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12 “CREDO VITAM AETERNAM”
교회 교리서

ARTICULUS 12 “CREDO VITAM AETERNAM”

제12절 “영원한 삶을 믿나이다”

1020 Christianus qui suam propriam mortem cum illa Iesu coniungit, mortem videt tamquam adventum ad Ipsum et ingressum in vitam aeternam. Cum Ecclesia ultimo super morientem christianum verba veniae absolutionis Christi dixerit, ultimo unctione roboranti eum signaverit eique Christum in viatico tamquam alimentum pro itinere dederit, eum cum dulci alloquitur securitate:
1020 그리스도인은 자신의 죽음을 예수님의 죽음과 연결 지으며, 죽음을 예수님께 나아가는 것으로, 영원한 생명으로 들어가는 것으로 여긴다. 교회는 죽음을 앞둔 그리스도인에게 죄를 용서해 주시는 그리스도의 사죄 말씀을 마지막으로 들려주고, 힘을 북돋우는 도유(塗油)로 날인하며, 여행을 위한 양식인 노자 성체로 그리스도를 모시게 하며, 다음과 같이 평안을 빌어 준다.
“Proficiscere, anima christiana, de hoc mundo, in nomine Dei Patris omnipotentis, qui te creavit, in nomine Iesu Christi Filii Dei vivi, qui pro te passus est, in nomine Spiritus Sancti, qui in te effusus est; hodie sit in pace locus tuus et habitatio tua apud Deum in sancta Sion, cum sancta Dei Genetrice Virgine Maria, cum sancto Ioseph, et omnibus angelis et sanctis Dei. [...] Ad auctorem tuum, qui te de limo terrae formavit, revertaris. Tibi itaque egredienti de hac vita sancta Maria, angeli et omnes sancti occurrant. [...] Redemptorem tuum facie ad faciem videas et contemplatione Dei potiaris in saecula saeculorum”.
하느님, 그리스도를 믿는 이 영혼이 이제 세상을 떠나려 하나이다.
이 영혼을 창조하신 전능하신 천주 성부님, 이 영혼을 받아들이소서.
이 영혼을 위하여 수난하신 천주 성자 예수 그리스도님, 이 영혼을 받아들이소서.
이 영혼을 찾아오신 천주 성령님, 이 영혼을 받아들이소서.
오늘 이 영혼에게 평화를 주시고,
거룩한 시온에서 주님을 우러러 뵈오며 길이 살게 하소서.
천주의 성모 동정 마리아와 성 요셉과 모든 천사와 성인과 함께
영원한 행복을 누리게 하소서.……
일찍이 흙으로 만드신 이 교우를 주님께 돌아가게 하소서.
성모 마리아와 모든 천사와 성인들이
세상을 떠나 주님께로 돌아가는 이 교우를
즐거이 맞아들이게 하소서.……
구세주이신 주님을 뵈오며
영원히 하느님을 직접 뵈옵게 하소서.(605)

I. Iudicium particulare

I. 개별 심판

1021 Mors vitae hominis imponit finem tamquam tempori aperto acceptationi vel reiectioni gratiae divinae in Christo manifestatae. Novum Testamentum de iudicio loquitur praecipue in prospectu finalis occursus cum Christo in Eius secundo Adventu, sed pluries etiam retributionem uniuscuiusque immediate post mortem affirmat in relatione cum eius operibus eiusque fide. Parabola pauperis Lazari et verbum Christi in cruce ad bonum latronem, sicut alii Novi Testamenti textus loquuntur de ultima animae sorte, quae diversa pro aliis et aliis esse potest.
1021 죽음은 그리스도 안에 드러난 하느님의 은총을 받아들이거나 거부할 수 있는 시간인 인생에 끝을 맺는다.(606) 신약 성경은 심판을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 그분과의 마지막 만남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주로 이야기하지만, 각자가 죽은 뒤 곧바로 자신의 행실과 믿음에 따라 대가를 치르게 된다는 것도 반복하여 천명한다. 불쌍한 라자로의 비유,(607) 십자가 위에서 회개한 죄수에게 하신 말씀,(608) 그 밖에 다른 여러 대목들은(609)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를 수 있는 영혼의 궁극적 운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610)
1022 Singuli homines inde a morte sua retributionem suam aeternam in sua immortali recipiunt anima in iudicio particulari quod eorum vitam refert Christo sive per purificationem sive ad immediate in beatitudinem caeli ingrediendum sive ad se immediate in aeternum damnandum.
1022 각 사람은 죽자마자 자신의 삶을 그리스도께 셈 바치는 개별 심판으로 그 불멸의 영혼 안에서 영원한 갚음을 받게 된다. 이러한 대가는 정화를 거치거나,(611) 곧바로 하늘의 행복으로 들어가거나,(612) 곧바로 영원한 벌을 받는 것이다.(613)
“Ad vesperum te de amore examinabunt”.
우리의 삶이 저물었을 때 우리는 사랑에 대하여 심판을 받을 것입니다.(614)

