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PRIMUM ARTICULUS 1“”CREDO IN DEUM PATREM OMNIPOTENTEM, CREATOREM CAELI ET TERRAE”
교회 교리서

I. Catechesis de creatione

I. 창조에 관한 교리 교육

282 Catechesis de creatione summi est momenti. Ad ipsa vitae humanae et christianae fundamenta refertur: etenim fidei christianae responsum explicat ad quaestionem elementariam quam homines omnium temporum sibi posuerunt: “Unde venimus-” “Quo imus-” “Quaenam origo est nostra-” “Quinam noster est finis-” “Unde venit et quo it quidquid exsistit-”. Hae duae quaestiones, originis nempe et finis, sunt inseparabiles. Decisivae sunt pro sensu et ordinatione nostrae vitae nostrique modi agendi.
282 창조에 관한 교리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이 교리는 인간과 그리스도인 삶의 근본 그 자체와 관련된다. 왜냐하면 창조 교리는 “우리는 어디에서 왔는가-”, “우리는 어디로 가는가-”, “우리의 기원은 무엇인가-”, “우리의 목적은 무엇인가-”, “모든 존재하는 것은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하는 모든 시대에 걸친 인간들의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그리스도교 신앙의 대답을 분명하게 제시하기 때문이다. 기원과 목적에 대한 두 질문은 따로 떼어 놓을 수 없는 것이다. 이 둘은 우리의 삶과 행동 방식의 의미와 방향을 결정짓는다.
283 Quaestio de originibus mundi et hominis obiectum est plurium investigationum scientificarum, quae nostras cognitiones de aetate et dimensionibus mundi universi, de effectione formarum viventium, de prima hominis apparitione magnopere ditaverunt. Hae detectiones nos invitant ut magnitudinem Creatoris admiremur magis, Illi propter omnia Eius opera agamus gratias et propter intelligentiam et scientiam, quas Ipse doctis et investigatoribus praebet. Hi dicere possunt cum Salomone: “Ipse dedit mihi horum, quae sunt, scientiam veram, ut sciam dispositionem orbis terrarum et virtutes elementorum [...]; omnium enim artifex docuit me Sapientia” (Sap 7,17-21).
283 세계와 인간의 기원 문제는 많은 과학적 연구의 대상이 되었으며, 이러한 연구는 우주의 생성 시기와 크기, 생명체의 등장, 인간의 출현 등에 대한 우리의 지식을 풍부하게 해 주었다. 이러한 발견으로 우리는 더욱더 창조주의 위대함을 찬미하고, 그분의 모든 업적과, 학자들과 연구자들에게 주신 지능과 지혜에 대해 감사한다. 그들은 솔로몬처럼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분께서 만물에 관한 어김없는 지식을 주셔서 세계의 구조와 기본 요소들의 활동을 알게 해 주셨다.……나는 감추어진 것도 드러난 것도 알게 되었으니, 모든 것을 만든 장인인 지혜가 나를 가르친 덕분이다”(지혜 7,17-21).
284 Magna attentio his investigationibus concessa fortiter a quaestione alius ordinis stimulatur, quae campum proprium scientiarum naturalium excedit. Quaestio tantum non est, ut sciatur quando et quomodo universus mundus materialiter sit ortus neque quando homo apparuerit, sed ut potius detegatur quinam sit talis originis sensus: utrum illa casu regatur, fato caeco, anonyma necessitate, an ab Ente transcendenti, intelligenti et bono, quod Deus appellatur. Et si mundus a sapientia et bonitate Dei procedit, cur malum exsistit- Undenam illud venit- Quisnam est responsabilis illius- Habeturne ab eo liberatio-
284 이러한 연구에 큰 관심을 기울이다 보면 자연 과학 고유의 영역을 넘어서는 다른 차원의 질문들로 강렬한 자극을 받게 된다. 이 질문은 단순히 언제 어떻게 우주가 물질적으로 생겨났는지, 또는 인간은 언제 발생했는지에 관한 것이라기보다는, 그러한 기원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묻는 것이다. 그 기원이 우연이나, 맹목적인 운명이나, 이름 모를 필연성의 지배를 받는지, 또는 하느님이라고 불리는, 지성을 지닌 선한 초월적 존재의 지배를 받는지를 묻는다. 그리고, 만일 세계가 하느님의 선과 지혜에서 연유하는 것이라면, 왜 악이 존재하는지, 악은 어디에서 오는지, 악은 누구의 책임인지, 악에서 해방될 수는 있는지 하는 것들을 묻는 것이다.
