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PRIMUM ARTICULUS 1“”CREDO IN DEUM PATREM OMNIPOTENTEM, CREATOREM CAELI ET TERRAE”
교회 교리서

Pater per Filium revelatus

성자를 통하여 알려지신 성부

238 Invocatio Dei ut “Patris” in multis cognita est religionibus. Saepe divinitas tamquam “pater deorum et hominum” consideratur. In Israel, Deus, tamquam Creator mundi, est Pater appellatus. Deus adhuc magis est Pater ratione Foederis et doni Legis populo facti, de quo dicit: “Filius meus primogenitus Israel”(Ex 4,22). Etiam appellatus est Pater regis Israel. Et est, modo prorsus peculiari, “Pater pauperum” orphani et viduae, qui sub Eius benevola sunt protectione.
238 많은 종교들이 하느님을 ‘아버지’로 부르고 있다. 하느님은 종종 ‘신들과 사람들의 아버지’로 여겨졌다. 세상의 창조주라는 의미에서 이스라엘은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른다.(38)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맏아들 이스라엘”(탈출 4,22) 백성과 계약을 맺으시고 율법을 주신 까닭에 더더욱 아버지이시다. 그분은 또한 이스라엘 왕들의 아버지라고도 불리신다.(39) 하느님께서는 특히 ‘가난한 이들의’ 아버지, 고아와 과부들의 아버지이시며, 이들은 하느님 사랑의 보호를 받고 있다.(40)
239 Sermo fidei, Deum nomine “Patris” nuncupans, duas rationes praecipue indicat: Deum primam omnium esse originem et auctoritatem transcendentem Illumque simul esse bonitatem et sollicitudinem omnes Suos filios diligentem. Haec paterna Dei teneritudo etiam per imaginem maternitatis exprimi potest, quae Dei immanentiam atque intimitatem inter Deum et Eius creaturam magis indicat. Ita sermo fidei in experientia humana haurit parentum, qui quodammodo pro homine primi sunt Dei repraesentantes. Haec tamen experientia etiam ostendit, parentes humanos fallibiles esse illosque vultum paternitatis et maternitatis deformare posse. Recordari igitur oportet, Deum humanam sexuum transcendere distinctionem. Ille nec vir est nec femina, Ille est Deus. Paternitatem etiam et maternitatem transcendit humanas, licet earum sit origo atque mensura: nemo pater est, sicut Deus est Pater.
239 하느님을 ‘아버지’라고 부름으로써 신앙의 언어는 주로 두 가지 측면을 가리킨다. 먼저 하느님께서는 만물의 근원이시며 초월적인 권위를 지니셨으며, 동시에 당신의 모든 자녀를 자비와 사랑으로 보살피신다는 점이다. 하느님의 부성은 또한 모성의 모습으로 표현될 수도 있는데(41) 이는 하느님의 내재성과, 하느님과 당신 피조물 사이의 친밀성에 더 주목하여 가리키는 것이다. 이처럼 신앙의 언어도 부모들에 대한 인간적 경험에서 도움을 얻는다. 어떤 면에서 인간은 부모에게서 처음으로 하느님의 모습을 보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험은, 인간인 부모들이 그릇될 수도 있으며 부성과 모성의 모습을 왜곡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인간의 성별을 초월하신다는 사실을 상기하는 것이 마땅하다. 그분은 남자도 여자도 아닌 하느님이시다. 그분은 인간적인 부성과 모성의 근원이며 척도이시면서도(42) 이를 초월하신다.(43) 아무도 하느님 ‘아버지’와 같은 아버지일 수 없다.
240 Iesus, Deum esse “Patrem” sensu inaudito, revelavit: Ille non est tantummodo Pater quatenus Creator, sed Pater est aeterne in relatione ad Filium Suum unicum, qui aeterne Filius non est nisi in relatione ad Patrem Suum: “Nemo novit Filium nisi Pater, neque Patrem quis novit nisi Filius et cui voluerit Filius revelare”(Mt 11,27).
240 예수님께서는 전혀 새로운 의미에서 하느님을 ‘아버지’로 계시하셨다. 하느님께서는 창조주로서 아버지이실 뿐 아니라 당신 외아들과의 관계에서도 영원히 아버지이시다. 그리고 그 아들은 오직 당신 아버지와 맺은 관계에서만 영원히 아들이시다. “아버지 외에는 아무도 아들을 알지 못한다. 또 아들 외에는, 그리고 그가 아버지를 드러내 보여 주려는 사람 외에는 아무도 아버지를 알지 못한다”(마태 11,27).
241 Hac de causa, Apostoli Iesum tamquam “Verbum” confitentur quod “in principio erat [...] apud Deum, et Deus erat Verbum”(Io 1,1), tamquam Illum “qui est imago Dei invisibilis”(Col 1,15) atque “splendor gloriae et figura substantiae Eius ”(Heb 1,3).
241 이 때문에 사도들은 예수님께서 “한처음에 계셨으며, 하느님과 함께 계셨고 하느님이신 말씀”(요한 1,1)이시며, “보이지 않는 하느님의 모상”(콜로 1,15)이시고, “하느님 영광의 광채이시며 하느님 본질의 모상으로서, 만물을 당신의 강력한 말씀으로 지탱하시는 분”(히브 1,3)이시라고 고백한다.
242 Post illos, Ecclesia Traditionem sequens apostolicam anno 325 in primo Concilio Oecumenico Nicaeno confessa est Filium esse “consubstantialem Patri” id est, unum Deum cum Illo. Secundum Concilium Oecumenicum Constantinopoli anno 381 congregatum, in sua formulatione Symboli Nicaeni, hanc expressionem servavit et confessum est “Filium Dei unigenitum, ex Patre natum ante omnia saecula, Lumen de Lumine, Deum verum de Deo vero, genitum, non factum, consubstantialem Patri”
242 그 뒤 사도들의 전통을 따라, 교회는 325년 제1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성자께서 성부와 “한 본체”(44) 이심을 고백하였다. 곧 성자께서는 성부와 함께 한 하느님이시라는 것이다.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열린 제2차 공의회에서는 니케아 신경에 포함된 이러한 표현을 그대로 지켜, “하느님의 외아들, 영원으로부터 성부에게서 나신 분, 하느님에게서 나신 하느님, 빛에서 나신 빛, 참하느님에게서 나신 참하느님으로서, 창조되지 않고 나시어, 성부와 한 본체이신 분”(45) 이라고 고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