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PRIMUM ARTICULUS 1“”CREDO IN DEUM PATREM OMNIPOTENTEM, CREATOREM CAELI ET TERRAE”
교회 교리서

Paragraphus 6 HOMO

제6단락 인 간

355 “Creavit Deus hominem ad imaginem Suam; ad imaginem Dei creavit illum; masculum et feminam creavit eos”(Gn 1,27). Homo in creatione locum habet unicum: est “ad imaginem Dei”(I); in sua propria natura mundum spiritualem et mundum coniungit materialem (II); “ masculus et femina” est creatus (III); Deus illum in Sua constituit amicitia (IV).
355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모습으로 사람을 창조하셨다. 하느님의 모습으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로 그들을 창조하셨다”(창세 1,27). 인간은 피조물들 가운데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인간은 “하느님의 모습으로” 창조되었고(I), 인간의 고유한 본성 안에는 영신계와 물질계가 결합되어 있으며(II), 인간은 “남자와 여자”로 창조되었고(III),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당신과의 친교에 참여하게 하셨다(IV).

I. “Ad imaginem Dei”

I. “하느님의 모습으로”

356 Inter omnes creaturas visibiles solus homo capax est “suum Creatorem cognoscendi et amandi”; “in terris sola creatura est quam Deus propter seipsam voluerit”; solus ille est vocatus ad vitam Dei, cognitione et amore, participandam. Ad hunc finem creatus est et in hoc fundamentalis habetur ratio eius dignitatis:
356 보이는 모든 피조물 가운데서 오직 인간만이 “창조주를 알고 사랑할 수 있으며”,(216) 인간만이 “지상에서 그 자체를 위하여 하느님께서 바라신 유일한 피조물”(217) 이고, 오직 인간만이 하느님을 알고 사랑함으로써, 하느님의 생명에 참여하도록 부름을 받았다. 인간은 바로 이 목적 때문에 창조되었으며, 이것이 인간 존엄성의 근본적인 이유이다.
“Quis fuit in causa, ut hominem in tanta dignitate locares- Amor inaestimabilis quo creaturam Tuam in Temetipso respexisti, de qua fuisti "philocaptus"; nam propter amorem eam creasti, propter amorem esse ei dedisti, ut summum Tuum aeternum gustaret Bonum”
어떤 이유로 당신께서는 인간에게 이처럼 위대한 존엄성을 주셨습니까- 그것은 하느님께서 당신 안에서, 비길 데 없는 당신의 사랑을 통하여 피조물을 바라보시고, 당신 피조물에 반하셨던 그 사랑 때문입니다. 당신께서는 그 사랑 때문에 그를 창조하셨으며, 그 사랑 때문에 그를 존재하게 하셨습니다. 이는 그가 당신의 영원한 ‘선’을 맛보게 하시려는 것입니다.(218)
357 Humanum individuum, quia est ad imaginem Dei, dignitatem habet personae: non est solum res aliqua, sed aliquis. Capax est se cognoscendi, se possidendi et se libere donandi atque in communionem ingrediendi cum aliis personis, est per gratiam ad Foedus cum suo Creatore vocatus, ad Illi fidei et amoris offerendum responsum quod nullus alius suo loco praebere potest.
357 인간 하나하나는 하느님의 모습을 지녔으므로, 존엄한 인격을 지니고 있다. 인간은 단순히 어떤 ‘것’이 아니라 어떤 ‘인격’이다. 인간은 자신을 인식하고 자신의 주체가 되며, 자유로이 자신을 내어 주고 다른 인격들과 친교를 이룰 수 있다. 은총을 통하여 인간은 자신의 창조주와 계약을 맺고, 그 무엇도 대신할 수 없는 신앙과 사랑의 응답을 드리도록 부름을 받았다.
358 Deus omnia creavit pro homine; homo est creatus ut Deo serviat Eumque amet et Ei totam offerat creationem:
358 하느님께서는 모든 것을 인간을 위하여 창조하셨다.(219) 그러나 인간은 하느님을 섬기고, 하느님을 사랑하며, 하느님께 모든 피조물을 봉헌하도록 창조되었다.
“Quisnam igitur tandem est ille creandus, cui tantum honoris deferatur- Homo est, magnum illud animal et admirabile quodque omni creatura praestantius est apud Deum, propter quem caelum et terra et mare ac reliquum omne creaturae corpus est conditum: homo, cuius ita Deus salutem adamavit, ut ne Unigenito quidem Suo propter eum parceret: neque enim omnia praestare molirique destitit, donec in altum evectum in Sua dextera collocavit”
