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SECUNDUM CREDO IN IESUM CHRISTUM, FILIUM DEI UNICUM ARTICULUS 3 IESUS CHRISTUS “CONCEPTUS EST DE SPIRITU SANCTO, NATUS EX MARIA VIRGINE”
교회 교리서

III. Mysteria vitae publicae Iesu

III. 예수님 공생활의 신비

Iesu baptismus

예수님의 세례

535 Initium vitae publicae Iesu est Eius baptismus a Ioanne in Iordane peractus. Ioannes “baptismum paenitentiae in remissionem peccatorum” proclamabat (Lc 3,3). Multitudo peccatorum, publicanorum et militum, Pharisaeorum et Sadducaeorum et meretricum venit ut ab illo baptizetur. “Tunc venit Iesus”. Baptista haesitat, Iesus insistit: Ipse baptismum recipit. Tunc Spiritus Sanctus, in columbae forma, super Iesum venit, et vox proclamat de caelo: “Hic est Filius meus dilectus” (Mt 3,13-17). Haec est Iesu manifestatio (“epiphania”) tamquam Messiae Israel et Filii Dei.
535 예수님의 공생활은 요르단 강에서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심으로써(251) 시작된다.(252) 요한은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의 세례를 선포하였다”(루카 3,3). 수많은 죄인들, 세리와 군사들,(253) 바리사이와 사두가이 사람들,(254) 창녀들이(255) 그에게 세례를 받으러 왔다. “그때에 예수님께서 요한을 찾아가셨다.” 세례자 요한은 망설이지만 예수님께서는 굳이 세례를 받으신다. 이때 성령께서 비둘기 모양으로 예수님 위에 내려오시고, 하늘에서 들려오는 목소리는 “이는 내가 사랑하는 아들”(마태 3,13-17)이라고 선포한다. 이것이 바로 이스라엘의 메시아요 하느님 아들로서 드러난 예수님의 공현(Epiphaneia)이다.
536 Iesu baptismus est, ex parte Eius, acceptatio et inauguratio Eius missionis, tamquam Servi patientis. Ipse sinit Se inter peccatores adnumerari. Ipse iam est “Agnus Dei, qui tollit peccatum mundi” (Io 1,29); iam “baptismum” anticipat Suae cruentae Mortis. Iam venit ad “omnem iustitiam” implendam (Mt 3,15), id est, Se totum Patris Sui submittit voluntati: Ipse amore huic mortis consentit baptismo pro nostrorum peccatorum remissione. Huic acceptationi vox respondet Patris qui in Filio Suo totum placitum ponit Suum. Spiritus quem Iesus in plenitudine inde a Sua possidet conceptione, venit ut “maneat” super Eum. Iesus erit Illius fons pro tota humanitate. In Suo baptismo, “aperti sunt Ei caeli” (Mt 3,16), quos peccatum clauserat Adami; atque aquae per Iesu et Spiritus descensum sanctificantur, ut novae creationis proludium.
