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PRIMUM ARTICULUS 1“”CREDO IN DEUM PATREM OMNIPOTENTEM, CREATOREM CAELI ET TERRAE”
교회 교리서

Paragraphus 2 PATER

제2단락 성부

I. “In nomine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

I.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232 Christiani “in nomine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baptizantur (Mt 28,19). Prius respondent “Credo”triplici interrogationi quae ab illis petit ut eorum fidem in Patrem, in Filium et in Spiritum profiteantur: “Fides omnium christianorum in Trinitate consistit”
232 그리스도인들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마태 28,19 참조) 세례를 받는다. 먼저 그들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에 대한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도록 요구하는 세 가지의 질문에 “믿습니다.”라고 대답한다. “모든 그리스도인의 신앙은 삼위일체에 근거한다.”(33)
233 Christiani baptizantur “in nomine”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 et non “in nominibus” eorum, quia unus est Deus, Pater Omnipotens et Eius Filius unicus et Spiritus Sanctus: Sanctissima Trinitas.
233 그리스도인은 성부와 성자와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받는 것이지 그 ‘이름들’로 세례를 받는 것이 아니다.(34) 왜냐하면 전능하신 성부, 독생 성자, 성령, 곧 지극히 거룩한 삼위일체이신 한 분 하느님께서만 계시기 때문이다.
234 Mysterium Sanctissimae Trinitatis est centrale fidei et vitae christianae mysterium. Est mysterium Dei in Se Ipso. Est igitur ceterorum fidei mysteriorum fons, lumen illa illuminans. Doctrina est maxime fundamentalis et essentialis in “hierarchia veritatum” fidei. “Historia salutis idem est ac historia viae ac rationis, qua Deus verus et unus: Pater, Filius, Spiritus Sanctus, Sese hominibus revelat eosque a peccato aversos Sibi reconciliat et coniungit”
234 지극히 거룩한 삼위일체의 신비는 바로 그리스도인의 믿음과 삶의 핵심적인 신비이다. 이는 하느님 자신의 내적 신비이므로, 다른 모든 신앙의 신비의 원천이며, 다른 신비를 비추는 빛이다. 이는 “신앙 진리들의 서열”(35) 에서 가장 근본적이고 본질적인 교리이다. “구원의 역사[救世史]는 바로 성부, 성자, 성령이신 참되고 유일한 하느님께서 당신을 알리시고, 죄에서 돌아서는 인간들과 화해하시고 그들을 당신과 결합시키시려는 길과 방법의 역사이지 그 밖에 다른 것이 아니다.”(36)
235 Hac paragrapho breviter exponetur quomodo Beatae Trinitatis mysterium revelatum sit (I), quomodo Ecclesia doctrinam fidei de hoc mysterio enuntiaverit (II), quomodo, denique, Deus Pater, per divinas Filii et Spiritus Sancti missiones, Suum creationis, Redemptionis et sanctificationis “benevolum consilium” ducat in rem (III).
235 이 단락에서는 복되신 삼위일체 하느님의 신비가 어떤 방법으로 계시되었으며(II), 교회는 어떻게 이 신비에 관한 신앙 교리를 정형화하였고(III), 끝으로 천주 성부께서는 성자와 성령을 파견하심으로써 창조와 구원과 성화의 ‘자비로운 계획’을 어떻게 실현하시는지를(IV) 간략하게 제시할 것이다.
236 Ecclesiae Patres inter \\\ distinguunt, primo verbo mysterium vitae intimae Dei-Trinitatis denotantes, altero vero omnia Dei opera per quae Ipse Se revelat vitamque communicat Suam. Per Oeconomiam nobis Theologia revelatur; sed, e contra, Theologia totam illustrat Oeconomiam. Opera Dei revelant quis Ille in Se Ipso sit; et, e contra, mysterium Eius Esse intimi intelligentiam omnium operum Eius illuminat. Sic res analogice se habet inter personas humanas. Persona in agendo manifestatur et quo melius quamdam cognoscimus personam, eo melius eius agere intelligimus.
236 교부들은 신학(Theologia)과 경륜(Oikonomia)을 구별하여, 앞의 용어로는 삼위일체 하느님의 내적인 생명의 신비를, 뒤의 용어로는 하느님께서 당신을 계시하시고 당신의 생명을 주시는 모든 업적을 가리켰다. 그러므로 신학은 경륜을 통하여 우리에게 밝혀진다. 그러나 반대로 경륜 전체를 밝혀 주는 것은 신학이다. 하느님의 업적은 당신 자신이 어떤 분이신지를 알려 준다. 반대로 당신 존재의 근본적인 신비는 당신의 업적에 대한 이해를 밝혀 준다. 유비적인 의미에서 볼 때 이러한 사실은 인격들 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인격은 그의 행동으로 나타나며, 한 사람의 인격을 이해하면 할수록 그의 행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다.
237 Trinitas est fidei mysterium sensu stricto, unum nempe e mysteriis in Deo absconditis, “quae, nisi revelata divinitus, innotescere non possunt” Deus utique quaedam Sui Esse trinitarii vestigia in Suo creationis opere reliquit et in Revelatione Sua decursu Veteris Testamenti. Sed intimitas Eius Esse, ut Sanctae Trinitatis, ante Incarnationem Filii Dei et missionem Sancti Spiritus, constituit mysterium soli rationi et etiam fidei Israel inaccessibile.
237 삼위일체는 엄밀한 의미에서 신앙의 신비이다. 이는 “하느님 안에 감추어져 있어, 하느님께서 계시하시지 않으면 알 수 없는 신비들”(37) 가운데 하나이다. 틀림없이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창조 업적과 구약의 계시 안에 삼위일체이신 당신 존재의 자취를 남겨 놓으셨다. 그러나 성자의 강생과 성령의 파견 이전에는, 거룩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 존재의 본질은 이성만으로 또 이스라엘의 신앙으로도 접근할 수 없는 신비였다.

