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제 2 부 그리스도교 신앙 고백

185 Qui dicit “Credo” dicit “Adhaereo ei quod nos credimus” Communio in fide eget communi fidei sermone, qui omnibus sit norma omnesque in eadem fidei confessione coniungat.
185 “저는 믿나이다.”라고 말하는 사람은, “나는 우리가 믿고 있는 것에 동의한다.”고 말하는 것이다. 신앙의 일치는 모든 이에게 규범이 되는, 그리고 동일한 신앙 고백 안에서 일치를 이루어 주는 신앙의 공통 언어를 요구한다.
186 Inde ab origine, Ecclesia apostolica suam propriam fidem in formulis brevibus et vim normae habentibus pro omnibus expressit et transmisit. Sed iam prorsus cito Ecclesia etiam voluit suae fidei essentialia in compendiis organicis et articulatis colligere, quae candidatis ad Baptismum potissimum erant destinata.
186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는 처음부터 자신의 신앙을, 모든 사람을 위한 간결하고 규범적인 신앙 조문들을 통하여 표현하고 전달해 왔다.(1) 또한 아주 일찍부터 교회는 신앙의 핵심을 유기적인 조문 형태로 결집 요약하고자 했는데, 이는 무엇보다도 세례를 원하는 예비 신자들을 위한 것이었다.
“Non enim ut hominibus placuit, fidei summa composita est; sed ex omni Scriptura potissima quaeque capita selecta, unam fidei doctrinam complent. Et quemadmodum sinapis semen in modico grano multos continet ramos, ita et fides haec, paucis in verbis, omnem tam Veteri quam Novo in Testamento contentam pietatis cognitionem insinuata recondit”
이러한 신앙의 종합은 인간의 기분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 아닙니다. 그것은 성경 전체에서 핵심이 되는 것들을 골라 구성한 것으로서, 신앙의 유일한 가르침을 이룹니다. 아주 작은 겨자씨 안에 많은 가지가 들어 있듯이, 이러한 신경도 몇 마디의 말 속에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에 담겨 있는 참된 신앙심의 모든 지식이 들어 있습니다.(2)
187 Hae fidei syntheses “Professiones fidei” appellantur, quia fidem breviter complectuntur quam christiani profitentur. “ Credo”appellantur propterea quod in illis generatim primum verbum est “Credo” Pariter “Symbola fidei”appellantur.
187 이러한 신앙의 종합을 ‘신앙 고백’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그리스도인들이 고백하는 신앙을 요약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이를 “크레도”(Credo)라고도 부르는데, 이러한 종합적인 기도문이 보통 “저는 믿나이다.”(Credo)라는 말로 시작되기 때문이다. 이를 ‘신경’(Symbola fidei)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188 Verbum graecum \\\ dimidiam rei fractae significabat partem (exempli gratia, sigilli) quae tamquam agnitionis signum praesentabatur. Partes fractae simul collocabantur ad identitatem comprobandam illius qui quamdam partem portabat. Symbolum fidei est signum agnitionis et communionis inter credentes. \\\ indicat deinde compendium, collectionem vel summarium. “Symbolum fidei” compendium est praecipuarum veritatum fidei. Inde sequitur illud pro catechesi tamquam primum et fundamentale haberi punctum, ad quod oportet referri.
