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SECUNDUM CREDO IN IESUM CHRISTUM, FILIUM DEI UNICUM ARTICULUS 3 IESUS CHRISTUS “CONCEPTUS EST DE SPIRITU SANCTO, NATUS EX MARIA VIRGINE”
교회 교리서

Virginitas Mariae

동정 마리아

496 Inde a primis fidei formulis, Ecclesia professa est Iesum per solam virtutem Sancti Spiritus in sinu Virginis Mariae esse conceptum, rationem etiam corporalem huius affirmans eventus: Iesus “absque semine [...] ex Spiritu Sancto” conceptus est. Patres in conceptione virginali signum perspiciunt de eo quod vere Filius Dei in humanitate venit sicut nostra:
496 초기의 신앙 표현들에서부터,(152) 교회는 예수님께서 오로지 성령의 힘으로 동정 마리아의 태중에 잉태되셨다고 고백했으며, 이 사건의 육체적인 측면도 긍정하였다. 예수님께서는 “남자의 관여 없이 성령으로”(153) 잉태되셨다. 교부들은 우리와 같은 인간으로 오시는 분이 참으로 하느님의 아들이시라는 징표를 동정 잉태에서 알아보았다.
Ita sanctus Ignatius Antiochenus (initio saeculi secundi): “Observavi vos [...] plena firmaque fide credentes in Dominum nostrum vere oriundum ex genere David secundum carnem, Filium Dei secundum voluntatem et potentiam Dei, natum vere ex virgine; [...] vere sub Pontio Pilato [...] clavis confixum pro nobis in carne [...]. Vere passus est, ut et vere resuscitavit”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는(2세기 초) 이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여러분은 우리 주님을 확고하게 믿고 있습니다. 주님께서는 육신으로는 다윗의 후손으로 태어나셨으며(154) 하느님 의지와 권능으로는 하느님의 아들이시며,(155) 참으로 동정녀에게서 나셨고,……그 육신으로 본시오 빌라도 통치 아래서 우리를 위하여 참으로 못 박히셨고……참으로 수난하시고 참으로 부활하셨습니다.”(156)
497 Narrationes evangelicae conceptionem intelligunt virginalem tamquam opus divinum omnem comprehensionem et omnem possibilitatem superans humanas: “Quod enim in ea natum est, de Spiritu Sancto est” dicit angelus ad Ioseph circa Mariam eius sponsam (Mt 1,20). Ecclesia ibi adimpletionem perspicit Promissionis divinae datae ab Isaia propheta: “Ecce virgo in utero habebit et pariet filium”(Is 7,14), secundum versionem graecam Mt 1,23.
497 복음서의 이야기들은(157) 동정 잉태를 모든 인간적 이해력과 가능성을 초월하는 하느님의 업적으로 이해하고 있다.(158) 천사는 요셉에게 그의 약혼자 마리아에 대해서 “그 몸에 잉태된 아기는 성령으로 말미암은 것이다.”(마태 1,20) 하고 일러 준다. 교회는 여기에서 하느님께서 예언자 이사야를 통해 하신 약속, 곧 “동정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으리라.”(이사 7,14를 그리스 말로 번역한 마태 1,23)고 한 말씀이 성취되었음을 본다.
498 Quandoque propter silentium evangelii sancti Marci et epistularum Novi Testamenti circa conceptionem virginalem Mariae habita est turbatio. Quaeri etiam potuit utrum hic de fabulis vel de constructionibus ageretur theologicis sine historicitatis ambitu. Ad id oportet respondere: fides in conceptionem virginalem Iesu e parte non credentium Iudaeorum et gentilium vivam oppositionem, irrisiones vel incomprehensionem invenit: illa a mythologia pagana vel a quadam ad ideas temporis adaptatione orta non erat. Sensus huius eventus non nisi fidei accessibilis est, quae illum perspicit in “mysteriorum ipsorum nexu inter se” in mysteriorum Christi complexu, ab Eius Incarnatione usque ad Pascha Eius. Iam sanctus Ignatius Antiochenus hunc nexum testatur: “Et principem huius mundi latuit Mariae virginitas et partus ipsius, similiter et mors Domini: tria mysteria clamoris, quae in silentio Dei patrata sunt”
498 마리아의 동정 잉태에 대하여 마르코 복음이나 신약 성경 서간들이 침묵을 지키기 때문에 때로는 당황스럽기도 했다. 그리고 이것이 단지 전설이거나, 역사적 사실이 아닌 신학적으로 구성된 이야기가 아닌가 의심을 품을 수도 있었다. 이에 대한 대답은 이렇다. 예수님께서 동정녀 몸에 잉태되셨다는 신앙은 비그리스도 신자와 유다인들과 이교인들의 강력한 반대와 비웃음과 몰이해에 부딪혔다.(159) 이 동정 잉태는 이교 신화의 영향을 받았거나, 그 시대의 생각에서 따온 것이 아니다. 이 사건의 의미는 “신비들의 내적 연관성”(160) 안에서, 그리고 강생에서 파스카 사건에 이르기까지 그리스도의 신비 전체 안에서 바라보는 신앙으로써만 이해할 수 있다. 안티오키아의 성 이냐시오는 일찍이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증언했다. “이 세상의 통치자는 마리아의 동정성과 출산을 몰랐으며, 주님의 죽음도 몰랐습니다. 이 세 가지 빛나는 신비는 하느님의 침묵 속에서 이루어졌습니다.”(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