II. Caelum

II. 천국

1023 Illi qui in gratia et amicitia moriuntur Dei et qui perfecte sunt purificati, in aeternum cum Christo vivunt. In aeternum sunt similes Deo quia Eum vident “sicuti est” (1 Io 3,2), “facie ad faciem” (1 Cor 13,12):
1023 하느님의 은총과 사랑을 간직하고 죽은 사람들과 완전히 정화된 사람들은 그리스도와 함께 영원히 살게 된다. 그들은 하느님을 “있는 그대로”(1요한 3,2) “얼굴과 얼굴을 마주”(1코린 13,12)(615) 보기 때문에 영원히 하느님을 닮게 될 것이다.
“Auctoritate apostolica diffinimus: quod secundum communem Dei ordinationem animae sanctorum omnium [...] et aliorum fidelium defunctorum post sacrum ab eis Christi Baptisma susceptum, in quibus nihil purgabile fuit, quando decesserunt, [...] vel si tunc fuerit aut erit aliquid purgabile in eisdem, cum post mortem suam fuerint purgatae [...] etiam ante resumptionem suorum corporum et iudicium generale post Ascensionem Salvatoris Domini nostri Iesu Christi in caelum, fuerunt, sunt et erunt in caelo, caelorum Regno et paradiso caelesti cum Christo, sanctorum angelorum consortio congregatae, ac post Domini Iesu Christi passionem et mortem viderunt et vident divinam essentiam visione intuitiva et etiam faciali, nulla mediante creatura”.
사도들에게서 이어받은 권위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정의를 내린다. 곧, 하느님의 보편적인 안배에 따라 모든 성인의 영혼과……다른 모든 죽은 신자들, 그리스도의 거룩한 세례를 받고 죽은 사람들로서 그들이 죽을 때 더 이상 정화할 것이 없었거나……나아가 정화해야 할 것이 과거에 있었거나 정화할 것을 지닌 채 죽었어도 죽은 후에 온전히 정화된 영혼들은……그들의 육체 안에서 부활하기 전에, 그리고 최후의 심판 전에, 그리고 우리 주님이시며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승천하신 후부터 이미 그리스도와 함께 하늘, 하늘 나라, 하늘 낙원에서 거룩한 천사들의 모임에 받아들여졌으며, 받아들여지고 있고, 받아들여질 것이다. 주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과 죽음 이후로 이 영혼들은 어떠한 피조물도 거치지 않고 지복 직관으로, 얼굴을 맞대고 신적 본질을 보았고, 보고 있다.(616)
1024 Haec vita perfecta cum Sanctissima Trinitate, haec communio vitae cum Ea, cum Maria Virgine, angelis et omnibus beatis “caelum” appellatur. Caelum finis est ultimus et adimpletio profundissimarum appetitionum hominis, status supremae et definitivae beatitudinis.
1024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하느님과 함께하는 이 완전한 삶, 곧 성삼위와 동정 마리아와 천사들과 모든 복되신 분들과 함께하는 생명과 사랑의 이 친교를 ‘천국’이라고 부른다. 천국은 인간의 궁극적 목적이며, 가장 간절한 열망의 실현이고, 가장 행복한 결정적 상태이다.
1025 In caelo vivere est “cum Christo esse”. Electi “in Ipso” vivunt, sed ibi servant, immo inveniunt suam propriam identitatem, suum proprium nomen:
1025 천국에서 사는 것은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이다.(617) 뽑힌 이들은 ‘그리스도 안에’ 살지만 그들이 그곳에서 자신들의 참된 신원과 자신들 본래의 이름을 간직하며, 간직한다기보다는 오히려 발견한다고 할 수 있다.(618)
“Vita est enim esse cum Christo, quia ubi Christus ibi Regnum”.