285 Ab initio, fides christiana invenitur coram responsis ad quaestionem circa origines diversis a sua. Sic in religionibus et culturis antiquis plures habentur mythi relate ad origines. Quidam philosophi dixerunt, omnia esse Deum, mundum esse Deum, vel fieri mundi esse fieri Dei (pantheismus); alii dixerunt mundum emanationem Dei esse necessariam, ab hoc orientem fonte et ad illum redeuntem; adhuc alii affirmaverunt duorum principiorum aeternorum exsistentiam, Boni et Mali, Lucis et Tenebrarum, in pugna permanenti (dualismus, manicheismus); secundum quasdam ex his conceptionibus, mundus (saltem mundus materialis) malus esset, cuiusdam decadentiae productus, et propterea reiiciendus et superandus (gnosis); alii admittunt, mundum factum esse a Deo, sed ad modum quo artifex facit horologium, ita ut, postquam illum fecerit, sibi ipsi dereliquerit (deismus); alii denique nullam admittunt mundi originem transcendentem, sed vident in illo purum ludum materiae quae semper exstitisset (materialismus). Omnia haec tentamina permanentiam et universalitatem quaestionis de originibus testantur. Haec investigatio propria est hominis.
285 처음부터 그리스도교 신앙은 기원에 대한 교회의 대답과는 다른 많은 대답에 직면하였다. 예컨대, 고대의 종교와 문화에는 기원을 다룬 많은 신화가 있다. 어떤 철학자들은 만물이 신이고, 세계는 신이라고, 또는 세계의 변화는 신의 변화라고 하였다(汎神論). 다른 철학자들은 세계가 신의 필연적인 유출이며, 세계는 그 근원에서 흘러나왔다가 다시 그리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했고, 또 어떤 이들은 영원히 투쟁하는 선과 악, 빛과 어둠의 두 근원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다(二元論, 마니교). 이러한 개념들 가운데 하나에 따르면, 세계는(적어도 물질적인 세계는) 타락의 산물이므로 악하며, 따라서 이는 버리거나 초월해야 할 것이라고 한다(靈智主義). 다른 이들은 세계가 신에 의해 창조되었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신은 세계를 마치 시계처럼 움직이도록 창조했고, 일단 창조한 뒤에는 나름대로 움직이도록 방치한다고 한다(理神論). 그리고 끝으로 어떤 이들은 세계의 어떠한 초월적 기원도 인정하지 않으며, 이 세계에서 항상 존재하는 단순한 물질의 작용만을 볼 뿐이다(唯物論). 이러한 시도들은 기원에 관한 질문이 언제 어디서나 제기된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이러한 탐구는 인간에게 고유한 것이다.
286 Ipsa humana intelligentia habet utique capacitatem quoddam responsum inveniendi quaestioni de originibus. Etenim exsistentia Dei Creatoris potest lumine rationis humanae per Eius opera certo cognosci, quamquam haec cognitio saepe obscurata et deformata est errore. Hac de causa, fides rationem confirmat et illustrat in recta huius veritatis intelligentia. “Fide intelligimus aptata esse saecula Verbo Dei, ut ex invisibilibus visibilia facta sint” (Heb 11,3).
286 인간의 지성이 이미 기원에 대한 답을 찾아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사실 창조주 하느님의 존재는, 비록 종종 모호하거나 오류로 왜곡될 수도 있지만, 인간 이성의 빛의 도움으로 하느님의 업적을 통하여 확실히 알 수 있다.(106) 그러므로 신앙은 이러한 진리를 올바로 이해할 수 있도록 이성을 비추어 주고 견고하게 한다. “믿음으로써, 우리는 세상이 하느님의 말씀으로 마련되었음을, 따라서 보이는 것이 보이지 않는 것에서 나왔음을 깨닫습니다”(히브 11,3).