도대체 이런 배려를 받아 창조되는 존재는 무엇입니까- 그것은 바로 위대하고 경이로운 동물, 하느님 보시기에 피조물 전체를 능가하는 인간입니다. 인간을 위하여 하늘과 땅, 바다와 모든 창조계가 마련되었으며, 하느님께서는 그의 구원을 너무도 중히 여기시어 당신의 외아들마저 아끼지 않고 내어 주셨습니다.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높이 올리시어, 당신 오른편에 앉게 하시려고 온갖 수단을 다 사용하셨습니다.(220)
359 “Reapse nonnisi in mysterio Verbi incarnati mysterium hominis vere clarescit”
359 “실제로, 사람이 되신 말씀의 신비 안에서만 참으로 인간의 신비가 밝혀진다.”(221)
“Duos homines beatus Apostolus hodie retulit humano generi dedisse principium, Adam videlicet et Christum. [...] Factus, inquit, primus homo Adam in animam viventem, novissimus Adam in spiritum vivificantem. Ille primus ab Isto novissimo factus est, a quo est et animam consecutus ut viveret. [...] Hic est Adam, qui Suam tunc in illo, cum fingeret, imaginem collocavit. Hinc est quod eius personam suscipit, nomen recipit, ne Sibi quod ad Suam imaginem fecerat deperiret. Primus Adam, novissimus Adam: ille primus habet initium, Hic novissimus non habet finem, quia Hic novissimus vere Ipse est primus, Ipso dicente: "Ego primus et ego novissimus"”
인간의 기원은 아담과 그리스도 두 사람이라고 바오로 사도는 우리에게 가르쳐 줍니다.……첫 사람 아담은 생명 있는 존재가 되었고, 나중 아담은 생명을 주는 영적 존재가 되셨습니다. 첫 번째 아담은 나중 아담을 통하여 창조되었으며, 그분에게서 생명을 주는 영혼을 받았습니다.……두 번째 아담은 첫 번째 아담을 창조하실 때 그에게 당신의 모습을 새겨 주셨습니다. 바로 이런 까닭에, 당신의 모습으로 만드신 존재를 잃지 않으시려고 나중 아담은 첫 번째 아담의 본성과 이름을 취하기로 하신 것입니다. 첫 번째 아담과 두 번째 아담, 전자는 시작이 있고 후자는 끝이 없습니다. 맨 나중 ‘사람’은, 스스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듯이, 참으로 첫 ‘사람’이십니다. “나는 시작이요 마침이다.”(222)
360 Propter originis communitatem genus humanum constituit unitatem. Deus enim “fecit [...] ex uno omne genus hominum inhabitare super universam faciem terrae”(Act 17,26):
360 그 공통 기원으로 인류는 하나의 단일성을 지닌다. 왜냐하면 하느님께서는 “한 사람에게서 온 인류를 만드시어 온 땅 위에 살게 하셨기”(사도 17,26)(223) 때문이다.
“Miro quodam mentis obtutu humanum genus, ob communem a Creatore originem unum intueri ac contemplari possumus [...]; itemque natura unum, quae ex corporis concretione et ex immortali spiritualique animo constat; unum ob proxime omnibus assequendum finem, obque commune per praesentis huius vitae decursum fungendum munus; unum ob eamdem habitationem, terrarum nempe orbem, cuius opibus naturali iure omnes frui possunt, ut sese alere queant seseque ad auctiora incrementa provehere; unum denique ob supernum finem, Deum Ipsum, quo contendant omnes oportet, et ob res atque adiumenta, quibus eundem finem tandem aliquando contingere valeant [...] itemque ex una eademque Redemptione, quam Christus [...] omnibus dilargitus est”
창조주에게서 비롯되는 우리 기원의 단일성 안에서……, 물질적인 육체와 영적인 영혼으로 이루어진 본성의 단일성 안에서, 모두가 우선적으로 추구해야 할 목적의 단일성 안에서, 이 세상 삶에서 이룩할 사명의 단일성 안에서, 모든 사람이 천부의 권리를 통하여 자신의 삶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대지, 곧 주거의 단일성 안에서, 하느님 자신, 곧 모든 사람이 추구해야 할 초자연적 목적의 단일성 안에서, 이 목적에 도달하려는 방법의 단일성 안에서……, 모든 이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구원의 단일성 안에서, 이 모든 것 안에서 인류를 바라본다는 것은 놀라운 장관입니다.(224)
361 Haec lex “mutuae [...] hominum necessitudinis caritatisque” quin divitem varietatem personarum, culturarum et populorum excludat, nobis tutatur omnes homines vere esse fratres.
361 개인과 문화와 민족의 풍부한 다양성을 배제하지 않는 “인간의 유대와 사랑의”(225) 이 법은 우리에게 모든 인간이 진정한 형제라는 것을 확신하게 한다.