산다는 것은 그리스도와 함께 있는 것입니다. 그리스도께서 계신 곳에 생명이 있고 하늘 나라가 있습니다.(619)
1026 Iesus Christus, per Suam Mortem Suamque Resurrectionem nobis caelum “aperuit”. Beatorum vita in plena possessione consistit fructuum Redemptionis peractae a Christo qui Suae glorificationi caelesti illos consociat qui in Eum crediderunt et qui Eius voluntati permanserunt fideles. Caelum beata est communitas omnium eorum qui Ei perfecte sunt incorporati.
1026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의 죽음과 부활을 통하여 우리에게 천국을 ‘열어’ 주셨다. 천국의 복된 사람들의 삶은 그리스도께서 이루신 구원의 결과를 완전히 차지하는 데 있으니,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을 믿고 당신의 뜻을 끝까지 충실하게 지켜 온 사람들을 하늘의 당신 영광에 참여시키신다. 천국은 그리스도와 온전히 한 몸이 된 모든 사람의 복된 공동체이다.
1027 Hoc mysterium beatae communionis cum Deo et cum omnibus illis qui in Christo sunt, omnem comprehensionem superat et repraesentationem omnem. Scriptura nobis de illa loquitur in imaginibus: vita, lux, pax, nuptiale convivium, vinum Regni, domus Patris, Ierusalem caelestis, paradisus: “Quod oculus non vidit, nec auris audivit, nec in cor hominis ascendit, quae praeparavit Deus his, qui diligunt Illum” (1 Cor 2,9).
1027 그리스도 안에 있는 모든 사람과 하느님 사이에 이루어지는 복된 친교의 이 신비는 모든 이해와 표현을 초월한다. 성경은 이를 생명, 빛, 평화, 혼인 잔치, 하늘 나라의 포도주, 아버지의 집, 천상 예루살렘, 낙원 등 비유적인 표상들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해 준다. “어떠한 눈도 본 적이 없고 어떠한 귀도 들은 적이 없으며, 사람의 마음에도 떠오른 적이 없는 것들을, 하느님께서는 당신을 사랑하는 이들을 위하여 마련해 두셨다”(1코린 2,9).
1028 Deus, propter Suam transcendentiam, non potest sicuti est videri nisi cum Ipse Suum mysterium immediatae aperit contemplationi hominis illique Ipse capacitatem praebet. Haec Dei contemplatio in Eius gloria caelesti ab Ecclesia “visio beatifica” appellatur:
1028 하느님께서는 초월적인 분이시기 때문에, 당신 스스로 인간이 직접 볼 수 있도록 당신의 신비를 드러내 보이시거나 인간에게 그러한 능력을 주실 때에만 그 참모습이 보이는 것이다. 이처럼 천상 영광 안의 하느님을 뵙는 것을 교회는 ‘지복 직관’(至福直觀)이라고 부른다.
“Quae erit gloria et quanta laetitia admitti ut Deum videas, honorari ut cum Christo Domino Deo tuo salutis ac lucis aeternae gaudium capias, [...] cum iustis et Dei amicis in Regno caelorum datae immortalitatis voluptate gaudere”.
하느님을 뵙고, 당신의 하느님 주 그리스도와 함께 구원과 영원한 빛의 기쁨에 참여하는 영예를 누리며……하늘 나라에서 의인들과 하느님의 벗들과 함께 불멸의 기쁨을 얻어 누리는 것이 어찌 영광과 행복이 아닐 수 있겠습니까-(620)
1029 In caeli gloria, beati gaudenter voluntatem Dei implere pergunt relate ad alios homines et ad universam creationem. Iam illi cum Christo regnant; cum Eo “regnabunt in saecula saeculorum” (Apc 22,5).
1029 지복을 누리는 사람들은 하늘의 영광 안에서 다른 사람들과 피조물 전체에 대한 하느님의 뜻을 기쁘게 계속 수행한다. 그들은 이미 그리스도와 함께 다스리고 있으며, 그리스도와 함께 “영원무궁토록 다스릴 것이다”(묵시 22,5).(621)