Ⅱ. De revelatione Dei tamquam Trinitatis

II.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에 대한 계시

Pater per Filium revelatus

성자를 통하여 알려지신 성부

238 Invocatio Dei ut “Patris” in multis cognita est religionibus. Saepe divinitas tamquam “pater deorum et hominum” consideratur. In Israel, Deus, tamquam Creator mundi, est Pater appellatus. Deus adhuc magis est Pater ratione Foederis et doni Legis populo facti, de quo dicit: “Filius meus primogenitus Israel”(Ex 4,22). Etiam appellatus est Pater regis Israel. Et est, modo prorsus peculiari, “Pater pauperum” orphani et viduae, qui sub Eius benevola sunt protectione.
238 많은 종교들이 하느님을 ‘아버지’로 부르고 있다. 하느님은 종종 ‘신들과 사람들의 아버지’로 여겨졌다. 세상의 창조주라는 의미에서 이스라엘은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른다.(38)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맏아들 이스라엘”(탈출 4,22) 백성과 계약을 맺으시고 율법을 주신 까닭에 더더욱 아버지이시다. 그분은 또한 이스라엘 왕들의 아버지라고도 불리신다.(39) 하느님께서는 특히 ‘가난한 이들의’ 아버지, 고아와 과부들의 아버지이시며, 이들은 하느님 사랑의 보호를 받고 있다.(40)
239 Sermo fidei, Deum nomine “Patris” nuncupans, duas rationes praecipue indicat: Deum primam omnium esse originem et auctoritatem transcendentem Illumque simul esse bonitatem et sollicitudinem omnes Suos filios diligentem. Haec paterna Dei teneritudo etiam per imaginem maternitatis exprimi potest, quae Dei immanentiam atque intimitatem inter Deum et Eius creaturam magis indicat. Ita sermo fidei in experientia humana haurit parentum, qui quodammodo pro homine primi sunt Dei repraesentantes. Haec tamen experientia etiam ostendit, parentes humanos fallibiles esse illosque vultum paternitatis et maternitatis deformare posse. Recordari igitur oportet, Deum humanam sexuum transcendere distinctionem. Ille nec vir est nec femina, Ille est Deus. Paternitatem etiam et maternitatem transcendit humanas, licet earum sit origo atque mensura: nemo pater est, sicut Deus est Pater.
239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름으로써 신앙의 언어는 주로 두 가지 측면을 가리킨다. 먼저 하느님께서는 만물의 근원이시며 초월적인 권위를 지니셨으며, 동시에 당신의 모든 자녀를 자비와 사랑으로 보살피신다는 점이다. 하느님의 부성은 또한 모성의 모습으로 표현될 수도 있는데(41) 이는 하느님의 내재성과, 하느님과 당신 피조물 사이의 친밀성에 더 주목하여 가리키는 것이다. 이처럼 신앙의 언어도 부모들에 대한 인간적 경험에서 도움을 얻는다. 어떤 면에서 인간은 부모에게서 처음으로 하느님의 모습을 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은, 인간인 부모들이 그릇될 수도 있으며 부성과 모성의 모습을 왜곡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성별을 초월하신다는 사실을 상기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분은 남자도 여자도 아닌 하느님이시다. 그분은 인간적인 부성과 모성의 근원이며 척도이시면서도(42) 이를 초월하신다.(43) 아무도 하느님 ‘아버지’와 같은 아버지일 수 없다.