188 그리스 말 ‘심볼론’(Symbolon)은 깨뜨린 물건의 반쪽을 의미하는데, 이는 신원의 증표로 제시되던 것이다. 제시된 물건을 나머지 반쪽과 맞추어 보아 그것을 가진 사람의 신원을 확인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신경’은 신앙인들 사이의 확인과 일치의 표시였다. 그리고 ‘심볼론’은 요약, 전서(全書) 또는 종합을 의미한다. ‘신경’은 신앙의 중요한 진리들을 요약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신경’은 교리 교육의 첫째 기준이며 근본 기준이다.
189 Prima “Professio fidei”fit cum Baptismus recipitur. “Symbolum fidei”est imprimis Symbolum baptismale. Quia Baptismus “in nomine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Mt 28,19) confertur, veritates fidei in Baptismo agnitae secundum suam ad tres Personas Sanctissimae Trinitatis relationem articulantur.
189 첫 ‘신앙 고백’은 세례 때에 이루어진다. ‘신경’은 무엇보다도 세례 신앙의 고백이다. 세례는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마태 28,19) 베풀어지므로, 세례 때 고백하는 신앙의 진리들은 삼위일체의 세 위격(位格)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190 Symbolum est igitur in tres partes divisum “ut in una, divinae naturae Prima Persona et mirum creationis opus describatur; in altera, Secunda Persona et humanae Redemptionis mysterium; in tertia, Tertia item Persona, caput et fons sanctitatis nostrae” Haec sunt “tria capita nostri sigilli [baptismalis]”
190 그러므로 신경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먼저 ‘제1위격’(성부)과 그분의 놀라운 창조 업적, 다음에는 ‘제2위격’(성자)과 인간 구원의 신비, 끝으로 우리 성화의 근본이며 원천이신 ‘제3위격’(성령)에 대한 부분이다.”(3) 이것이 “우리 세례 인호(印號)의 세 가지 주제이다.”(4)
191 Symbolum “in tres [...] partes ita distributum videtur, ut [...] variis et aptissimis sententiis concludatur. Eas autem sententias, similitudine quadam a Patribus nostris frequenter usurpata, articulos appellamus. Ut enim corporis membra articulis distinguuntur, ita etiam in hac fidei confessione, quidquid distincte et separatim ab alio nobis credendum est, recte et apposite articulum dicimus” Secundum quamdam antiquam traditionem, quam iam sanctus Ambrosius testatur, mos etiam habetur duodecim articulos in Credo numerandi, ut, Apostolorum numero, symbolice fidei apostolicae significetur complexus.
191 “이 세 부분은 서로 결합되어 있지만 또 서로 구분된다. 교부들이 종종 사용하던 비유를 따라 우리는 이 구분을 절(節)이라고 부른다. 사실 우리 몸에 사지를 구별하고 구분해 주는 관절이 있듯이, 이 신앙 고백 안에서 우리가 특별히 구분해서 믿어야 할 진리들에 대해 ‘절’이라는 이름을 부여한 것은 타당하고 옳은 일이었다.”(5) 암브로시오 성인이 이미 확인한 오랜 전통에 따르면,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신앙 전체를 사도들의 수로 상징하고자 신경을 열두 절로 구분하는 관습이 있었다.(6)
192 Decursu saeculorum, ut responsio necessitatibus daretur diversarum aetatum, plures fuerunt Professiones seu Symbola fidei: Symbola diversarum apostolicarum et veterum Ecclesiarum, Symbolum “Quicumque” quod dicitur Athanasianum, Professiones fidei quorumdam Conciliorum (Toletani; Lateranensis; Lugdunensis; Tridentini) vel aliquorum Summorum Pontificum sicut “Fides Damasi” vel “Credo populi Dei” a Paulo VI exaratum (1968).
192 시대가 흐르면서 다양한 시대적 필요에 따라 많은 신앙 고백 또는 신경들이 있었다. 곧 사도 교회와 옛 교회의 여러 신경들,(7) 이를테면 아타나시오 신경이라고도 불리는 ‘퀴쿰퀘(Quicumque) 신경’(8) , 몇몇 공의회의 신앙 고백들(톨레도,(9) 라테라노,(10) 리옹,(11) 트리엔트(12) ), 교황들의 신앙 고백들(5세기 ‘다마소의 신앙 고백’(13) , 1968년 바오로 6세 교황의 ‘하느님 백성의 신앙 고백’(14) )이다.