536 세례를 받으실 때 예수님께서는 “고난 받는 종”이라는 당신의 사명을 수락하시고 그 사명을 수행하기 시작하셨다. 예수님께서는 죄인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셨으며,(256) 이미 그분께서는 “세상의 죄를 없애시는 하느님의 어린양”(요한 1,29)으로, 피 흘리는 죽음의 ‘세례’를 미리 받으셨다.(257) 예수님께서는 이미 “모든 의로움을 이루시기”(마태 3,15) 위하여 오신다. 곧 아버지의 뜻에 온전히 따르신다. 몸소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기 위하여 사랑으로 죽음의 세례를 받아들이신다.(258) 이러한 수락에 성부의 목소리가 당신 아들이 마음에 든다고 응답한다.(259) 예수님께서 잉태 때부터 충만하게 지니셨던 그 성령께서 내려와 그분 위에 “머무르신다.”(260) 예수님께서는 온 인류를 위한 성령의 원천이 되실 것이다. 예수님께서 세례를 받으실 때 아담의 죄로 닫혔던 “하늘이 열리고”(마태 3,16), 예수님과 성령께서 내려오시어, 물이 거룩하게 되었다. 이는 새로운 창조의 서막이다.
537 Christianus, per Baptisma, sacramentaliter Iesu assimilatur qui in baptismo Suo Mortem Suam et Suam anticipat Resurrectionem; ille debet hoc humilis submissionis et paenitentiae mysterium ingredi, in aquam cum Iesu descendere ut cum Illo ascendat, atque ex aqua et Spiritu denuo nasci ut in Filio filius Patris fiat dilectus et “in novitate vitae” ambulet (Rom 6,4):
537 그리스도인은 세례를 통해서, 당신 세례 안에서 죽음과 부활을 미리 겪으시는 예수님과 성사적으로 비슷하게 된다. 그는 겸손하게 자신을 낮추고 속죄하는 신비 안으로 들어가야 하며, 예수님과 함께 물에 잠겼다가 그분과 함께 다시 올라와야 한다. 그래야 물과 성령으로 다시 태어나, 성자 안에서 하느님의 사랑하는 자녀가 되고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 된다”(로마 6,4).
“Proinde, cum Christo per Baptismum sepeliamur, ut cum Eo resurgamus; cum Eo descendamus, ut simul etiam extollamur; cum Eo ascendamus, ut simul quoque gloria afficiamur”.
그리스도와 함께 부활하기 위하여 세례를 통해 우리 자신을 그분과 함께 묻읍시다. 그분과 함께 높이 올려지기 위하여 그분과 함께 내려갑시다. 그분과 함께 영광스럽게 되기 위하여 그분과 함께 올라갑시다.(261)
Sic factum est “ut ex eis quae consummabantur in Christo cognosceremus post aquae lavacrum et de caelestibus portis Sanctum in nos Spiritum involare et caelestis nos gloriae unctione perfundi et paternae vocis adoptione filios fieri”.
그리스도께 일어난 모든 일로써 우리가 알 수 있는 사실은, 물로 씻은 뒤에 하늘 높은 곳에서 성령께서 우리에게 내려오시고, 성부의 음성을 통해 입양되어 하느님의 자녀가 된다는 것입니다.(262)