III. Finalis purificatio seu purgatorium

III. 마지막 정화 - 연옥

1030 Illi qui in gratia et amicitia Dei, sed imperfecte purificati, moriuntur, quamquam suae aeternae salutis sunt certi, post suam mortem patiuntur purificationem, ut sanctitatem acquirant necessariam ad caeli gaudium ingrediendum.
1030 하느님의 은총과 사랑 안에서 죽었으나 완전히 정화되지 않은 사람들은 영원한 구원이 보장되기는 하지만, 하늘의 기쁨으로 들어가기에 필요한 거룩함을 얻으려면 죽은 다음에 정화를 거쳐야 한다.
1031 Ecclesia purgatorium hanc finalem appellat electorum purificationem quae prorsus a damnatorum poena est diversa. Ecclesia doctrinam fidei relate ad purgatorium formulavit, praecipue in Conciliis Florentino et Tridentino. Ecclesiae Traditio, se ad quosdam Scripturae textus referens, de igne loquitur purificatorio:
1031 교회는 선택된 이들이 거치는 이러한 정화를 연옥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단죄받은 이들이 받는 벌과는 전혀 다르다. 교회는 연옥에 관한 신앙 교리를 특히 피렌체 공의회와(622) 트리엔트 공의회에서(623) 확정하였다. 교회의 전승은 성경의 어떤 대목들을(624) 참고하여 정화하는 불에 대해 이야기한다.
“De quibusdam levibus culpis esse ante iudicium purgatorius ignis credendus est, pro eo quod veritas dicit quia si quis in Sancto Spiritu blasphemiam dixerit, neque in hoc saeculo remittetur ei, neque in futuro (Mt 12,32). In qua sententia datur intelligi quasdam culpas in hoc saeculo, quasdam vero in futuro posse laxari”.
성령을 거슬러 말하는 자는 현세에서도 내세에서도 용서받지 못할 것(마태 12,32)이라고 진리이신 분께서 말씀하신 것으로 보아, 가벼운 잘못을 저지른 사람들을 심판하기 전에 정화하는 불이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이 구절에서 우리는, 어떤 죄들은 현세에서 용서받을 수 있지만 다른 어떤 죄들은 내세에서 용서받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625)
1032 Haec doctrina etiam nititur praxi orationis pro defunctis, de qua iam sacra Scriptura loquitur: “Unde pro defunctis expiationem fecit [Iudas Maccabaeus], ut a peccato solverentur” (2 Mac 12,46). Inde a prioribus temporibus, Ecclesia defunctorum memoriam est venerata et suffragia pro illis obtulit, maxime Sacrificium eucharisticum, ut purificati ad visionem beatificam Dei possent pervenire. Ecclesia etiam eleemosynas, indulgentias et opera paenitentiae commendat pro defunctis:
1032 이러한 가르침은 성경에서 이미 말하고 있는 죽은 이들을 위한 기도의 관습에도 그 근거를 두고 있다. “(유다 마카베오가) 죽은 이들을 위하여 속죄를 한 것은 그들이 죄에서 벗어나게 하려는 것이었다”(2마카 12,45). 교회는 초기부터 죽은 이들을 존중하고 기념하였으며, 그들을 위해 기도하며 특히 미사성제를 드렸다.(626) 그것은 그들이 정화되어 지복 직관에 다다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교회는 죽은 이들을 위한 자선과 대사(大赦)와 보속도 권한다.
“Eis ergo opem feramus, et commemorationem eorum peragamus. Si enim Iobi filios expiabat patris sacrificium: quid dubitas, an nobis pro eis qui excesserunt offerentibus, ipsis detur aliqua consolatio- [...] Ne nos pigeat opem ferre iis qui excesserunt, et pro eis offerre preces”.
그들을 도와주고, 그들을 기억합시다. 욥의 아들들이 아버지의 번제로 정화되었다면,(627) 죽은 이들을 위한 우리의 봉헌 제물이 그들에게 위로를 준다는 것을 왜 의심하겠습니까- 주저하지 말고 세상을 떠난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그들을 위해 기도드립시다.(628)