193 Nullum e diversarum aetatum vitae Ecclesiae Symbolis potest tamquam superatum et inutile considerari. Illa nos adiuvant ad fidem semper propositam, per diversa compendia quae de illa sunt facta, hodie attingendam et penetrandam.
193 교회 역사상 다양한 시기에 생겨난 신경들 가운데 어느 것도 시대에 뒤떨어지거나 쓸모없는 것이라고 여겨서는 안 된다. 이 신경들은 변함없는 신앙에 대한 요약을 통하여 우리가 오늘날에도 그 신앙에 다다르고 깊어지도록 돕고 있다.
Inter omnia fidei Symbola, duo in vita Ecclesiae locum obtinent prorsus particularem:
이 모든 신경 가운데 두 가지가 교회의 삶에서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194 Symbolum Apostolicum ita appellatum quia tamquam fidei Apostolorum iure consideratur fidele compendium. Vetus est Symbolum baptismale Ecclesiae Romanae. Eius magna auctoritas ex hoc procedit: “ Hoc autem est Symbolum, quod Romana Ecclesia tenet, ubi primus Apostolorum Petrus sedit et communem sententiam eo detulit”
194 사도신경은 사도들의 신앙을 충실히 요약했다는 점에서 이 이름으로 불리는 것이 마땅하다. 사도신경은 로마 교회의 세례를 위한 옛 신경이다. 이 신경의 막중한 권위는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 비롯된다. “이 신경은 사도들의 으뜸인 베드로의 사도좌가 있고 그곳에서 공적인 결정을 내렸던 로마 교회가 간직하고 있는 신경이다.”(15)
195 Symbolum Nicaenum-Constantinopolitanum appellatum suam magnam habet auctoritatem eo quod a duobus prioribus Conciliis Oecumenicis (325 et 381) procedit. Adhuc hodie omnibus magnis Ecclesiis Orientis et Occidentis permanet commune.
195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라고 불리는 신경은 초기의 두 세계 공의회(325년, 381년)에서 나온 신경이라는 의미에서 큰 권위를 가진다. 이 신경은 오늘날에도 동방과 서방의 양대 교회에 공히 간직되어 있다.
196 Nostra fidei expositio Apostolicum sequetur Symbolum, quod, ut ita dicamus, “antiquissimum catechismum Romanum”constituit. Expositio tamen complebitur ad Symbolum Nicaenum-Constantinopolitanum assidue recurrendo, quod saepe magis explicite magisque singillatim exprimitur.
196 이 책에서 신앙 교리는 이른바 “가장 오래된 로마 교리서”라고 할 수 있는 ‘사도신경’에 따라 제시할 것이며, 때때로 더 명확하고 세밀한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참조하여 보완해 나갈 것이다.
197 Sicut die nostri Baptismi, cum tota vita nostra “in eam formam doctrinae”(Rom 6,17) concredita est, Symbolum accipimus nostrae fidei quae vitam praestat. “Credo”fide recitare est in communionem ingredi cum Deo Patre, Filio et Spiritu Sancto, est etiam in communionem ingredi cum universa Ecclesia quae nobis transmittit fidem et in cuius sinu credimus:
197 우리가 세례를 받을 때 우리 모든 삶을 “표준 가르침에”(로마 6,17) 맡겼던 것처럼, 우리는 생명을 주는 우리 신앙의 신경을 받아들여야 한다. 신앙을 가지고 신경을 외우는 것은 성부, 성자, 성령과 일치를 이루는 것이며, 우리에게 신앙을 전해 주고 그 품 안에서 우리가 믿는 온 교회와 일치를 이루는 것이기도 하다.
“Symbolum est spirituale signaculum, [...] cordis est nostri meditatio et quasi semper praesens custodia, certe thesaurus pectoris nostri”
이 신경은 영적인 인장이고, 우리 마음의 묵상이며, 늘 현존하는 보호이고, 우리 영혼의 보물임이 확실합니다.(16)