Iesu tentationes

예수님께서 겪으신 유혹

538 Evangelia de quodam tempore solitudinis Iesu in deserto loquuntur immediate postquam Ipse a Ioanne est baptizatus: “Spiritus expellit Eum in desertum” (Mc 1,12) et Ipse ibi permanet quadraginta dies quin manducet; cum bestiis vivit silvestribus et angeli serviunt Ei. Ad finem huius temporis, Satanas ter Eum tentat quaerens Eius filialem erga Deum habitum ponere in quaestione. Iesus has reiicit oppugnationes quae tentationes Adam in paradiso et Israel in deserto recapitulant, atque Diabolus ab Eo discedit “usque ad tempus” (Lc 4,13).
538 복음서들은 예수님께서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신 직후 광야에서 홀로 계셨다는 사실을 언급한다. “성령께서는 곧 예수님을 광야로 내보내셨다”(마르 1,12). 예수님께서는 그곳에서 40일 동안 단식하시며 머무르신다. 들짐승과 함께 지내셨으며, 천사들이 시중을 들었다.(263) 이 시기가 끝 날 무렵, 사탄은 하느님에 대한 예수님의 자녀다운 자세를 변질시키려고 세 번 유혹을 시도한다. 예수님께서는 낙원에서 아담이 받은 유혹과 광야에서 이스라엘이 받은 유혹이 집약된 공격을 물리치신다. 악마는 “다음 기회를 노리며”(루카 4,13) 예수님을 떠나간다.
539 Evangelistae indicant huius arcani eventus salvificum sensum. Iesus est novus Adam, qui ibi permanet fidelis ubi primus tentationi succubuit. Iesus vocationem Israel perfecte adimplet: illis contrarie qui olim quadraginta annis in deserto Deum provocaverunt, Christus e contra tamquam Servus revelatur Dei plene oboediens divinae voluntati. In hoc est Iesus Diaboli victor: Ipse fortem alligavit ut ab illo praedam iterum eriperet. Victoria Iesu de Tentatore in deserto victoriam anticipat passionis, supremae oboedientiae Eius amoris filialis erga Patrem.
539 복음사가들은 이 신비한 사건이 지닌 구원적 의미를 가리키고 있다. 첫 아담은 유혹에 넘어졌으나, 예수님께서는 꿋꿋하게 서 계시는 새 아담이시다. 예수님께서는 이스라엘의 소명을 완전하게 수행하신다. 그 옛날 광야에서 사십 년 동안 하느님께 대들었던 사람들과는(264) 반대로,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뜻에 완전히 순종하는 ‘하느님의 종’의 모습을 보여 주신다. 예수님께서는 이로써 악마를 이기셨으며, 그의 전리품을 다시 빼앗아 오시고자 “힘센 자를 묶어 놓으셨다.”(265) 예수님께서 광야에서 유혹자를 물리치신 것은 당신의 수난, 곧 아버지에 대한 자녀다운 사랑으로 바친 최고의 순종을 통한 승리의 예고이다.
540 Tentatio Iesu modum manifestat quo Filius Dei est Messias, contrarium illi quem Ei Satan proponit atque homines Ei exoptant attribuere. Propterea Christus Tentatorem pro nobis vicit: “Non enim habemus pontificem, qui non possit compati infirmitatibus nostris, tentatum autem per omnia secundum similitudinem absque peccato” (Heb 4,15). Singulis annis per quadraginta dies Magnae Quadragesimae Ecclesia unitur mysterio Iesu in deserto.
