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CREDO” - “CREDIMUS” CAPUT SECUNDUM DEUS HOMINI OCCURRIT ARTICULUS 3 DE SACRA SCRIPTURA
교회 교리서

De Veteris et Novi Testamenti unitate

구약 성경와 신약 성경의 단일성

128 Ecclesia, inde a temporibus apostolicis et deinde in Traditione constanter, consilii divini in duobus Testamentis unitatem illustravit per typologiam. Haec in Dei operibus sub Vetere Testamento peractis praefigurationes discernit illius quod Deus in plenitudine temporum in Persona Filii Sui incarnati adimplevit.
128 교회는 이미 사도들 시대에(107) 그리고 그 후에도 성전(聖傳) 안에서 일관되게 예형론(typologia)에 의거하여 신·구약에서 하느님 계획의 단일성을 천명해 왔다. 예형론은, 때가 찼을 때 강생하신 당신 아드님의 인격 안에서 이루신 일들의 예형(豫形)을 구약의 하느님의 업적에서 식별해 낸다.
129 Christiani itaque Vetus legunt Testamentum sub luce Christi mortui et resuscitati. Haec typologica lectio inexhaustum Veteris Testamenti ostendit contentum. Ipsa tamen non debet oblivioni dare illud valorem proprium Revelationis servare suum, ab Ipso Domino nostro confirmatum. Ceterum, Novum Testamentum postulat etiam ut sub Veteris legatur luce. Primaeva catechesis christiana constanter ad id recurrebat. Secundum adagium antiquum, Novum Testamentum in Vetere est occultum, dum Vetus est in Novo detectum: ita fit ut “in Vetere Novum lateat et in Novo Vetus pateat”.
129 그러므로 그리스도인들은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그리스도에 비추어 구약 성경을 읽는다. 이러한 예형론적인 성경 읽기는 구약 성경의 고갈되지 않는 내용을 명백히 드러낸다. 그러나 이 때문에, 나중에 우리 주님께서 친히 재확인해 주셨듯이, 구약 성경이 자신의 고유한 계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사실을 망각해서는 안 된다.(108) 한편 신약 성경 역시 구약 성경에 비추어 읽어야 한다. 초기 그리스도교의 교리 교육은 끊임없이 구약 성경을 활용하였다.(109) 옛 격언에 따르면 “신약은 구약에 감추어져 있으며 구약은 신약 안에서 드러난다”(In Vetere Novum lateat et in Novo Vetus pateat).(110)
130 Typologia dynamismum significat in consilii divini adimpletionem, cum “Deus omnia in omnibus” erit (1 Cor 15,28). Sic, exempli gratia, vocatio Patriarcharum et Exodus ex Aegypto valorem proprium in Dei consilio non amittunt suum eo quod simul ipsius sint intermediae periodi.
130 예형론은 “하느님께서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1코린 15,28) 때 이루어질 하느님 계획의 완성을 향한 역동적인 순간을 가리킨다. 그러나 예를 들어 성조들에 대한 부르심이나 이집트 탈출 사건이 하느님 계획의 중간 단계라고 해서, 하느님 계획에서 그 고유한 가치를 잃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