IV. Infernus

IV. 지옥

1033 Non possumus Deo esse uniti nisi libere Eum diligere eligamus. Sed Deum diligere non possumus, si contra Eum, contra nostrum proximum vel contra nosmetipsos graviter peccemus: “Qui non diligit, manet in morte. Omnis, qui odit fratrem suum, homicida est, et scitis quoniam omnis homicida non habet vitam aeternam in semetipso manentem” (1 Io 3,14-15). Dominus noster nos monet nos ab Eo separatos fore, si necessitatibus gravibus occurrere omittamus pauperum et parvulorum qui Eius sunt fratres. In peccato mortali mori quin nos huius paeniteat et quin amorem Dei excipiamus misericordem, significat ab Eo in aeternum propter nostram propriam liberam electionem manere separatos. Hic status definitivae exclusionis sui ipsius (“auto-exclusionis”) a communione cum Deo et cum beatis denotatur verbo “infernus”.
1033 우리가 하느님을 사랑하기로 자유로이 선택하지 않는 한 우리는 그분과 결합될 수 없다. 그러나 우리가 하느님이나 이웃이나 우리 자신에 대해 중한 죄를 짓는다면 하느님을 사랑할 수 없다. “사랑하지 않는 자는 죽음 안에 그대로 머물러 있습니다. 자기 형제를 미워하는 자는 모두 살인자입니다. 그리고 여러분도 알다시피, 살인자는 아무도 자기 안에 영원한 생명을 지니고 있지 않습니다”(1요한 3,14-15). 우리 주님께서는 만일 우리가 그분의 형제들인 가난한 사람들과 보잘것없는 사람들에게 절박하게 필요한 것들을 도와주기를 소홀히 한다면 당신과 갈라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하신다.(629) 죽을죄를 뉘우치지 않고 하느님의 자비로우신 사랑을 받아들이지 않은 채 죽는 것은 곧 영원히 하느님과 헤어져 있겠다고 우리 자신이 자유로이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지옥’이라는 말은 이처럼 하느님과 또 복된 이들과 이루는 친교를 결정적으로 ‘스스로 거부한’ 상태를 일컫는다.
1034 Iesus saepe loquitur de “gehenna” ignis inextinguibilis, illis reservata qui usque ad suae vitae finem credere et converti recusant, et ubi simul anima et corpus perdi possunt. Iesus verbis annuntiat gravibus: “Mittet Filius hominis angelos Suos, et colligent de Regno Eius [...] eos, qui faciunt iniquitatem, et mittent eos in caminum ignis” (Mt 13,41-42), et Ipse condemnationem pronuntiabit: “Discedite a me, maledicti, in ignem aeternum!” (Mt 25,41).
1034 예수님께서는 믿고 회개하기를 끝까지 거부하는 사람들이 가게 되는 꺼지지 않는 불이(630) 타고 있는 ‘지옥’(Gehenna)에 대해 자주 말씀하신다. 그곳에서는 영혼과 육신이 함께 멸망하게 된다.(631) 예수님께서는 “사람의 아들이 자기 천사들을 보낼 터인데, 그들은 그의 나라에서……불의를 저지르는 자들을 거두어, 불구덩이에 던져 버릴 것이다.”(마태 13,41-42) 하고 엄숙히 선언하시며, “저주받은 자들아, 나에게서 떠나……영원한 불 속으로 들어가라!”(마태 25,41) 하고 단죄하실 것이다.