540 예수님께서 겪으신 유혹은 하느님의 아들이 어떤 식으로 메시아이신지를 보여 준다. 그것은 사탄이 제시하는 것이나, 사람들이 그분께 기대하는 것과는 전혀 다르다.(266) 이 때문에 그리스도께서는 우리를 위하여 유혹자를 이기셨다. “우리에게는 우리의 연약함을 동정하지 못하는 대사제가 아니라, 모든 면에서 우리와 똑같이 유혹을 받으신, 그러나 죄는 짓지 않으신 대사제가 계십니다”(히브 4,15). 교회는 해마다 40일간의 사순 시기를 통하여 광야의 예수님 신비와 결합한다.

“Appropinquavit Regnum Dei”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541 “Postquam autem traditus est Ioannes, venit Iesus in Galilaeam praedicans Evangelium Dei et dicens: "Impletum est tempus, et appropinquavit Regnum Dei; paenitemini et credite Evangelio"” (Mc 1,14-15). “Christus ideo, ut voluntatem Patris impleret, Regnum caelorum in terris inauguravit”. Patris autem voluntas est “homines ad participandam vitam divinam elevare”. Id facit homines circa Filium Suum, Iesum Christum, congregans. Haec congregatio est Ecclesia quae in terris “germen et initium” est Regni Dei.
541 “요한이 잡힌 뒤에 예수님께서는 갈릴래아에 가시어, 하느님의 복음을 선포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때가 차서 하느님의 나라가 가까이 왔다. 회개하고 복음을 믿어라’”(마르 1,14-15). “그리스도께서는 성부의 뜻을 이루시려고, 지상에서 하늘 나라를 시작하셨다.”(267) 그런데 아버지의 뜻은 “인간을 들어 높여 신적 생명에 참여하게 하시는”(268) 것이다. 아버지께서는 당신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사람들을 모으심으로써 이를 행하신다. 이 모임이 바로 교회이며, 이는 지상에서 “하느님 나라의 싹과 시작이 된 것이다.”(269)
542 Christus in corde est huius congregationis hominum in “familia Dei”. Ipse eos convocat circa Se per verbum Suum, per Sua signa quae Regnum Dei manifestant, per discipulorum Suorum missionem. Ipse Adventum Sui Regni deducet in rem praecipue per magnum Suae Paschatis mysterium: per Suam Mortem in cruce et Resurrectionem Suam. “Et ego, si exaltatus fuero a terra, omnes traham ad meipsum” (Io 12,32). Ad hanc unionem cum Christo omnes vocantur homines.
542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가정’ 안에 모인 사람들의 중심에 계신다.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말씀과 하느님의 나라를 나타내는 징표들과 제자들의 파견을 통해서 사람들을 당신께 불러 모으신다. 그분께서는 무엇보다도 십자가 죽음과 부활이라는 당신 파스카의 위대한 신비를 통해서 하느님 나라의 도래를 실현하실 것이다. “나는 땅에서 들어 올려지면 모든 사람을 나에게 이끌어 들일 것이다”(요한 12,32). 모든 사람은 그리스도와 이렇게 일치되도록 불리었다.(270)

