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SECUNDUM CREDO IN IESUM CHRISTUM, FILIUM DEI UNICUM ARTICULUS 4 IESUS CHRISTUS EST “PASSUS SUB PONTIO PILATO, CROCIFIXUS, MORTUUS, ET SEPULTUS"
교회 교리서

Tota Christi vita ad Patrem est oblatio

그리스도의 전 생애가 성부께 드리는 제물이다

606 Filius Dei qui descendit de caelo, non ut faciat voluntatem Suam sed voluntatem Eius qui misit Illum, “ingrediens mundum dicit: [...] Ecce venio [...] ut faciam, Deus, voluntatem Tuam; [...] in qua voluntate sanctificati sumus per oblationem corporis Christi Iesu in semel” (Heb 10,5-10). Filius a primo instanti Incarnationis Suae consilium divinae salutis amplectitur in Sua missione redemptrice: “Meus cibus est, ut faciam voluntatem Eius, qui misit me, et ut perficiam opus Eius” (Io 4,34). Iesu sacrificium “pro [peccatis] totius mundi” (1 Io 2,2) expressio est Suae amoris communionis cum Patre: “Propterea me Pater diligit, quia ego pono animam meam” (Io 10,17). Oportet “ut cognoscat mundus quia diligo Patrem, et sicut mandatum dedit mihi Pater, sic facio” (Io 14,31).
606 당신의 뜻을 이루려고 하늘에서 내려온 것이 아니라, 당신을 보내신 분의 뜻을 실천하려고 오신(462) “그리스도께서는 세상에 오실 때에 이렇게 말씀하셨습니다.…… ‘하느님! …… 저는 당신의 뜻을 이루러 왔습니다.’…… 이 ‘뜻’에 따라, 예수 그리스도의 몸이 단 한 번 바쳐짐으로써 우리가 거룩하게 되었습니다”(히브 10,5-10). 성자께서는 강생하신 첫 순간부터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당신 구속 사명 안에 받아들이신다. “내 양식은 나를 보내신 분의 뜻을 실천하고, 그분의 일을 완수하는 것이다”(요한 4,34). “온 세상의 죄를 위한 속죄 제물이”(1요한 2,2) 되신 예수님의 제사는 성부와 이루는 사랑의 일치를 표현한다. “아버지께서는 내가 목숨을 내놓기 때문에 나를 사랑하신다”(요한 10,17). “내가 아버지를 사랑한다는 것과 아버지께서 명령하신 대로 내가 한다는 것을 세상이 알아야 한다”(요한 14,31).
607 Hoc optatum amplectendi consilium amoris redemptivi Patris totam Iesu animat vitam, quia Eius passio redemptrix est Incarnationis Eius ratio: “Pater, salvifica me ex hora hac“” Sed propterea veni in horam hanc” (Io 12,27). “Calicem, quem dedit mihi Pater, non bibam illum“”” (Io 18,11). Et adhuc in cruce ante quam totum “consummatum est” (Io 19,30), dicit: “Sitio” (Io 19,28).
607 예수님 생애 전체는 성부의 구원하시는 사랑의 계획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원의로 가득 차 있다.(463) 속량을 위한 수난이 당신 강생의 이유이기 때문이다. “‘아버지, 이때를 벗어나게 해 주십시오.’ 하고 말할까요- 그러나 저는 바로 이때를 위하여 온 것입니다”(요한 12,27). “아버지께서 나에게 주신 이 잔을 내가 마셔야 하지 않겠느냐-”(요한 18,11) 그리고 또 십자가 위에서도 “다 이루어졌다.”(요한 19,30)고 하시기 전에 예수님께서는 “목마르다.”(요한 19,28)고 말씀하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