SYMBOLA FIDEI

신경(信經)들

CAPUT PRIMUM

제 1 장 천주 성부를 믿나이다

198 Nostra fidei Professio incipit a Deo, quia Deus est “primus et [...] novissimus ”(Is 44,6), omnium initium et finis. “Credo”incipit a Deo Patre, quia Pater Prima est Persona divina Sanctissimae Trinitatis. Nostrum Symbolum incipit a creatione caeli et terrae, quia creatio initium et fundamentum est omnium Dei operum.
198 우리의 신앙 고백은 하느님으로 시작한다. 하느님께서는 “처음이며 마지막”(이사 44,6)이시고, 모든 것의 시작이시며 마침이시기 때문이다. 성부께서는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의 제1위격이시기에, 사도신경은 천주 성부로 시작한다. 창조는 하느님의 모든 업적의 시작이며 기초이므로, 신경은 천지 창조로 시작한다.

ARTICULUS 1“”CREDO IN DEUM PATREM OMNIPOTENTEM, CREATOREM CAELI ET TERRAE”

제1절 “전능하신 천주 성부, 천지의 창조주를 저는 믿나이다”

Paragraphus 1CREDO IN DEUM

제1단락 천주를 믿나이다

199 “Credo in Deum” haec prima Professionis fidei affirmatio est etiam omnium maxime fundamentalis. Totum Symbolum de Deo loquitur, et cum de homine etiam loquitur et de mundo, id in relatione facit ad Deum. Omnes Professionis fidei articuli ab hoc pendent primo, sicut mandata Dei primum explicant mandatum. Ceteri articuli faciunt ut melius Deum cognoscamus qualem Ipse Se hominibus gradatim revelavit. “Recte igitur fideles primo se in Deum credere profitentur”
199 “천주를 저는 믿나이다.”라고 하는 이 신앙의 첫 언명은 가장 근본적인 것이다. 신경 전체는 하느님에 대해서 말하고 있으며, 인간과 세상에 대해서 말할 때에도 그것을 하느님과 관련시켜 말한다. 십계명이 모두 첫째 계명을 밝혀 주듯이 신경의 모든 구절은 이 첫 구절에 종속된다. 다른 구절들은 인간에게 점진적으로 당신을 계시해 주신 그대로의 하느님을 더 잘 깨닫도록 해 준다. “신자들은 무엇보다도 먼저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고백한다.”(1)

1. “Credo in unum Deum”