240 Iesus, Deum esse “Patrem” sensu inaudito, revelavit: Ille non est tantummodo Pater quatenus Creator, sed Pater est aeterne in relatione ad Filium Suum unicum, qui aeterne Filius non est nisi in relatione ad Patrem Suum: “Nemo novit Filium nisi Pater, neque Patrem quis novit nisi Filius et cui voluerit Filius revelare”(Mt 11,27).
240 예수님께서는 전혀 새로운 의미에서 하느님을 ‘아버지’로 계시하셨다. 하느님께서는 창조주로서 아버지이실 뿐 아니라 당신 외아들과의 관계에서도 영원히 아버지이시다. 그리고 그 아들은 오직 당신 아버지와 맺은 관계에서만 영원히 아들이시다. “아버지 외에는 아무도 아들을 알지 못한다. 또 아들 외에는, 그리고 그가 아버지를 드러내 보여 주려는 사람 외에는 아무도 아버지를 알지 못한다”(마태 11,27).
241 Hac de causa, Apostoli Iesum tamquam “Verbum” confitentur quod “in principio erat [...] apud Deum, et Deus erat Verbum”(Io 1,1), tamquam Illum “qui est imago Dei invisibilis”(Col 1,15) atque “splendor gloriae et figura substantiae Eius ”(Heb 1,3).
241 이 때문에 사도들은 예수님께서 “한처음에 계셨으며, 하느님과 함께 계셨고 하느님이신 말씀”(요한 1,1)이시며,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모상”(콜로 1,15)이시고, “하느님 영광의 광채이시며 하느님 본질의 모상으로서, 만물을 당신의 강력한 말씀으로 지탱하시는 분”(히브 1,3)이시라고 고백한다.
242 Post illos, Ecclesia Traditionem sequens apostolicam anno 325 in primo Concilio Oecumenico Nicaeno confessa est Filium esse “consubstantialem Patri” id est, unum Deum cum Illo. Secundum Concilium Oecumenicum Constantinopoli anno 381 congregatum, in sua formulatione Symboli Nicaeni, hanc expressionem servavit et confessum est “Filium Dei unigenitum, ex Patre natum ante omnia saecula, Lumen de Lumine, Deum verum de Deo vero, genitum, non factum, consubstantialem Patri”
242 그 뒤 사도들의 전통을 따라, 교회는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자께서 성부와 “한 본체”(44) 이심을 고백하였다. 곧 성자께서는 성부와 함께 한 하느님이시라는 것이다.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제2차 공의회에서는 니케아 신경에 포함된 이러한 표현을 그대로 지켜, “하느님의 외아들, 영원으로부터 성부에게서 나신 분,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 빛에서 나신 빛, 참하느님에게서 나신 참하느님으로서, 창조되지 않고 나시어, 성부와 한 본체이신 분”(45) 이라고 고백하였다.

