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CREDO” - “CREDIMUS” CAPUT TERTIUM HOMO DEO RESPONDET ARTICULUS 1 CREDO
교회 교리서

Fides et intellectus

신앙과 지성

156 Motivum credendi id non est quod veritates revelatae lumini nostrae rationis naturalis tamquam verae et intelligibiles appareant. Credimus “propter auctoritatem Ipsius Dei revelantis, qui nec falli nec fallere potest” “Ut nihilominus fidei nostrae "obsequium rationi consentaneum" esset, voluit Deus cum internis Spiritus Sancti auxiliis externa iungi Revelationis Suae argumenta” Sic Christi et sanctorum miracula, prophetiae, Ecclesiae propagatio et sanctitas, eius fecunditas et stabilitas “divinae Revelationis signa sunt certissima et omnium intelligentiae accommodata” credibilitatis motiva quae ostendunt quod “fidei assensus nequaquam sit motus animi caecus”
156 계시된 진리들이 우리의 자연적 이성에 비추어 참되고 이해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는 사실이 신앙의 동기는 아니다. “스스로 그르칠 수 없고 우리를 그르치게 하지도 않으시는, 계시하시는 하느님 바로 그분의 권위 때문에”(20) 우리는 믿는다. “그럼에도 우리의 신앙적 동의가 이성에도 부합하도록, 하느님께서는 성령의 내적 도움이 당신 계시의 외적 증거들과 함께 주어지도록 하셨다.”(21) 예를 들어 그리스도와 성인들의 기적,(22) 예언, 교회의 확산과 그 거룩함, 그 풍요함과 확고함은, “모든 이의 지성이 파악할 수 있는, 계시에 대한 확실한 증거들이며”,(23) 신앙의 동의가 “결코 정신의 맹목적인 작용이 아니라는 것”(24) 을 보여 주는 믿음의 동기들이다.
157 Fides est certa, omni humana cognitione certior, quia in ipso Verbo Dei fundatur, qui mentiri nequit. Veritates revelatae possunt utique rationi et experientiae humanis obscurae videri, sed “maior est certitudo quae est per divinum lumen, quam quae est per lumen rationis naturalis” “Decem milia difficultatum unum non efficiunt dubium”
157 신앙은 확실한 것이며, 그것이 거짓 없으신 하느님의 말씀 자체에 근거하기 때문에 인간의 모든 인식보다 더 확실하다. 물론 계시된 진리들이 인간의 이성이나 경험에 비추어 모호하게 보일 수는 있으나 “자연적 이성의 빛이 주는 확실성보다 하느님의 빛이 주는 확실성이 더 크다.”(25) “만 가지 어려움도 하나의 의심을 만들어 내지는 못한다.”(26)
158 “Fides quaerens intellectum” fidei est inhaerens ut credens melius Eum cognoscere exoptet in quem suam reposuit fidem idque melius intelligere quod Ipse revelavit; profundior cognitio, e parte sua, maiorem fidem secum ducet, semper amplius succensam amore. Gratia fidei “oculos cordis”(Eph 1,18) aperit ad vivam eorum intelligentiam quae in Revelatione continentur, intelligentiam scilicet complexus consilii Dei et mysteriorum fidei, eorum conexionis inter se et cum Christo mysterii revelati centro. “Quo vero profundior usque evadat Revelationis intelligentia, [...] Spiritus Sanctus fidem iugiter per dona Sua perficit” Ita secundum sancti Augustini adagium: “Intellige ut credas: crede, ut intelligas”
158 “신앙은 이해를 요구한다.”(27) 믿는 사람은 누구나 자기가 믿는 분을 더 잘 알고자 하며 그분의 계시를 더 잘 이해하고자 한다. 한편 더 깊은 이해는 다시금 더 강하고 점점 더 사랑에 불타는 믿음을 불러일으킨다. 신앙의 은총은 “마음의 눈”(에페 1,18)을 열어 줌으로써 계시의 내용을 있는 그대로 이해하게 한다. 거기에는 하느님의 계획 전체, 신앙의 신비, 신비들의 상호 관계, 계시된 신비의 중심이신 그리스도와 이루는 관계에 대한 이해가 포함된다. 그리고 “성령께서는 계시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도록 당신의 은총으로 항구히 신앙을 완성시켜 주신다.”(28) 그러므로 아우구스티노 성인의 금언대로 “믿기 위하여 이해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믿는다.”(29)
159 Fides et scientia. “Verum etsi fides sit supra rationem, nulla tamen umquam inter fidem et rationem vera dissensio esse potest: cum Idem Deus, qui mysteria revelat et fidem infundit, animo humano rationis lumen indiderit, Deus autem negare Se Ipsum non possit, nec verum vero umquam contradicere” “Ideo inquisitio methodica in omnibus disciplinis, si modo vere scientifico et iuxta normas morales procedit, numquam fidei revera adversabitur, quia res profanae et res fidei ab Eodem Deo originem ducunt. Immo, qui humili et constanti animo abscondita rerum perscrutari conatur, etsi inscius quasi manu Dei ducitur qui, res omnes sustinens, facit ut sint id quod sunt”
159 신앙과 과학. “신앙이 이성보다 우위에 있기는 하지만, 신앙과 이성 사이에 진정한 불일치는 있을 수 없다. 신비를 계시하고 신앙을 주시는 바로 그 하느님께서 인간의 정신에 이성의 빛을 비춰 주시기 때문이며, 하느님께서 당신 자신을 부정하시거나 진리가 진리를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30) “그러므로 모든 분야의 방법론적 탐구가 참으로 과학적 방법으로 도덕규범에 따라 이루어진다면 결코 신앙과 참으로 대립할 수 없을 것이다. 세속 사물이나 신앙의 실재는 다 똑같은 하느님에게서 그 기원을 이끌어 내기 때문이다. 오히려 겸허하고 항구한 마음으로 사물의 비밀을 탐색하려고 노력하는 사람은, 의식하지는 못하더라도, 만물을 보존하시고, 있는 그대로 존재하게 하시는 하느님의 손에 인도되고 있는 것이다.”(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