Ⅱ. "Corpore et anima unus"

II. ‘육체와 영혼으로 하나인 존재’

362 Persona humana, ad imaginem Dei creata, simul est ens corporale et spirituale. Narratio biblica hanc realitatem sermone exprimit symbolico, cum asserit: “Formavit Dominus Deus hominem pulverem de humo et inspiravit in nares eius spiraculum vitae, et factus est homo in animam viventem”(Gn 2,7). Totus ergo homo est a Deo volitus.
362 하느님의 모습으로 지어진 ‘인간’은 육체적이며 동시에 영적인 존재이다. “주 하느님께서 흙의 먼지로 사람을 빚으시고, 그 코에 생명의 숨을 불어넣으시니, 사람이 생명체가 되었다.”(창세 2,7)는 성경의 이야기는 바로 이러한 사실을 상징적 언어로 설명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하느님께서는 전체적인 인간을 원하신 것이다.
363 In sacra Scriptura verbum anima saepe vitam denotat humanam vel totam humanam personam. Sed denotat etiam id quod in homine est summe intimum et maximi valoris in illo, per quod ille magis peculiariter est imago Dei: “anima” significat principium spirituale in homine.
363 영혼이라는 말은 성경에서 종종 인간의 생명이나(226) 인격 전체를 의미한다.(227) 그러나 이 말은 또한 인간의 가장 내밀한 것,(228) 가장 가치 있는 것을(229) 가리킨다. 그리고 특히 인간은 그것을 통해서 하느님의 모습을 지니게 된다. ‘영혼’은 인간의 영적 근원을 가리킨다.
364 Corpus hominis dignitatem “imaginis Dei” participat; illud est corpus humanum praecise quia anima spirituali animatur, atque tota persona humana destinatur completa ut in corpore Christi templum Spiritus fiat.
364 인간의 육체는 ‘하느님 모습’의 존엄성에 참여한다. 그것이 인간의 육체인 것은 정확히 말해서 영혼을 통하여 생명력을 얻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리스도의 몸 안에서 성령의 성전이 되는 것은 바로 인간 전체이다.(230)
“Corpore et anima unus, homo per ipsam suam corporalem condicionem elementa mundi materialis in se colligit, ita ut, per ipsum, fastigium suum attingant et ad liberam Creatoris laudem vocem attollant. Vitam ergo corporalem homini despicere non licet, e contra ipse corpus suum, utpote a Deo creatum et ultima die resuscitandum, bonum et honore dignum habere tenetur”
육체와 영혼으로 단일체를 이루는 인간은 그 육체적 조건을 통하여 물질세계의 요소들을 자기 자신 안에 모으고 있다. 이렇게 물질세계는 인간을 통하여 그 정점에 이르며, 창조주께 소리 높여 자유로운 찬미를 드린다. 그러므로 인간은 육체적 생활을 천시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반대로 인간은 하느님께 창조되고 마지막 날에 부활할 자기 육체를 좋게 여기고 존중하여야 할 의무가 있다.(231)
365 Unitas animae et corporis ita est profunda ut anima “forma”corporis considerari debeat; id est propter animam spiritualem corpus, materia constitutum, est corpus humanum et vivens; spiritus et materia in homine non sunt duae naturae unitae, sed eorum unio unam solam efficit naturam.
365 영혼과 육체의 단일성은 영혼을 육체의 ‘형상’으로 생각해야 할 만큼 심오하다.(232) 말하자면 물질로 구성된 육체가 인간 육체로서 살아 있는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은 영혼 때문이다. 인간 안의 정신과 물질은 결합된 두 개의 본성이 아니라, 그 둘의 결합으로 하나의 단일한 본성이 형성되는 것이다.
366 Ecclesia docet unamquamque animam spiritualem a Deo esse immediate creatam - illa non est a parentibus “producta” -; ea nos etiam docet illam esse immortalem; illa non perit cum a corpore separatur in morte, et iterum corpori unietur in resurrectione finali.
366 교회는 각 사람의 영혼이 ─ 부모들이 ‘만든’ 것이 아니라 ─ 하느님께서 직접 창조하셨고,(233) 불멸한다고 가르친다.(234) 죽음으로 육체와 분리되어도 영혼은 없어지지 않으며, 부활 때 육체와 다시 결합될 것이다.
367 Quandoque invenitur animam a spiritu distingui. Sic sanctus Paulus orat ut nostra “omnia, et integer spiritus [...] et anima et corpus” serventur “sine querela in Adventu Domini”(1 Thess 5,23). Ecclesia docet hanc distinctionem dualitatem non introducere in animam. “Spiritus” significat hominem inde a creatione sua ad suum finem supernaturalem ordinari, animamque eius capacem esse quae gratuito ad communionem superelevetur cum Deo.
367 때때로 영혼은 ‘영’과 구별되어 쓰이는 것을 볼 수 있다. 바오로 사도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께서 재림하실 때까지 우리의 영과 혼과 몸이 온전하고 흠 없이”(1테살 5,23) 지켜지기를 기도한다. 교회는 이러한 구분이 영혼을 둘로 나누는 것이 아님을 가르친다.(235) ‘영’이란 인간이 그 창조 때부터 자신의 초자연적인 목표를 향하고 있음을 의미하며,(236) ‘영혼’은 은총으로 하느님과 친교를 이룰 수 있음을 의미한다.(237)
368 Ecclesiae traditio spiritualis etiam in corde insistit, sensu biblico “intimae profunditatis” (“in visceribus”: Ier 31,33), ubi persona se decidit aut non decidit pro Deo.
368 교회의 영적인 전통은 또한 성경에서 ‘존재의 심연’(“그들의 가슴에”, 예레 31,33)이라는 뜻으로 쓰이고 있는 마음에 대해서도 강조한다. 이 마음속에서 인간은 하느님을 선택하거나 포기할 것을 결정한다.(238)