Pater et Filius a Spiritu revelati

성령을 통하여 계시되신 성부와 성자

243 Iesus, ante Pascha Suum, missionem annuntiat “alius Paracliti”(Defensoris), Spiritus Sancti. Hic, iam a creatione operans, et postquam “locutus est per Prophetas” erit nunc apud discipulos et in illis, ut eos doceat eosque deducat “in omnem veritatem”(Io 16,13). Ita Spiritus Sanctus tamquam alia revelatur Persona divina in relatione ad Iesum et ad Patrem.
243 당신 파스카 전에 예수님께서는 ‘다른 파라클리토’(보호자) 성령을 보내 주시겠다고 알려 주신다. 창조 때부터(46) 활동하시는 성령께서는 전에 “예언자들을 통하여 말씀하셨고”,(47) 이제 제자들과 함께 머무르시고, 그들 안에 계시면서,(48) 그들을 이끌어 “모든 진리를”(요한 16,13) 깨닫도록 가르쳐 주실 것이다.(49) 이처럼 성령께서는 성자와 성부와 구별되는 하느님의 한 ‘위격’으로 계시되셨다.
244 Origo Spiritus aeterna in Eius missione revelatur temporali. Spiritus Sanctus ad Apostolos et ad Ecclesiam mittitur tam a Patre in nomine Filii quam personaliter a Filio, postquam Hic ad Patrem rediit. Missio Personae Spiritus post Iesu glorificationem mysterium Sanctissimae Trinitatis plene revelat.
244 성령의 영원한 근원은 그분의 지상 파견으로 드러난다. 성령께서는 성자의 이름으로 성부에 의해서, 또 성자께서 성부의 곁으로 돌아가신 뒤에는 직접 성자에 의해서 사도들과 교회에 파견되신다.(50) 예수님께서 영광을 받으신 뒤에 성령께서 파견되신다는 사실은(51) 삼위일체 신비를 온전히 계시하는 것이다.
245 Fides apostolica relate ad Spiritum Sanctum a secundo Concilio Oecumenico anno 381 Constantinopoli proclamata est: Credimus “et in Spiritum Sanctum, Dominum et vivificantem, qui ex Patre procedit” Hoc modo, Ecclesia Patrem agnoscit tamquam “fontem et originem totius divinitatis” Aeterna tamen Spiritus Sancti origo sine nexu cum illa Filii non est. “Spiritum quoque Sanctum, qui est Tertia in Trinitate Persona, unum atque aequalem cum Deo Patre et Filio credimus esse Deum, unius substantiae, unius quoque esse naturae; [...] qui tamen nec Patris tantum nec Filii tantum, sed simul Patris et Filii Spiritus dicitur” Symbolum Constantinopolitani Concilii Ecclesiae profitetur: “Qui cum Patre et Filio simul adoratur et conglorificatur”
245 성령에 대한 사도적 신앙은 381년에 열린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에서 다음과 같이 선포된다. “주님이시며 생명을 주시는 성령을 믿나이다. 성령께서는 성부에게서 발하시나이다.”(52) 이로써 교회는 성부께서 “모든 신성의 원천이며 근원”(53) 이심을 고백한다. 한편 성령의 영원한 근원은 성자의 영원한 근원과 무관하지 않다. “삼위일체의 제3위격이신 성령께서는 성부와 성자와 하나이시며 동일하시고, 같은 실체와 같은 본성을 지니고 계신다.……그러나 성부만의 성령 또는 성자만의 성령이시라고 할 수 없고, 성부와 성자의 성령이시라고 해야 한다.”(54) 교회의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381년) 신경은 성령께서 “성부와 성자와 더불어 영광과 흠숭을 받으신다.”고 고백한다.(55)
246 Latina Symboli traditio profitetur Spiritum “a Patre Filioque”procedere. Concilium Florentinum, anno 1439, explicat: “Spiritus Sanctus [...] essentiam Suam Suumque esse subsistens habet ex Patre simul et Filio, et ex Utroque aeternaliter tamquam ab uno principio et unica spiratione procedit [...]. Et quoniam omnia, quae Patris sunt, Pater Ipse unigenito Filio Suo gignendo dedit, praeter esse Patrem, hoc ipsum quod Spiritus procedit ex Filio, Ipse Filius a Patre aeternaliter habet, a quo etiam aeternaliter genitus est”