Annuntiatio Regni Dei

하느님 나라의 선포

543 Omnes homines ad Regnum ingrediendum vocantur. Hoc Regnum messianicum, imprimis filiis Israel nuntiatum, destinatur ad homines omnium gentium accipiendos. Ad accedendum in illud, necessarium est Iesu accipere verbum:
543 모든 사람은 하느님의 나라로 들어가도록 불림을 받았다. 먼저 이스라엘의 자녀들에게 전해진 이 메시아의 나라는(271) 모든 민족들을 받아들이기 위한 것이다.(272) 이 나라에 들어가려면 예수님의 말씀을 받아들여야 한다.
“Verbum nempe Domini comparatur semini, quod in agro seminatur: qui illud cum fide audiunt et Christi pusillo gregi adnumerantur, Regnum ipsum susceperunt; propria dein virtute semen germinat et increscit usque ad tempus messis”.
주님의 말씀은 밭에 심은 씨앗과 비슷하여, 그 말씀을 믿음으로 듣고 그리스도의 작은 양 떼에 들게 된 사람들이 하느님의 나라를 받아들인 것이며, 그런 다음에 씨앗은 저절로 싹이 터 수확 때까지 자라난다.(273)
544 Regnum est pauperum et parvulorum, id est, illorum qui illud corde acceperunt humili. Iesus mittitur “evangelizare pauperibus” (Lc 4,18). Eos beatos declarat “quoniam ipsorum est Regnum Dei” (Mt 5,3); his “parvulis” Pater id dignatus est revelare quod sapientibus et prudentibus manet absconditum. Iesus, a praesepe usque ad crucem, vitam pauperum participat; famem, sitim et inopiam experitur.ore activo erga illos condicionem facit ingressus in Regnum Suum.
544 이 나라는 가난하고 미소한 자들, 곧 겸손한 마음으로 그것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것이다. 예수님께서는 “가난한 이들에게 기쁜 소식을 전하도록”(루카 4,18)(274) 파견되셨다. 예수님께서는 그들을 행복한 사람들이라고 선언하시는데 그것은 “하늘 나라가 그들의 것”(마태 5,3)이기 때문이다. 아버지께서는 지혜롭다는 자들과 슬기롭다는 자들에게 감추어진 것을 “철부지들”에게 드러내 보이셨다.(275) 예수님께서는 구유에서 십자가에 이르기까지 가난한 사람들의 삶에 참여하셨다. 배고픔과(276) 목마름과(277) 궁핍을(278) 겪으셨으며, 더 나아가 여러 가난한 사람들과 당신 자신을 동일시하시고, 그들에 대한 실천적 사랑을 당신 나라에 들어가는 조건으로 삼으신다.(279)
545 Iesus peccatores ad mensam invitat Regni: “Non veni vocare iustos, sed peccatores” (Mc 2,17). Eos ad conversionem invitat sine qua Regnum ingredi possibile non est, sed eis ostendit, verbis et gestis, misericordiam Patris Sui illimitatam erga eos et immensum “gaudium [quod] erit in caelo super uno peccatore paenitentiam agente” (Lc 15,7). Suprema huius amoris demonstratio sacrificium erit Suae propriae vitae “in remissionem peccatorum” (Mt 26,28).
545 예수님께서는 죄인들을 하느님 나라의 식탁에 초대하신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마르 2,17).(280)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하느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하여 꼭 필요한 회개를 호소하시지만, 또한 당신의 말씀과 행위를 통해 그들에 대한 아버지의 한없는 자비와(281) “회개하는 죄인 한 사람 때문에 더 기뻐할 것임”(루카 15,7)을 그들에게 보여 주신다. 이러한 사랑의 최상 증거는 “죄를 용서해 주려고”(마태 26,28) 당신의 목숨을 바치시는 일이 될 것이다.
546 Iesus ad Regnum ingrediendum per parabolas vocat quae lineamentum constituunt characteristicum instructionis Eius. Per eas, Ipse ad convivium invitat Regni, sed etiam electionem exigit radicalem: ad acquirendum Regnum est necessarium omnia donare; verba non sufficiunt, requiruntur actiones. Parabolae pro homine quasi specula sunt: accepitne verbum tamquam durum solum an tamquam terra bona“” Quidnam ex acceptis facit talentis“” Iesus et praesentia Regni in hoc mundo sunt secreto in parabolarum corde. Necessarium est Regnum ingredi, id est, discipulum fieri Christi ad “mysteria Regni caelorum” cognoscenda (Mt 13,11). Pro eis qui “foris” perstant (Mc 4,11), totum permanet aenigmaticum.
546 예수님께서는 당신 가르침의 전형적 형식인 비유들을 통해서 하느님 나라로 들어오도록 부르신다.(282) 예수님께서는 비유를 통해서 하느님 나라의 잔치에 초대하시지만,(283) 한편 근본적인 선택도 요구하신다. 하느님 나라를 얻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내어 주어야 한다.(284) 말만이 아니라 행동이 필요하다.(285) 비유는, 사람들이 마치 단단한 땅처럼 말씀을 받아들이는지, 아니면 좋은 땅처럼 받아들이는지를 보여 주는 거울과 같다.(286) 저마다 받은 탈렌트를 어떻게 사용하는가-(287) 이 세상에 계신 예수님과 하느님 나라의 현존이 이 비유 안에 은밀하게 들어 있다. “하늘 나라의 신비”(마태 13,11)를 알아들으려면 그 나라에 들어가야 한다. 곧, 그리스도의 제자가 되어야 한다. “저 바깥”(마르 4,11) 사람들에게는 모든 것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을 것이다.(288)