I. “한 분이신 하느님을 저는 믿나이다”

200 His verbis Symbolum incipit Nicaenum-Constantinopolitanum. Confessio unicitatis Dei, quae in Revelatione divina Veteris Foederis radicatur, ab illa exsistentiae Dei est inseparabilis atque etiam prorsus fundamentalis. Deus est Unus: non est nisi unus Deus. “Deum igitur natura, substantia, essentia unum [...] christiana fides credit et profitetur”
200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은 이렇게 시작한다. 구약의 하느님 계시에 근거한 하느님의 유일성에 대한 고백은 하느님 존재에 대한 고백과 분리될 수 없으며, 이 둘은 모두 근본적인 것이기도 하다. 하느님께서는 유일하시다. 오직 한 분의 하느님만이 계신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하느님께서 본성과 실체와 본질에서 오직 한 분이심을 고백한다.”(2)
201 Israel, electo Suo, Deus, tamquam Unum, Se revelavit: “Audi, Israel: Dominus Deus noster Dominus Unus est. Diliges Dominum Deum tuum ex toto corde tuo et ex tota anima tua et ex tota fortitudine tua”(Dt 6,4-5). Deus, per Prophetas, Israel et omnes appellat nationes ut ad Ipsum, Unum, se convertant: “Convertimini ad me et salvi eritis, omnes fines terrae, quia ego Deus, et non est alius. [...] Mihi curvabitur omne genu, et iurabit omnis lingua. "Tantum in Domino" dicent "sunt iustitiae et robur"”(Is 45,22-24).
201 하느님께서는 선택된 이스라엘 백성에게 당신께서 ‘유일한 분’이심을 알려 주신다. “이스라엘아, 들어라! 주 우리 하느님은 한 분이신 주님이시다. 너희는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 주 너희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신명 6,4-5). 하느님께서는 예언자들을 통하여 이스라엘과 모든 민족을 유일하신 분, 하느님 당신께 돌아오도록 부르신다. “땅 끝들아, 모두 나에게 돌아와 구원을 받아라. 나는 하느님, 다른 이가 없다.……정녕 모두 나에게 무릎을 꿇고 입으로 맹세하며 말하리라. ‘주님께만 의로움과 권능이 있다’”(이사 45,22-24).(3)
202 Ipse Iesus Deum “unum Dominum”esse confirmat Eumque ex toto corde et ex tota anima et ex tota mente et ex tota virtute amandum esse. Simul autem indicat, Se Ipsum “Dominum”esse. Fidei christianae proprium est “Iesum esse Dominum ”profiteri. Hoc fidei in Unum Deum contrarium non est. Credere in Spiritum Sanctum “Dominum et vivificantem”nullam in Deum Unum introducit divisionem:
202 하느님께서는 ‘유일한 주님’이시며, “마음을 다하고, 목숨을 다하고, 정신을 다하고, 힘을 다하여”(4) 하느님을 사랑해야 한다고 예수님께서 친히 확인하신다. 또 예수님께서는 당신이 바로 그 ‘주님’이심을 암시하신다.(5) 그리스도교 신앙만이 “예수님은 주님이시다.”라고 고백한다. 이는 유일하신 분, 하느님에 대한 신앙에 위배되지 않는다. 또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에 대한 신앙도 유일하신 하느님에 대한 신앙을 훼손시키지 않는다.
“Firmiter credimus et simpliciter confitemur, quod unus solus est verus Deus, aeternus, immensus et incommutabilis, incomprehensibilis, omnipotens et ineffabilis, Pater et Filius et Spiritus Sanctus: Tres quidem Personae, sed una essentia, substantia seu natura simplex omnino”
영원하시며, 무한하고 불변하시며, 불가해하고 전능하시며, 말로 표현할 수 없으신 참하느님, 성부, 성자, 성령께서는 한 분이시며, 삼위이시나 순전히 하나의 본질, 하나의 실체, 하나의 본성을 지니신 분이심을 우리는 확고하게 믿으며 명백하게 고백한다.(6)

II. Deus Nomen Suum revelat

II.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이름을 계시하신다

203 Deus populo Suo Israel Se revelavit, illi Nomen Suum praebens cognoscendum. Nomen essentiam, identitatem personae et sensum exprimit vitae eius. Deus nomen habet. Ille vis anonyma non est. Nomen tradere suum est se aliis praebere cognoscendum, est quodammodo se ipsum tradere, se accessibilem reddendo, capacem qui intimius cognoscatur et appelletur, nempe personaliter.
203 하느님께서는 당신 백성 이스라엘에게 당신의 이름을 알려 주심으로써 당신을 계시하신다. 이름은 본질과 인격의 신원과 그 생명의 의미를 표현한다. 하느님께서는 이름을 가지고 계신다. 그분께서는 이름 없는 어떤 힘이 아니시다. 자신의 이름을 알리는 것은 타인에게 자신을 알리는 것이며, 어떤 의미에서는 타인이 자신에게 다가와 자신을 더 깊이 알고 인격적으로 부를 수 있게 함으로써 자기 자신을 그들에게 내 주는 것이다.
204 Deus populo Suo, modo progressivo et sub diversis nominibus, Se revelavit, sed revelatio Nominis divini facta Moysi in theophania rubi ardentis, in limine Exodi et Foederis Sinaitici, tamquam revelatio pro Vetere et Novo Foedere fundamentalis apparuit.
204 하느님께서는 점진적으로 그리고 여러 가지 이름을 통하여 당신 백성에게 당신을 알리셨다. 그러나 구약과 신약을 위한 근본적인 계시로서 확인된 것은 이집트 탈출과 시나이 산의 계약 전에, 불타는 떨기에서 모세에게 나타나셔서 당신의 이름을 알려 주신 그 계시이다.
맨 처음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