246 신경의 라틴 전승은 성령께서 “성부와 성자에게서(Filioque) 발하신다.”고 고백한다. 1438년의 피렌체 공의회는 다음과 같이 천명한다. “성령께서는 그 본질과 존재를 성부와 성자에게서 동시에 받으시며, 유일한 근원이신 한 위와 또 다른 위에게서, 유일한 발출(spiratio)을 통하여 영원히 나오신다.……그리고 성부께서는 아버지로서 외아들을 낳으시고, 당신의 존재만을 제외하고는 당신께 있는 모든 것을 외아들에게 주셨기 때문에, 성자에게서 나오신 성령의 이 발출도 영원으로부터 성자를 낳으신 성부에게서 영원히 이루어지는 것이다.”(56)
247 Affirmatio de Filioque in Symbolo anno 381 Constantinopoli proclamato non habebatur. Sed sanctus Leo Papa, veterem traditionem latinam et alexandrinam sequens, illam iam anno 447 dogmatice erat professus, etiam priusquam Roma anno 451 in Concilio Chalcedonensi Symbolum anni 381 cognovisset et recepisset. Usus huius formulae in Symbolo pedetentim (inter VIII et XI saeculum) est in liturgia latina admissus. Introductio tamen verbi Filioque in Symbolum Nicaenum - Constantinopolitanum peracta a liturgia latina adhuc hodie dissensionem cum Ecclesiis orthodoxis constituit.
247 필리오퀘(Filioque)에 대한 이러한 언명은 381년의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의 신경에는 들어 있지 않았다. 그러나 오랜 라틴 전통과 알렉산드리아 전통에 따라 성 레오 교황은, 로마가 451년의 칼케돈 공의회에서 381년의 신경을 인정하고 받아들이기 전인 447년에(57) 이미 이를 교의로 고백하였다. 신경 안에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는 관습은 점차 라틴 전례 안에 받아들여졌다(8-11세기). 한편 이러한 라틴 전례에서 필리오퀘를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 포함시킨 문제는 오늘날까지 정교회와 일치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248 Traditio orientalis imprimis notam exprimit Patris ut primae originis relate ad Spiritum. Profitens Spiritum “qui a Patre procedit”(Io 15,26), Eum affirmat a Patre per Filium procedere. Traditio vero occidentalis imprimis consubstantialem communionem inter Patrem et Filium affirmat, Spiritum ex Patre Filioque procedere dicens. Ipsa hoc “licite et rationabiliter” dicit, quia Personarum divinarum aeternus ordo in communione consubstantiali implicat Patrem, quatenus “est principium sine principio” primam originem esse Spiritus, sed etiam, quatenus Filii unici est Pater, cum Illo unicum esse principium ex quo, “tamquam ex uno principio” Spiritus procedit. Haec licita complementaritas, nisi exacerbetur, identitatem fidei in realitatem eiusdem mysterii proclamati non afficit.
248 동방 전통은 우선 성부께서 성령의 첫 기원이심을 표현하고 있다. “아버지에게서 나오시는”(요한 15,26) 성령이라고 고백함으로써 성령께서는 성자를 통하여 성부에게서 나오신다는 것을 확언한다.(58) 그러나 서방 전승은 성령께서 성부와 성자에게서(필리오퀘) 발하신다고 말함으로써 우선 성부와 성자께서 한 본체로서 이루시는 일치를 표현한다. 서방 교회는 이를 “정당하고 합리적”(59) 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한 본체로서 일치를 이루는 하느님 위격의 영원한 질서는, 성부께서 “근원이 없는 근원”(60) 으로서 성령의 일차적 근원이심을 내포하고 있지만, 한편 독생 성자의 성부로서 성자와 함께 “성령께서 나오신 유일한 근원”(61) 이시라는 사실 역시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당한 보완은, 그것을 지나치게 고착시키지 않는다면, 동일하게 고백하는 신비의 실재를 믿는 신앙의 단일성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III. Sanctissima Trinitas in doctrina fidei

