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CREDO” - “CREDIMUS” CAPUT TERTIUM HOMO DEO RESPONDET
교회 교리서

CAPUT TERTIUM HOMO DEO RESPONDET

제 3 장 하느님에 대한 인간의 응답

142 Sua Revelatione, “Deus invisibilis ex abundantia caritatis Suae homines tamquam amicos alloquitur et cum eis conversatur, ut eos ad societatem Secum invitet in eamque suscipiat” Huic invitationi idonea responsio est fides.
142 계시로써 “보이지 않는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넘치는 사랑으로 마치 친구를 대하시듯이 인간에게 말씀하시고, 인간과 사귀시며, 당신과 친교를 이루도록 인간을 부르시고 받아들이신다.”(1) 이러한 초대에 합당한 응답이 바로 신앙이다.
143 Per fidem homo suum intellectum suamque voluntatem Deo plene submittit. Homo ex toto quod est, Deo revelanti suum praebet assensum. Haec responsio hominis Deo revelanti - oboeditio fidei -a sacra appellatur Scriptura.
143 신앙으로써 인간은 온전히 자신의 지성과 의지를 하느님께 복종시킨다. 인간은 자신의 존재 전체로, 계시하시는 하느님께 동의를 드리는 것이다.(2) 성경은 계시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이러한 인간의 응답을 “믿음의 순종”이라고 부른다.(3)

ARTICULUS 1 CREDO

제1절 저는 믿나이다

I. De fidei oboedientia

I. 믿음의 순종

144 In fide oboedire (ob-audire) est se libere audito submittere verbo, quia eius veritas a Deo, qui ipsa veritas est, praestatur. Abraham huius oboedientiae est exemplar, nobis a sacra Scriptura propositum. Virgo autem Maria eius effectio est perfectissima.
144 믿음의 순종이란(‘순종하다’라는 라틴 말 oboedire는 ob[에게]와 audire[듣다]의 합성어이다.) 자신이 들은 하느님의 말씀에 자유로이 순종하는 것이며, 이는 진리 자체이신 하느님께서 그 말씀이 진리임을 보증하시기 때문이다. 성경은 아브라함을 이러한 순종의 모범으로 제시하며, 동정 마리아께서는 이를 가장 완전하게 실현하셨다.

Abraham - “pater omnium credentium”

아브라함 - “모든 믿는 이의 조상”

145 Epistula ad Hebraeos, in magno illo fidei maiorum elogio, in fide Abraham peculiariter insistit: “Fide vocatus Abraham oboedivit in locum exire, quem accepturus erat in hereditatem, et exivit nesciens quo iret” (Heb 11,8). Fide ut advena et peregrinus in Terra vixit promissa. Fide, Sara accepit filium Promissionis concipere Fide denique Abraham suum filium unicum in sacrificio obtulit.
145 히브리서는 조상들의 믿음을 찬양하면서 특히 아브라함의 믿음을 강조한다. “믿음으로써, 아브라함은 장차 상속 재산으로 받을 곳을 향하여 떠나라는 부르심을 받고 그대로 순종하였습니다. 그는 어디로 가는지도 모르고 떠난 것입니다”(히브 11,8).(4)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약속된 땅에서 이방인으로 또 순례자로 살았다.(5) 믿음으로, 사라도 약속된 아들을 잉태하게 되었다. 믿음으로, 마침내 아브라함은 자신의 외아들을 희생 제물로 바친다.(6)
146 Sic Abraham definitionem fidei, ab epistula ad Hebraeos traditam, in rem ducit: “Est autem fides sperandorum substantia, rerum argumentum non apparentium ”(Heb 11,1). “Credidit autem Abraham Deo, et reputatum est illi ad iustitiam ”(Rom 4,3). Hac “confortatus fide” (Rom 4,20), Abraham factus est “pater omnium credentium” (Rom 4,11.18).
146 이처럼 아브라함은 히브리서가 제시하는 믿음의 정의(定義)를 그대로 실현한다. “믿음은 우리가 바라는 것들의 보증이며 보이지 않는 실체들의 확증입니다”(히브 11,1). “아브라함이 하느님을 믿으니, 하느님께서 믿음을 의로움으로 인정해 주셨다”(로마 4,3).(7) “믿음으로 더욱 굳세어진”(로마 4,20) 아브라함은 “믿는 모든 사람의 아버지”(로마 4,11.1(8) (8) 되었다.
147 Vetus Testamentum testimoniis est huius fidei copiosum. Epistula ad Hebraeos exemplaris fidei proclamat elogium, in qua “testimonium consecuti sunt seniores”(Heb 11,2.39), “Deo pro nobis melius aliquid providente” gratiam scilicet in Filium Suum credendi, “ducem fidei et consummatorem Iesum”(Heb 11,40; 12,2).
147 구약 성경에는 이러한 신앙에 대한 증언이 풍부하다. 히브리서는 “믿음으로 인정을 받을”(히브 11,2.39) 만한 조상들의 모범적인 신앙을 찬양한다. 한편 “하느님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더 좋은 것을 내다보셨는데”(히브 11,40), 그것은 바로 “우리 믿음의 영도자이시며 완성자이신”(히브 12,2) 당신의 아들 예수님을 믿는 은총이다.