1035 Doctrina Ecclesiae exsistentiam inferni eiusque affirmat aeternitatem. Animae eorum qui in statu moriuntur peccati mortalis, immediate post mortem in inferos descendunt ubi poenas patiuntur inferni, “ignem aeternum”. Praecipua inferni poena consistit in aeterna separatione a Deo in quo solummodo potest homo vitam et beatitudinem habere pro quibus creatus est et quas cupit.
1035 교회는 지옥의 존재와 그 영원함을 가르친다. 죽을죄의 상태에서 죽는 사람들의 영혼은 죽은 다음 곧바로 지옥으로 내려가며, 그곳에서 지옥의 고통, 곧 “영원한 불”의(632) 고통을 겪는다. 지옥의 주된 고통은, 인간이 창조된 목적이며 인간이 갈망하는 생명과 행복을 주시는 유일한 분이신 하느님과 영원히 단절되는 것이다.
1036 Affirmationes sacrae Scripturae et doctrina Ecclesiae relate ad infernum sunt vocatio ad responsabilitatem qua homo sua uti debet libertate intuitu suae aeternae sortis. Simul urgentem vocationem ad conversionem constituunt: “Intrate per angustam portam, quia lata est porta et spatiosa via, quae ducit ad perditionem, et multi sunt, qui intrant per eam; quam angusta porta et arta via, quae ducit ad vitam, et pauci sunt, qui inveniunt eam!” (Mt 7,13-14).
1036 지옥에 대한 성경의 단언과 교회의 가르침은, 인간 자신의 영원한 운명을 위하여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자유를 사용하라는 호소이다. 그리고 동시에 그것은 회개하라는 절박한 호소이기도 하다. “너희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으로 이끄는 문은 넓고 길도 널찍하여 그리로 들어가는 자들이 많다. 생명으로 이끄는 문은 얼마나 좁고 또 그 길은 얼마나 비좁은지, 그리로 찾아드는 이들이 적다”(마태 7,13-14).
“Cum vero nesciamus diem neque horam, monente Domino, constanter vigilemus oportet, ut, expleto unico terrestris nostrae vitae cursu, cum Ipso ad nuptias intrare et cum benedictis connumerari mereamur, neque sicut servi mali et pigri iubeamur discedere in ignem aeternum, in tenebras exteriores ubi erit fletus et stridor dentium”.
주님의 경고대로 우리는 그날과 그 시간을 모르므로 언제나 깨어 있어야 한다. 그리하여 단 한 번뿐인 우리 지상 생활의 여정을 마친 다음에 주님과 함께 혼인 잔치에 들어가 축복받은 이들과 함께 헤아려질 수 있을 것이며, 악하고 게으른 종들처럼 영원한 불 속으로 들어가라거나 바깥 어둠 속에 내쫓아 거기에서 절치 통곡하게 하라는 명령을 듣지 않을 것이다.(633)
1037 Deus neminem praedestinat ut in infernum eat; ad hoc enim requiruntur aversio a Deo voluntaria (peccatum mortale) et in illa usque ad finem persistere. Ecclesia, in liturgia eucharistica et in suorum fidelium orationibus quotidianis, misericordiam implorat Dei qui non vult “aliquos perire, sed omnes ad paenitentiam reverti” (2 Pe 3,9):
1037 하느님께서는 아무도 지옥에 가도록 예정하지 않으신다.(634) 자유 의사로 하느님께 반항하고(죽을죄를 짓고) 끝까지 그것을 고집함으로써 지옥에 가게 되는 것이다. 미사 전례와 신자들의 일상 기도를 통하여 교회는 “아무도 멸망하지 않고 모두 회개하기를”(2베드 3,9) 바라시는 하느님의 자비를 빈다.
맨 처음이전 1 2 3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