III. 신앙 교리에서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하느님

Dogmatis trinitarii efformatio

삼위일체 교의의 형성

249 Inde ab initio, veritas revelata de Sanctissima Trinitate in radicibus fuit viventis fidei Ecclesiae, praesertim per Baptismum. Ipsa suam invenit expressionem in regula fidei baptismalis enuntiata in praedicatione, catechesi et oratione Ecclesiae. Tales formulae iam in scriptis inveniuntur apostolicis, sicut haec testatur salutatio, resumpta a liturgia eucharistica: “Gratia Domini Iesu Christi et caritas Dei et communicatio Sancti Spiritus cum omnibus vobis”(2 Cor 13,13).
249 삼위일체에 대해 계시된 진리는 초기 교회 때부터 주로 세례에서 그 신앙의 생생한 근원이 되었다. 세례를 위한 신앙 고백문에 표현된 이 진리는 설교나 교리 교육, 교회의 기도 안에 정형화하였다. 이러한 정형화는 사도들의 글에서 이미 발견되는데, 성찬 전례에서 사용되는 다음과 같은 인사말은 이를 증명한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은총과 하느님의 사랑과 성령의 친교가 여러분 모두와 함께하기를 빕니다”(2코린 13,13).(62)
250 Priorum saeculorum decursu, Ecclesia suam fidem trinitariam, modo magis explicito, enuntiare studuit, sive ut suam propriam fidei intelligentiam altius penetraret sive ut illam contra errores defenderet qui eam deformabant. Haec opera veterum fuit Conciliorum quae a labore theologico Patrum Ecclesiae sunt adiuta et a sensu fidei populi christiani fulcita.
250 초세기 교회는, 삼위일체 신앙을 왜곡시키는 오류에서 이 신앙을 지키고 더 깊이 이해하고자, 이를 더 명확하게 정형화하려고 노력하였다. 이는 교회 교부들의 신학적 노력으로 이루어지고, 그리스도인들의 신앙 감각으로 떠받친 옛 공의회들의 업적이다.
251 Pro enuntiatione dogmatis Trinitatis, Ecclesia propriam terminologiam evolvere debuit, notionibus originis philosophicae adiuta: “substantia” “persona” vel “hypostasis” “relatio” etc. Hoc faciens, fidem non submisit sapientiae humanae, sed sensum novum, inauditum, his dedit vocabulis, quae exinde ad significandum etiam destinabantur mysterium ineffabile quod “infinite omne id superat, quod nos modo humano intellegere possumus”
251 삼위일체 교의를 정형화하고자 교회는 철학적 개념들의 도움을 받아 ‘실체’(substantia), ‘위격’(persona 또는 hypostasis), ‘관계’(relatio) 등의 고유한 용어들을 발전시켜야만 하였다. 이렇게 하여 교회는 신앙을 인간적 지혜에 종속시키기보다, 오히려 이제부터는 “인간적인 방식으로 인식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무한히 초월하는”(63) 형언할 수 없는 신비까지도 의미하게 된 이 용어들에, 새롭고 독특한 의미를 부여하였다.
252 Ecclesia vocabulo utitur “substantia” (quod per “essentiam” vel per “naturam” quandoque etiam vertitur) ad Esse divinum in Eius designandum unitate, vocabulo autem “persona” vel “hypostasis” ad Patrem, Filium et Spiritum Sanctum indicandos in Eorum reali distinctione inter Se, vocabulo autem “relatio” ad indicandum Eorum distinctionem in eo residere quod alii ad alios referuntur.
252 교회는 ‘실체’라는(때로는 ‘본질 essentia’이나 ‘본성 natura’이라는 단어로도 표현되는) 단어를 단일성에서 본 하느님을 표현할 때 사용하며, ‘위격’이라는 단어는 성부, 성자, 성령 사이의 실제적 구분에서 본 삼위를 가리킬 때, ‘관계’라는 단어는 그 위격들의 구분이 한 위격과 다른 위격들의 관련에서 존립한다는 사실을 지적할 때 사용한다.