Maria - “Beata quae credidit”

마리아 - “행복하십니다, 믿으신 분”

II. Scio enim cui credidi - (2 Tim 1,12)

II. “나는 내가 누구를 믿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2티모 1,12)

148 Maria Virgo modo perfectissimo oboedientiam fidei in rem ducit. In fide, Maria nuntium et promissionem ab Angelo Gabriel allata recipit, credens quod “non erit impossibile apud Deum omne verbum” (Lc 1,37) suumque praebens assensum: “Ecce ancilla Domini; fiat mihi secundum verbum tuum” (Lc 1,38). Elisabeth illam his salutavit verbis: “Beata, quae credidit, quoniam perficientur ea, quae dicta sunt ei a Domino” (Lc 1,45). Propter hanc fidem omnes generationes illam proclamabunt beatam.
148 동정 마리아께서는 가장 완전하게 믿음의 순종을 실천하신 분이시다. 마리아께서는 믿음 안에서 “하느님께는 불가능한 일이 없다.”(루카 1,37)(9) 는 말씀을 믿으시고 가브리엘 천사가 전한 주님의 탄생 예고와 약속을 받아들이시며, “보십시오, 저는 주님의 종입니다. 말씀하신 대로 저에게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루카 1,38) 하고 동의하신다. 엘리사벳은 마리아께 “행복하십니다, 주님께서 하신 말씀이 이루어지리라고 믿으신 분!”(루카 1,45) 하고 인사하였다. 바로 이러한 믿음 때문에 모든 세대가 마리아를 행복하다고 일컫는 것이다.(10)
149 Per totius eius vitae cursum, et usque ad eius extremam probationem, cum Iesus, eius filius, est mortuus in cruce, eius fides non vacillavit. Maria verbum Dei “perficiendum esse” credere non desiit. Ecclesia igitur in Maria purissimam fidei veneratur effectionem.
149 일생 동안, 그리고 극도의 시련,(11) 곧 그 아드님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돌아가시는 상황에 이르기까지 그분의 믿음은 흔들리지 않았다. 마리아께서는 하느님의 말씀이 “이루어지리라”는 것을 끝까지 믿으셨다. 그래서 교회는 마리아를 가장 순수한 믿음을 실현하신 분으로 공경한다.

In solum Deum credere

하느님만을 믿음

150 Fides est imprimis adhaesio personalis hominis ad Deum; simul vero et inseparabiliter est liber toti veritati a Deo revelatae assensus. Fides christiana, quatenus adhaesio personalis ad Deum et veritati ab Ipso revelatae assensus, a fide in personam differt humanam. Bonum et iustum est se plene Deo fidere idque absolute credere, quod Ipse dixit. Vanum et falsum esset talem fidem in quamdam reponere creaturam.
150 신앙이란 무엇보다도 인간이 인격적으로 하느님께 귀의(歸依)하는 것이며, 또한 하느님께서 계시하신 진리 전체에 대하여 자유로이 동의하는 것이다. 이처럼 그리스도교 신앙은 하느님께 인격적으로 귀의하는 것이며 하느님께서 계시하신 진리에 동의하는 것이므로, 인간을 믿는 것과는 다르다. 자신을 하느님께 전적으로 맡기며 그분의 말씀을 절대적으로 믿는 것은 마땅하고 옳은 일이다. 그러한 믿음을 피조물에 두는 것은 헛되고 어리석은 일이다.(12)

In Iesum Christum, Filium Dei, credere

하느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

151 Pro christiano credere in Deum est inseparabiliter in Eum credere quem Ille misit: Filium Suum dilectum, in quo complacuit; Deus nobis dixit ut Eum audiremus. Dominus Ipse Suis dixit discipulis: “Creditis in Deum et in me credite ”(Io 14,1). In Iesum Christum credere possumus, quia Ipse est Deus, Verbum caro factum: “Deum nemo vidit unquam; unigenitus Deus, qui est in sinum Patris, Ipse enarravit” (Io 1,18). Quia Ille “vidit Patrem” (Io 6,46), solus Eum novit et potestatem Eum habet revelandi.
151 그리스도인들에게 하느님을 믿는다는 것은, 그분께서 보내 주신 아들, “그분의 마음에 드는 아들”을(13) 믿는 것과 분리될 수 없다. 하느님께서는 그분의 말씀을 들으라고 우리에게 명하신다.(14) 주님께서는 당신 제자들에게 친히 이렇게 말씀하신다. “하느님을 믿고 또 나를 믿어라”(요한 14,1). 예수 그리스도께서 바로 하느님이시며 강생하신 말씀이시기 때문에 우리는 그분을 믿을 수 있다. “아무도 하느님을 본 적이 없다. 아버지와 가장 가까우신 외아드님, 하느님이신 그분께서 알려 주셨다”(요한 1,18). 그분께서는 “아버지를 본”(요한 6,46) 분이시기 때문에, 아버지를 알고 아버지를 보여 주실 수 있는 유일한 분이시다.(15)