Signa Regni Dei

하느님 나라의 표징

547 Iesus Sua verba pluribus comitatur “virtutibus et prodigiis et signis” (Act 2,22) quae ostendunt Regnum in Eo esse praesens. Illa testantur Iesum esse Messiam praenuntiatum.
547 예수님께서는 당신 말씀과 더불어, 하느님 나라가 당신 안에 현존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많은 “기적과 이적과 표징”(사도 2,22)도 행하신다. 이러한 것들은 예수님께서 바로 예고된 메시아시라는 것을 증명한다.(289)
548 Signa a Iesu effecta Patrem Eum misisse testantur. Invitant ad credendum in Eum. Illis qui ad Eum fide se vertunt, id concedit quod petunt. Tunc miracula fidem roborant in Eum qui Patris Sui facit opera: Eum Filium Dei testantur esse. Sed etiam possunt esse scandali occasio. Non enim intendunt curiositati et magicis satisfacere optatis. Iesus, non obstantibus Suis miraculis tam evidentibus, a quibusdam est reiectus; accusatus etiam de eo est quod per daemonia ageret.
548 예수님께서 행하신 표징들은 성부께서 그분을 보내셨다는 것을 증명한다.(290) 이 표징들은 예수님을 믿도록 권유한다.(291) 그분께서는 그분을 믿고 청하는 이들에게는 그들이 청하는 것을 주신다.(292) 그러므로 기적들은 성부의 일을 수행하시는 분에 대한 신앙을 굳건하게 한다. 기적들은 그분께서 하느님의 아들이시라는 것을 증언한다.(293) 그러나 그것들은 또한 걸려 넘어지는(294)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기적은 호기심이나 마술적인 욕망을 채워 주기 위한 것들이 아니다. 그렇게 분명한 기적들을 보여 주셨음에도, 어떤 이들은 예수님을 배척했으며(295) 심지어 마귀의 힘을 빌려 행동한다고 비난하기도 한다.(296)
549 Iesus, quosdam homines a terrestribus famis, iniustitiae, morbi et mortis liberans malis, signa perfecit messianica. Ipse tamen non venit ut omnia mala hic in terris aboleret, sed ut homines a gravissima omnium servitute liberaret, ab illa peccati, quae eos in eorum vocatione filiorum Dei irretit et omnes eorum causat humanas servitutes.
549 예수님께서는 사람들을 굶주림,(297) 불의,(298) 병과 죽음(299) 등 현세의 불행에서 해방시키심으로써 메시아의 표징을 보이셨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세상의 모든 불행을 없애기 위하여 오신 것이 아니라,(300) 하느님 자녀의 소명을 다하지 못하게 하거나, 모든 인간적인 예속을 가져오는 가장 심각한 노예 상태, 곧 죄에서 인간을 해방시키기 위하여(301) 오셨다.
550 Adventus Regni Dei profligatio est regni Satan: “Si autem in Spiritu Dei ego eicio daemones, igitur pervenit in vos Regnum Dei” (Mt 12,28). Iesu exorcismi homines a daemoniorum liberant dominio. Magnam Iesu anticipant victoriam super “principem huius mundi”. Per crucem Christi Regnum Dei definitive stabilietur: “Regnavit a ligno Deus”.
550 하느님 나라의 도래는 바로 사탄 나라의 패배이다.(302) “내가 하느님의 영으로 마귀들을 쫓아내는 것이면, 하느님의 나라가 이미 너희에게 와 있는 것이다”(마태 12,28). 예수님의 구마(驅魔)는 사람들을 마귀의 지배에서 해방시킨다.(303) 이것은 “이 세상의 우두머리”에(304) 대한 예수님의 위대한 승리를 미리 보여 주는 것이다. 하느님 나라는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통해서 결정적으로 세워질 것이다. “하느님께서 나무로 세상을 다스리셨네.”(305)

“Claves Regni”

‘하늘 나라의 열쇠’