Sanctissimae Trinitatis dogma

삼위일체 교의

253 Trinitas est Una. Tres deos non confitemur, sed Unum Deum in Tribus Personis: “Trinitatem consubstantialem” Personae divinae unam divinitatem non inter Se dividunt, sed unaquaeque Earum est Deus totus: “cum [...] ipsum sit Pater quod Filius, ipsum Filius quod Pater, ipsum Pater et Filius quod Spiritus Sanctus: id est natura Unus Deus” “Quaelibet Trium Personarum est illa res, videlicet substantia, essentia seu natura divina”
253 삼위는 한 하느님이시다. 세 신들이 아니라, 세 위격이신 한 분 하느님, 곧 “한 본체의 삼위”(64) 에 대한 신앙을 우리는 고백한다. 하느님의 삼위는 신성을 나누어 가지는 것이 아니라, 각 위격이 저마다 완전한 하느님이시다. “성부께서는 성자의 본성을 지닌 바로 그분이시며, 성자께서는 성부의 본성을 지닌 바로 그분이시고, 성부와 성자께서는 성령의 본성을 지닌 바로 그분이시다. 곧 본성으로 한 하느님이시다.”(65) “삼위의 각 위는 이러한 실재, 곧 하느님의 실체, 본질 또는 본성이시다.”(66)
254 Personae divinae sunt inter Se realiter distinctae. “Colimus et confitemur: non sic unum Deum, quasi solitarium” “Pater” “Filius” “Spiritus Sanctus” non sunt simpliciter nomina modos divini “Esse” designantia, quia illi inter se realiter sunt distincti: “Non enim Ipse est Pater qui Filius, nec Filius Ipse qui Pater, nec Spiritus Sanctus Ipse qui est vel Pater vel Filius” Inter Se per relationes originis distinguuntur: “Est Pater, qui generat, et Filius, qui gignitur, et Spiritus Sanctus, qui procedit” Divina Unitas est Trina.
254 하느님의 세 위격은 서로 실제적으로 구별된다. “하느님께서는 한 분이시지만 홀로는 아니시다.”(67) 세 위격은 서로 실제적으로 구별되므로 ‘성부’, ‘성자’, ‘성령’은 단순히 하느님의 존재 양상을 가리키는 이름에 불과한 것이 아니다. “성자이신 분은 성부가 아니시며, 성부이신 분은 성자가 아니시고, 성령이신 분은 성부나 성자가 아니시다.”(68) 세 위격은 그 근원이 가진 관계들로써 서로 구별된다. “성부께서는 낳으시는 분이시고, 성자께서는 나시는 분이시며, 성령께서는 발하시는 분이시다.”(69) 하느님의 단일성은 삼위로 이루어져 있다.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