In Spiritum Sanctum credere

성령을 믿음

152 Impossibile est quempiam in Iesum Christum credere, quin ille Eius sit particeps Spiritus. Sanctus vero Spiritus hominibus revelat quis Iesus sit. Etenim “nemo potest dicere “Dominus Iesus”, nisi in Spiritu Sancto” (1 Cor 12,3). “Spiritus enim omnia scrutatur, etiam profunda Dei. [...] Quae Dei sunt, nemo cognovit nisi Spiritus Dei” (1 Cor 2,10-11). Solus Deus Deum plene cognoscit. In Sanctum credimus Spiritum, quia Ille est Deus.
152 그분 성령의 도움 없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믿을 수 없다. “성령에 힘입지 않고서는 아무도 ‘예수님은 주님이시다.’ 할 수 없기”(1코린 12,3) 때문이다. 인간에게 예수님께서 누구신지를 알려 주시는 분은 바로 성령이시다. “성령께서는 모든 것을, 그리고 하느님의 깊은 비밀까지도 통찰하십니다.……하느님의 영이 아니고서는 아무도 하느님의 생각을 깨닫지 못합니다”(1코린 2,10-11). 하느님 홀로 하느님을 온전히 아신다. 성령께서는 하느님이시므로 우리는 성령을 믿는다.
Ecclesia suam fidem in unum Deum, Patrem, Filium et Spiritum Sanctum confiteri non desinit.
교회는 한 분이신 하느님 성부, 성자, 성령에 대한 신앙을 끊임없이 고백한다.

III. De proprietatibus fidei

III. 신앙의 특성

Fides est gratia quaedam

신앙은 은총이다

153 Cum sanctus Petrus Iesum esse Christum, Filium Dei vivi, confitetur, Iesus ei declarat hanc revelationem ex carne et sanguine ei non venisse, sed ex Patre Suo “qui in caelis est” (Mt 16,17). Fides est donum Dei, virtus supernaturalis ab Illo infusa. “Quae fides ut praebeatur, opus est praeveniente et adiuvante gratia Dei et internis Spiritus Sancti auxiliis, qui cor moveat et in Deum convertat, mentis oculos aperiat, et det "omnibus suavitatem in consentiendo et credendo veritati"”
153 베드로 사도가 예수님께서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들 그리스도이심을 고백할 때,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그것을 알려 주신 분은 “살과 피가 아니라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마태 16,(17) 라고 밝히신다.(16) 신앙은 하느님의 선물이며, 하느님께서 불어넣어 주시는 초자연적인 덕이다. “이와 같은 믿음이 있으려면 하느님의 도움의 은총이 선행되어야 하며, 성령의 내적인 도움이 필요하다. 성령께서는 마음을 움직이시고, 하느님께로 회개시키시며, 마음의 눈을 열어 주시고 ‘진리에 동의하고 믿는 데에서 오는 즐거움을 모든 이에게 베푸신다.’”(17)

Fides est actus humanus

신앙은 인간 행위이다

154 Credere possibile non est nisi per gratiam et interna Sancti Spiritus auxilia. Minus verum non est, credere actum esse vere humanum. Neque hominis libertati neque intellectui contrarium est Deo fidere veritatibusque ab Illo revelatis adhaerere. In ipso humano commercio, nostrae propriae dignitati contrarium non est, credere id quod alii homines de se ipsis et de suis dicunt intentionibus, et illorum promissionibus fidere (sicut cum vir et mulier matrimonium ineunt), ad sic ingrediendum in mutuam communionem. Consequenter adhuc minus contrarium est nostrae dignitati “plenum revelanti Deo intellectus et voluntatis obsequium fide praestare” et sic in communionem cum Eo ingredi intimam.
154 믿는다는 것은 성령의 은총과 내적인 도움으로만 가능하다. 그렇지만 믿는 것이 참으로 인간적 행위라는 것 또한 사실이다. 하느님을 신뢰하고 그분께서 계시하신 진리를 따르는 것이 인간의 자유나 지성에 반하는 것은 아니다. 인간관계에서조차 우리가 상호 일치를 위해 타인이나 그 의향을 믿고,(예를 들어 남자와 여자가 혼인할 때처럼) 그 약속을 믿는 것이 우리의 인간적 품위를 손상시키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계시하시는 하느님에 대한 우리 지성과 의지의 완전한 순종을 신앙을 통하여 드러내고”,(18) 하느님과 친밀한 일치를 이루는 일은 결코 우리의 품위를 해치는 것이 아니다.
155 In fide, humanus intellectus et voluntas cum gratia divina cooperantur: “Credere est actus intellectus assentientis veritati divinae ex imperio voluntatis a Deo motae per gratiam”
155 신앙 안에서, 인간의 지성과 의지는 하느님의 은총과 협력한다. “신앙은 하느님의 은총으로 움직여진 의지의 명령에 따라, 하느님의 진리에 동의하는 지성적 행위이다.”(19)