287 Veritas creationis tanti momenti est pro tota vita humana ut Deus, in Sua teneritudine, populo Suo revelare voluerit quidquid salutare est de hac re cognoscere. Ultra cognitionem naturalem quam quilibet homo potest de Creatore habere, Deus progressive Israel mysterium creationis revelavit. Ille qui Patriarchas elegit, qui Israel eduxit de Aegypto et qui, Israel eligens, eum creavit et formavit, Se revelat tamquam Illum cui omnes populi terrae pertinent, atque adeo universa terra, tamquam Illum qui solus “fecit caelum et terram” (Ps 115,15; 124,8; 134,3).
287 창조의 진리는 모든 인간의 삶에 매우 중요하므로 하느님께서는 자비로이, 이 주제에 대해 깨닫는 데 유익한 모든 것을 당신 백성에게 계시하고자 하셨다. 모든 인간이 창조주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자연적인 지식을 넘어서서,(107) 하느님께서는 이스라엘에게 창조의 신비를 점진적으로 계시하셨다. 성조들을 선택하시고,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이끌어 내시고, 그들을 선택하시어 당신 백성으로 만드신(108) 그분께서, 땅의 모든 백성과 온 땅이 당신에게 속해 있으며, 당신 홀로 “하늘과 땅을 만드신”(시편 115[113 하],15; 124[123],8; 134[133],3) 분이심을 알려 주신다.
288 Ita revelatio creationis a revelatione et effectione Foederis Unius Dei cum Eius populo inseparabilis est. Creatio revelata est tamquam primus gressus ad hoc Foedus, tamquam primum et universale omnipotentis amoris Dei testimonium. Veritas creationis exprimitur etiam cum vi crescenti in Prophetarum nuntio, in oratione psalmorum et liturgiae, in sapientiali consideratione populi electi.
288 이처럼 창조 계시는, 유일하신 하느님께서 당신 백성과 맺으시는 계약에 대한 계시나 그 계시의 실현과 분리될 수 없다. 창조는 이 계약을 향한 첫걸음으로서, 또 하느님의 전능하신 사랑에 대한 첫 번째 보편적 증거로서 계시되었다.(109) 따라서 창조의 진리는 예언자들의 메시지와,(110) 시편의 기도와(111) 전례, 그리고 선택된 백성의 지혜로운 성찰 안에서(112) 점점 더 힘차게 표현된다.
289 Inter omnia sacrae Scripturae de creatione verba, tria priora Genesis capita locum habent singularem. Sub ratione litteraria, hi textus diversos habere possunt fontes. Auctores inspirati eos initio Scripturae collocaverunt ita ut suo sermone sollemni exprimerent veritates creationis, eius originis et finis in Deo, eius ordinis et bonitatis, vocationis hominis, denique tragoediae peccati et spei salutis. Haec verba, lecta sub lumine Christi, in unitate sacrae Scripturae et in Traditione viva Ecclesiae, fons permanent principalis pro catechesi mysteriorum “initii”: creationis, lapsus, promissionis salutis.
289 창조를 다룬 성경의 모든 말씀 가운데 창세기의 처음 세 장(章)은 독특한 자리를 차지한다. 문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 본문들은 다양한 원천을 가지고 있다. 하느님의 감도를 받은 성경 저자는 이 본문들을 성경의 시작 부분에 배치하였다. 그리하여 그 장엄한 말로 창조의 진리, 하느님 안에 있는 창조의 기원과 목적, 그 질서와 선(善), 인간의 운명, 그리고 끝으로 죄의 비극과 구원의 희망까지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스도의 빛으로, 성경의 단일성 안에서 그리고 교회의 살아 있는 성전 안에서 읽을 때, ‘창조’, ‘타락’, ‘구원의 약속’ 등의 말들은 ‘한처음’의 신비에 대한 교리 교육의 주요 원천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