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SECUNDUM CREDO IN IESUM CHRISTUM, FILIUM DEI UNICUM ARTICULUS 2 “ET IN IESUM CHRISTUM, FILIUM EIUS UNICUM, DOMINUM NOSTRUM"
교회 교리서

ARTICULUS 2 “ET IN IESUM CHRISTUM, FILIUM EIUS UNICUM, DOMINUM NOSTRUM"

제2절 “그 외아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님”

I. Iesus

I. 예수

430 Iesus Hebraice significat: “Deus salvat” In Annuntiatione, Angelus Gabriel Ei, tamquam nomen proprium, nomen Iesu dedit, quod simul identitatem Eius exprimit et missionem. Quia nemo “potest dimittere peccata nisi solus Deus”(Mc 2,7), in Iesu, Filio Suo aeterno, homine facto, Ipse “salvum faciet populum Suum a peccatis eorum”(Mt 1,21). Sic in Iesu, Deus totam Suam historiam recapitulat salutis pro hominibus.
430 예수는 히브리 말로 ‘하느님께서 구원하신다.’라는 뜻이다. 주님 탄생 예고 때에 천사 가브리엘은 그분께 ‘예수’라는 이름을 주었는데, 이 이름은 그분의 신원과 사명을 동시에 나타낸다.(10) “하느님 한 분 외에 아무도 죄를 용서할 수 없기”(마르 2,7) 때문에, 하느님께서는 사람이 되신 당신의 영원한 아들 예수님을 통해서 “당신 백성을 죄에서 구원하실 것이다”(마태 1,21). 이처럼 하느님께서는 예수님 안에서 인간을 위해 당신 구원의 역사 전체를 총괄적으로 실현하신다.
431 In historia salutis Deus satis non habuit Israel “de domo servitutis”(Dt 5,6) liberare, eum de Aegypto faciens exire. Ille eum etiam de eius salvat peccato. Quia peccatum semper offensa est Deo illata, solus Ille potest id absolvere. Hac de causa, Israel semper maiorem acquirens conscientiam universalitatis peccati, amplius salutem quaerere non poterit nisi in invocatione nominis Dei Redemptoris.
431 하느님께서는 구원 역사에서, 이스라엘을 이집트에서 탈출시켜 “종살이하던 집”(신명 5,6)에서 구해 내시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으셨다. 하느님께서는 그들을 죄에서도 구해 주셨다. 죄란 언제나 하느님을 거스르는 것이므로,(11) 오직 하느님만이 그 죄를 없애 주실 수 있다.(12) 그러므로 이스라엘은 점차 죄의 보편성을 깨달아 가면서, 구원자 하느님의 이름을 부름으로써만 구원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13)
432 Nomen Iesu significat ipsum Nomen Dei praesens in Persona esse Filii Sui, hominis facti ad peccatorum universalem et definitivam Redemptionem. Iesus est Nomen divinum, quod solum affert salutem et ab omnibus exinde invocari potest, quia Ipse per Incarnationem omnibus hominibus Se univit ita ut nullum aliud sit nomen “sub caelo datum in hominibus, in quo oportet nos salvos fieri”(Act 4,12).
432 예수라는 이름은 바로 하느님의 이름이 당신 아들의 인격 안에 현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14) 성자께서는 인간을 죄로부터 보편적으로 그리고 결정적으로 구해 내시기 위해 인간이 되셨다. 예수는 구원을 가져다 줄 수 있는 하느님의 이름이며,(15) 이제는 강생하여 모든 사람들과 하나가 되시어,(16) 모든 사람은 이 이름을 부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사람들에게 주어진 이름 가운데에서 우리가 구원받는 데에 필요한 이름은 하늘 아래 이 이름밖에 없습니다”(사도 4,12).(17)
433 Nomen Dei Salvatoris semel in anno a summo sacerdote pro expiatione peccatorum Israel invocabatur, cum ille Sanctissimi propitiatorium sanguine asperserat sacrificii. Propitiatorium locus erat praesentiae Dei. Cum sanctus Paulus dicit de Iesu: “quem proposuit Deus propitiationem [...] in sanguine Ipsius”(Rom 3,25), significat quod in Eius humanitate, “Deus erat in Christo mundum reconcilians Sibi”(2 Cor 5,19).
433 구원하시는 하느님의 이름은 일 년에 단 한 번, 대사제가 이스라엘의 죄를 보속하기 위해 지성소의 속죄판에 희생 제물의 피를 뿌릴 때만 불렀다.(18) 속죄판은 하느님께서 현존하시는 장소이다.(19) 바오로 사도가 예수님에 대하여, “하느님께서는 예수님을 속죄의 제물로 내세우셨습니다. 예수님의 피로 이루어진……”(로마 3,25) 하고 말한 것은, 바로 예수님의 인성 안에서 곧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세상을 당신과 화해하게 하셨다.”(2코린 5,(19) 는 것을 의미한다.
434 Iesu resurrectio Nomen Dei glorificat “Salvatoris” quia exinde Nomen Iesu supremam potentiam plene manifestat Nominis “quod est super omne nomen”(Phil 2,9-10). Spiritus maligni nomen timent Eius et in nomine Eius discipuli Iesu faciunt miracula, quoniam quodcumque petunt a Patre in nomine Eius, dat illis.
434 예수님의 부활은 ‘구원자’이신 하느님의 이름을 영광스럽게 한다.(20) 이제 ‘예수’라는 이름은 “모든 이름 위에 뛰어난 이름”(필리 2,9-10)이 지닌 최상의 권능을 충만하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악령들은 그분의 이름을 두려워한다.(21) 예수님의 제자들도 그분의 이름으로 기적을 행했다.(22) 예수님의 이름으로 성부께 청하는 것은 다 들어주시기 때문이다.(23)
435 Nomen Iesu in corde est orationis christianae. Omnes liturgicae orationes formula concluduntur: “per Dominum nostrum Iesum Christum” Oratio “Ave Maria” culminat verbis: “Et benedictus fructus ventris tui, Iesus” Orientalis oratio cordis, “oratio Iesu” appellata, dicit: “Iesu Christe, Fili Dei, Domine, miserere mei peccatoris” Plures christiani moriuntur solum verbum “Iesu” sicut sancta Ioanna de Arco, habentes in ore.
435 예수라는 이름은 그리스도인 기도의 핵심에 자리 잡고 있다. 전례의 모든 기도는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라는 말로 끝맺는다. 성모송은 “태중의 아들 예수님 또한 복되시나이다.” 하는 말에서 절정에 이른다. ‘예수님 기도’라고 불리는 동방의 마음의 기도는 “하느님의 아드님 주 예수 그리스도님, 이 죄인에게 자비를 베푸소서.”라고 한다. 잔 다르크 성녀가 그랬듯이 많은 그리스도교 신자들은 오직 ‘예수’라는 이름을 부르며 숨을 거둔다.(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