Ⅲ. “Masculum et feminam creavit eos”

III. “하느님께서는 인간을 남자와 여자로 창조하셨다”

Aequalitas et diversitas a Deo volitae

하느님께서 원하시는 평등과 차이

369 Vir et mulier creati sunt, id est sunt a Deo voliti: ex alia parte, in aequalitate perfecta quatenus personae humanae, ex alia vero in eorum esse specificum viri et mulieris. “Virum esse” “mulierem esse” realitas est bona et a Deo volita: vir et mulier dignitatem habent inamissibilem quae illis immediate a Deo eorum Creatore advenit. Vir et mulier sunt, cum eadem dignitate, “ad imaginem Dei” Illi in suo “virum-esse” et in suo “mulierem-esse” sapientiam et bonitatem reverberant Creatoris.
369 하느님께서 원하신 대로 남자와 여자가 창조되었다. 곧 인격에서는 완전히 동등하지만, 그 존재의 특성에서는 서로 다른 남자와 여자를 하느님께서는 바라셨다. ‘남자 됨’ 또는 ‘여자 됨’은 하나의 선이고 하느님께서 원하신 것이다. 남자와 여자는 자신들의 창조주이신 하느님께 직접 받은, 빼앗길 수 없는 존엄을 지니고 있다.(239) 남자와 여자는 동등한 존엄성을 가지고 ‘하느님의 모습으로’ 창조되었다. 그들은 ‘남자 됨’과 ‘여자 됨’으로 창조주의 지혜와 선을 반영한다.
370 Deus nequaquam est ad imaginem hominis. Neque vir est neque mulier. Deus est spiritus purus in quo pro sexuum differentia locus non est. Sed viri et mulieris “perfectiones” aliquid infinitae perfectionis reverberant Dei: tales sunt perfectiones matris et illae patris et sponsi.
370 하느님께서는 결코 인간의 모습이 아니시다. 그분께서는 남자도 여자도 아니시다. 하느님께서는 성을 구별할 여지가 없는 순수한 영(靈)이시다. 그러나 남자와 여자의 ‘완전성’은 하느님의 무한하신 어떠한 완전성, 곧 어머니의 완전성,(240) 아버지와 남편의 완전성을 반영한다.(241)

