Deus in plenitudine temporum in Persona Filii Sui incarnati adimplevit.
128 교회는 이미 사도들 시대에(107) 그리고 그 후에도 성전(聖傳) 안에서 일관되게 예형론(typologia)에 의거하여 신·구약에서 하느님 계획의 단일성을 천명해 왔다. 예형론은, 때가 찼을 때 강생하신 당신 아드님의 인격 안에서 이루신 일들의 예형(豫形)을 구약의 하느님의 업적에서 식별해 낸다.
129 Christiani itaque Vetus legunt Testamentum sub luce Christi mortui et resuscitati. Haec typologica lectio inexhaustum Veteris Testamenti ostendit contentum. Ipsa tamen non debet oblivioni dare illud valorem proprium Revelationis servare suum, ab Ipso Domino nostro confirmatum. Ceterum, Novum Testamentum postulat etiam ut sub Veteris legatur luce. Primaeva catechesis christiana constanter ad id recurrebat. Secundum adagium antiquum, Novum Testamentum in Vetere est occultum, dum Vetus est in Novo detectum: ita fit ut “in Vetere Novum lateat et in Novo Vetus pateat”.
129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비추어 구약 성경을 읽는다. 이러한 예형론적인 성경 읽기는 구약 성경의 고갈되지 않는 내용을 명백히 드러낸다. 그러나 이 때문에, 나중에 우리 주님께서 친히 재확인해 주셨듯이, 구약 성경이 자신의 고유한 계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108) 한편 신약 성경 역시 구약 성경에 비추어 읽어야 한다. 초기 그리스도교의 교리 교육은 끊임없이 구약 성경을 활용하였다.(109) 옛 격언에 따르면 “신약은 구약에 감추어져 있으며 구약은 신약 안에서 드러난다”(In Vetere Novum lateat et in Novo Vetus pateat).(110)
130 Typologia dynamismum significat in consilii divini adimpletionem, cum “Deus omnia in omnibus” erit (1 Cor 15,28). Sic, exempli gratia, vocatio Patriarcharum et Exodus ex Aegypto valorem proprium in Dei consilio non amittunt suum eo quod simul ipsius sint intermediae periodi.
130 예형론은 “하느님께서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1코린 15,28) 때 이루어질 하느님 계획의 완성을 향한 역동적인 순간을 가리킨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성조들에 대한 부르심이나 이집트 탈출 사건이 하느님 계획의 중간 단계라고 해서, 하느님 계획에서 그 고유한 가치를 잃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