551 Iesus, ab initio Suae vitae publicae, viros duodecim numero elegit ut cum Ipso essent et Suam participarent missionem. Eis in Sua auctoritate partem tribuit “et misit illos praedicare Regnum Dei et sanare infirmos” (Lc 9,2). In perpetuum Regno Christi manent associati, quia Ipse per illos Ecclesiam dirigit:
551 예수님께서는 공생활을 시작하시면서, 당신과 함께 머물며 당신의 사명에 동참할 열두 사람을 선택하셨다.(306) 예수님께서는 그들에게 당신의 권한을 나누어 주시고 “하느님의 나라를 선포하고 병자들을 고쳐 주라고 보내셨다”(루카 9,2). 그리스도께서 그들을 통해 교회를 인도하시므로, 그들은 영원히 그리스도의 나라에 동참하고 있다.
“Ego dispono vobis, sicut disposuit mihi Pater meus Regnum, ut edatis et bibatis super mensam meam in Regno meo, et sedeatis super thronos iudicantes duodecim tribus Israel” (Lc 22,29-30).
“내 아버지께서 나에게 나라를 주신 것처럼 나도 너희에게 나라를 준다. 그리하여 너희는 내 나라에서 내 식탁에 앉아 먹고 마실 것이며, 옥좌에 앉아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심판할 것이다”(루카 22,29-30).
552 In Duodecim collegio, Simon Petrus primum habet locum. Iesus illi missionem credidit unicam. Vi revelationis a Patre procedentis, Petrus confessus erat: “Tu es Christus, Filius Dei vivi” (Mt 16,16). Tunc Dominus noster illi declaraverat: “Tu es Petrus, et super hanc petram aedificabo Ecclesiam meam; et portae inferi non praevalebunt adversus eam” (Mt 16,18). Christus, “Lapis vivus”, Ecclesiae Suae super Petrum aedificatae victoriam de mortis asseverat potentiis. Petrus, ratione fidei quam confessus est, rupes Ecclesiae permanebit inconcussa. Missionem habebit hanc fidem custodiendi ne unquam deficiat, fratresque in ea confirmandi.
552 이 열둘의 사도단 가운데 시몬 베드로가 첫째 자리를 차지한다.(307) 예수님께서는 그에게 유일한 임무를 맡기셨다. 성부의 계시에 힘입어 베드로는 “스승님은 살아 계신 하느님의 아드님 그리스도이십니다.”(마태 16,16) 하고 고백했다. 이에 우리 주님께서는 그에게 “너는 베드로이다.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울 터인즉, 저승의 세력도 그것을 이기지 못할 것이다.”(마태 16,18) 하고 선언하셨다. “살아 있는 돌”이신(308) 그리스도께서는 베드로 위에 세우신 당신 교회에게 죽음의 세력에 대한 승리를 보장하신다. 베드로는 그가 고백한 신앙 때문에 교회의 흔들리지 않는 반석으로 남을 것이다. 그는 어떤 쇠퇴로부터도 이 신앙을 보호하고, 형제들의 신앙을 굳세게 하는 사명을 맡게 될 것이다.(309)
553 Iesus Petro auctoritatem credidit specificam: “Tibi dabo claves Regni caelorum; et quodcumque ligaveris super terram, erit ligatum in caelis, et quodcumque solveris super terram, erit solutum in caelis” (Mt 16,19). “Potestas clavium” auctoritatem denotat ad domum Dei gubernandam, quae est Ecclesia. Iesus, “Pastor bonus” (Io 10,11), hoc confirmavit munus post Resurrectionem Suam: “Pasce oves meas” (Io 21,15-17). Potestas “ligandi et solvendi” auctoritatem significat ad absolvenda peccata, ad iudicia pronuntianda doctrinalia et ad decisiones disciplinares in Ecclesia sumendas. Iesus hanc Ecclesiae credidit auctoritatem per Apostolorum ministerium et peculiariter Petri, cui uni explicite claves credidit Regni.
553 예수님께서는 베드로에게 특별한 권한을 주셨다. “나는 너에게 하늘 나라의 열쇠를 주겠다. 그러니 네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매면 하늘에서도 매일 것이고, 네가 무엇이든지 땅에서 풀면 하늘에서도 풀릴 것이다”(마태 16,19). 이러한 ‘열쇠의 권한’은 하느님의 집, 곧 교회를 다스릴 권한을 가리킨다. “착한 목자”(요한 10,11)이신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신 뒤에 이 임무를 확인해 주셨다. “내 어린 양들을 돌보아라”(요한 21,15-17). ‘매고 푸는’ 권한은 죄를 용서하고 교의에 관한 판단을 선포하며, 교회의 규율에 관한 결정을 내리는 권한을 가리킨다. 예수님께서는 사도들의 직무를 통하여,(310) 특히 베드로의 직무를 통하여, 이 권한을 교회에 맡기셨다. 예수님께서는 분명 하느님 나라의 열쇠를 베드로에게만 맡기셨다.

Praegustatio Regni: Transfiguratio

하느님 나라를 미리 맛봄 - 거룩한 변모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