“Alius pro alio” - “unitas duorum”

‘서로를 위한 존재’, ‘두 존재의 결합’

371 Vir et mulier, simul creati, voliti sunt a Deo ut alius sit pro alio. Verbum Dei id suggerit intelligendum diversis textus sacri lineamentis. “Non est bonum esse hominem solum; faciam ei adiutorium simile sui”(Gn 2,18). Nullum animalium tale “par” hominis esse potest. Mulier quam Deus ex costa “efformat” de viro sublata quamque Ipse ad virum adduxit, admirationis ex parte viri provocat clamorem, amoris et communionis exclamationem: “Haec nunc os ex ossibus meis et caro de carne mea!”(Gn 2,23). Vir mulierem detegit tamquam aliud “ego” eiusdem humanitatis.
371 남자와 여자를 함께 창조하신 하느님께서는 이 둘이 서로를 위한 존재가 되기를 원하셨다. 성경의 여러 구절에 나오는 하느님의 말씀은 우리에게 이 점을 깨우쳐 준다. “사람이 혼자 있는 것이 좋지 않으니, 그에게 알맞은 협력자를 만들어 주겠다”(창세 2,18). 어떤 짐승도 그에게 ‘알맞은 협력자’가 되지 못하였다.(242) 하느님께서 남자의 갈빗대를 뽑아서 ‘만드신’ 여자를 그에게 데려다 주셨을 때, 남자는 감탄의 외침과, 사랑과 일치의 탄성을 지른다. “이야말로 내 뼈에서 나온 뼈요, 내 살에서 나온 살이로구나!”(창세 2,23) 남자는 여자가 자신과 동등한 인간성을 지닌 또 다른 ‘나’임을 발견한다.
372 Vir et mulier facti sunt “alius pro alio” non quasi Deus eos nonnisi “dimidiatos ” effecerit et “incompletos” Ille eos pro personarum creavit communione, in qua unusquisque “adiutorium” esse potest pro alio, quia simul quatenus personae sunt aequales (“os ex ossibus meis...” et quatenus masculinum et femininum sese mutuo complent. In matrimonio, Deus eos ita coniungit ut “unam carnem” efformantes (Gn 2,24) vitam humanam transmittere valeant: “Crescite et multiplicamini et replete terram”(Gn 1,28). Vir et mulier, tamquam sponsi et parentes, suis descendentibus vitam transmittentes humanam, singulari modo, operi cooperantur Creatoris.
372 남자와 여자는 ‘서로를 위한 존재’로서 창조되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그들을 ‘반쪽’으로나 ‘불완전’하게 만드신 것이 아니라, 서로 인격적으로 일치하도록 만드셨으며, 이 일치 안에서 각자는 상대를 위한 ‘도움’이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격적으로는 동등하면서(“내 뼈에서 나온 뼈요…….”) 동시에 남성과 여성으로서 서로를 보완하기 때문이다.(243) 하느님께서는 혼인을 통하여 그들을 “한 몸”(창세 2,24)이 되게 하심으로써 인간 생명을 전달할 수 있게 하신다. “자식을 많이 낳고 번성하여 땅을 가득 채우고 지배하여라”(창세 1,28). 후손들에게 인간 생명을 전달함으로써 배우자와 부모로서의 남녀는 각각 창조주의 일에 협력한다.(244)
373 In Dei consilio, vir et mulier vocationem habent subiiciendi terram tamquam “administratores” Dei. Haec dominatus elatio arbitraria et destructiva esse non debet. Ad imaginem Creatoris qui diligit “omnia, quae sunt”(Sap 11,24), vir et mulier vocantur ad divinam participandam providentiam erga alias creaturas. Exinde eorum responsabilitas pro mundo quem Deus illis concredidit.
373 하느님의 계획에서 남녀는 하느님의 ‘관리인’으로서 땅을 “지배할”(245) 소명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지배는 독단적이고 파괴적인 정복이 되어서는 안 된다. “존재하는 모든 것을 사랑하시는”(지혜 11,24) 창조주의 모습을 닮은 남자와 여자는, 다른 피조물들을 위한 하느님의 섭리에 참여하도록 부름을 받은 것이다. 바로 이 때문에 그들은 하느님께서 맡겨 주신 세상에 대해 책임을 지고 있다.

IV. Homo in paradiso

IV. 낙원의 인간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