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10 “CREDO REMISSIONEM PECCATORUM”
교회 교리서

I. Unum Baptisma in remissionem peccatorum

I. 죄의 용서를 위한 유일한 세례

977 Dominus noster remissionem peccatorum ad fidem et Baptismum alligavit: “Euntes in mundum universum praedicate Evangelium omni creaturae. Qui crediderit et baptizatus fuerit, salvus erit” (Mc 16,15-16). Baptismus est primum et praecipuum sacramentum remissionis peccatorum, quia ipse nos cum Christo coniungit mortuo propter nostra peccata et resuscitato propter nostram iustificationem, ut “in novitate vitae ambulemus” (Rom 6,4).
977 우리 주님께서는 죄의 용서를 신앙과 세례에 연결시키셨다. “너희는 온 세상에 가서 모든 피조물에게 복음을 선포하여라. 믿고 세례를 받는 이는 구원을 받을 것이다”(마르 16,15-16). 세례는 우리 잘못 때문에 돌아가셨다가 우리를 의롭게 하시려고 부활하신(546) 그리스도와 우리를 결합시켜 “우리도 새로운 삶을 살아가게”(로마 6,4) 하는 죄의 용서를 위한 첫째가는 가장 주요한 성사이다.
978 “Venia, cum primum fidem profitentes sacro baptismo abluimur, adeo cumulate nobis datur, ut nihil aut culpae delendum, sive ea origine contracta, sive quid propria voluntate omissum vel commissum sit, aut poenae persolvendum relinquatur. Verum per baptismi gratiam nemo tamen ab omni naturae infirmitate liberatur: quin potius, [...] unicuique adversus concupiscentiae motus, quae nos ad peccata incitare non desinit, pugnandum” est.
978 “우리를 정화하는 세례를 받으면서, 우리가 처음 신앙 고백을 할 때에 받는 용서는 아주 충만하고 전적인 것이어서, 원죄나 우리 자신의 의지로 지은 죄나 또 그 죄들을 속죄하기 위해 받아야 할 어떤 벌도 남지 않게 된다.……그렇다고 해도 세례의 은총은 본성의 모든 나약함에서 누구도 해방시켜 주지는 않는다. 오히려 우리는 아직도 우리를 끊임없이 악으로 이끌어 가는 사욕(邪慾)의 충동과 싸워야 한다.”(547)
979 Quis, in hoc proelio cum inclinatione ad malum, sat esset strenuus et vigilans ad omne vulnus peccati vitandum“” “Cum igitur necesse fuerit in Ecclesia potestatem esse peccata remittendi alia etiam ratione quam baptismi sacramento, claves regni caelorum illi concreditae sunt, quibus possint unicuique paenitenti, etiam si usque ad extremum vitae diem peccasset, delicta condonari”.
979 악으로 기우는 이 경향과의 싸움에서 어느 누가 과연 모든 죄의 상처들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굳세고 조심성이 있다 하겠는가- “그러므로 교회가 죄를 용서하는 능력을 가져야 한다면,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께 받은 하늘 나라의 열쇠를 사용하는 일에서 세례 이외의 다른 방법이 더 필요하다. 교회는 회개하는 모든 사람에게,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죄를 지어 온 사람들에게도, 그들의 죄를 용서해 줄 능력이 있어야 한다.”(548)
980 Per Paenitentiae sacramentum, baptizatus potest cum Deo et cum Ecclesia reconciliari:
980 세례 받은 사람은 고해성사를 통하여 하느님과 교회와 화해할 수 있다.
“Merito Paenitentia "laboriosus quidam Baptismus" a sanctis Patribus dictus [...] [est]. Est autem hoc sacramentum Paenitentiae lapsis post Baptismum ad salutem necessarium, ut nondum regeneratis ipse Baptismus”.
교부들이 고해를 “수고스러운 세례”라고(549) 부른 것은 합당한 것이었다. 세례가 아직 새로 나지 않은 사람들에게 필요한 것처럼 고해성사는 세례를 받은 후 죄에 떨어진 사람들의 구원에 필요하다.(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