Fides et intellectus

신앙과 지성

156 Motivum credendi id non est quod veritates revelatae lumini nostrae rationis naturalis tamquam verae et intelligibiles appareant. Credimus “propter auctoritatem Ipsius Dei revelantis, qui nec falli nec fallere potest” “Ut nihilominus fidei nostrae "obsequium rationi consentaneum" esset, voluit Deus cum internis Spiritus Sancti auxiliis externa iungi Revelationis Suae argumenta” Sic Christi et sanctorum miracula, prophetiae, Ecclesiae propagatio et sanctitas, eius fecunditas et stabilitas “divinae Revelationis signa sunt certissima et omnium intelligentiae accommodata” credibilitatis motiva quae ostendunt quod “fidei assensus nequaquam sit motus animi caecus”
156 계시된 진리들이 우리의 자연적 이성에 비추어 참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사실이 신앙의 동기는 아니다. “스스로 그르칠 수 없고 우리를 그르치게 하지도 않으시는, 계시하시는 하느님 바로 그분의 권위 때문에”(20) 우리는 믿는다. “그럼에도 우리의 신앙적 동의가 이성에도 부합하도록, 하느님께서는 성령의 내적 도움이 당신 계시의 외적 증거들과 함께 주어지도록 하셨다.”(21) 예를 들어 그리스도와 성인들의 기적,(22) 예언, 교회의 확산과 그 거룩함, 그 풍요함과 확고함은, “모든 이의 지성이 파악할 수 있는, 계시에 대한 확실한 증거들이며”,(23) 신앙의 동의가 “결코 정신의 맹목적인 작용이 아니라는 것”(24) 을 보여 주는 믿음의 동기들이다.
157 Fides est certa, omni humana cognitione certior, quia in ipso Verbo Dei fundatur, qui mentiri nequit. Veritates revelatae possunt utique rationi et experientiae humanis obscurae videri, sed “maior est certitudo quae est per divinum lumen, quam quae est per lumen rationis naturalis” “Decem milia difficultatum unum non efficiunt dubium”
157 신앙은 확실한 것이며, 그것이 거짓 없으신 하느님의 말씀 자체에 근거하기 때문에 인간의 모든 인식보다 더 확실하다. 물론 계시된 진리들이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에 비추어 모호하게 보일 수는 있으나 “자연적 이성의 빛이 주는 확실성보다 하느님의 빛이 주는 확실성이 더 크다.”(25) “만 가지 어려움도 하나의 의심을 만들어 내지는 못한다.”(26)
158 “Fides quaerens intellectum” fidei est inhaerens ut credens melius Eum cognoscere exoptet in quem suam reposuit fidem idque melius intelligere quod Ipse revelavit; profundior cognitio, e parte sua, maiorem fidem secum ducet, semper amplius succensam amore. Gratia fidei “oculos cordis”(Eph 1,18) aperit ad vivam eorum intelligentiam quae in Revelatione continentur, intelligentiam scilicet complexus consilii Dei et mysteriorum fidei, eorum conexionis inter se et cum Christo mysterii revelati centro. “Quo vero profundior usque evadat Revelationis intelligentia, [...] Spiritus Sanctus fidem iugiter per dona Sua perficit” Ita secundum sancti Augustini adagium: “Intellige ut credas: crede, ut intelligas”
158 “신앙은 이해를 요구한다.”(27) 믿는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믿는 분을 더 잘 알고자 하며 그분의 계시를 더 잘 이해하고자 한다. 한편 더 깊은 이해는 다시금 더 강하고 점점 더 사랑에 불타는 믿음을 불러일으킨다. 신앙의 은총은 “마음의 눈”(에페 1,18)을 열어 줌으로써 계시의 내용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게 한다. 거기에는 하느님의 계획 전체, 신앙의 신비, 신비들의 상호 관계, 계시된 신비의 중심이신 그리스도와 이루는 관계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 그리고 “성령께서는 계시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도록 당신의 은총으로 항구히 신앙을 완성시켜 주신다.”(28) 그러므로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금언대로 “믿기 위하여 이해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믿는다.”(29)
맨 처음이전 1 2 3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