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9 “CREDO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교회 교리서

ARTICULUS 9 “CREDO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제9절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와 모든 성인의 통공을 믿나이다”

748 “Lumen gentium cum sit Christus, haec sacrosancta Synodus, in Spiritu Sancto congregata, omnes homines claritate Eius, super faciem Ecclesiae resplendente, illuminare vehementer exoptat, omni creaturae Evangelium annuntiando” His verbis aperitur “Constitutio dogmatica de Ecclesia” Concilii Vaticani II. Sic Concilium articulum fidei de Ecclesia plene ab articulis ostendit dependere qui ad Christum Iesum referuntur. Ecclesia aliud lumen non habet quam illud Christi; illa est aequiparabilis, secundum imaginem quae Patribus placet, lunae cuius totum lumen est solis reverberatio.
748 “인류의 빛은 그리스도이시다. 그러므로 성령 안에 모인 이 거룩한 공의회는 모든 사람에게 복음을 선포하며, 모든 사람을 교회의 얼굴에서 빛나는 그리스도의 빛으로 비추어 주기를 간절히 염원한다.”(120)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은 이렇게 시작한다. 이로써 공의회는 교회에 대한 신조가 그리스도 예수님에 대한 신조에 전적으로 종속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빛 말고 다른 빛을 가지고 있지 않다. 교회는 교부들이 즐겨 사용한 비유처럼 오로지 태양의 빛을 반사하기만 하는 달과 같다.
749 Articulus de Ecclesia etiam plene ab illo de Spiritu Sancto dependet qui eum praecedit. “Quia cum iam demonstratum sit Spiritum Sanctum omnis sanctitatis fontem et largitorem esse, nunc ab Eodem Ecclesiam sanctitate donatam confitemur”Ecclesia, secundum Patrum expressionem, locus est “ubi floret Spiritus”
749 교회에 관한 신조는 또한 그 신조에 앞서 있는 성령에 관한 신조에 전적으로 종속되어 있다. “성령께서 모든 거룩함의 근원이며 거룩함을 주시는 분이라는 것을 설명하였으니, 이제 우리는 교회에 거룩함을 주신 분이 성령이시라는 것을 고백한다.”(121) 교부들의 표현대로 교회는 “성령께서 피어나는 곳”(122) 이다.
750 Credere Ecclesiam “Sanctam” esse et “Catholicam” illamque esse “Unam” et “Apostolicam” (sicut Symbolum Nicaenum-Constantinopolitanum adiungit) inseparabile est a fide in Deum Patrem et Filium et Spiritum Sanctum. In Symbolo Apostolico profitemur nos credere sanctam Ecclesiam (“Credo [...] Ecclesiam” et non in Ecclesiam, ne Deum Eiusque confundamus opera et ut clare bonitati attribuamus Dei omnia dona quae Ipse in Sua posuit Ecclesia.
750 교회가 ‘거룩하고’, ‘보편되며’, 그리고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 덧붙였듯이) ‘하나이고’,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임을 믿는 것은 성부, 성자, 성령이신 하느님에 대한 신앙과 분리될 수 없다. 사도신경에서 우리는 거룩한 교회를 믿는다고 고백하지만 하느님을 믿는 것처럼 교회를 믿는 것은 아니다(라틴 말에서는 “Credo in Deum”과 “Credo Ecclesiam”으로 분명히 구별하였다). 우리는 하느님과 그분의 업적을 혼동하지 말아야 하며, 하느님께서 교회 안에 내리신 모든 선물이 하느님의 선에서 오는 것임을 분명히 하여야 한다.(123)

Paragraphus 1 ECCLESIA IN CONSILIO DEI

제1단락 하느님 계획 안의 교회

I. Ecclesiae nomina et imagines

I. 교회의 이름과 표상들

751 Verbum “Ecclesia”[\\\, e verbo graeco, \\\, vocare ex] “convocationem ”significat. Congregationem denotat populi, generatim indolis religiosae. Hoc verbum frequenter a Vetere Testamento graeco adhibetur pro congregatione populi electi ante Deum, praecipue pro congregatione Sinai ubi Israel Legem accepit et a Deo tamquam Eius populus sanctus constitutus est. Se “Ecclesiam”appellans, prima communitas eorum qui in Christum credebant, huius congregationis se agnoscebat heredem. In ea Deus populum Suum ex omnibus terrae “convocat” finibus. Verbum \\\, ex quo Church, Kirche derivantur, significat “illam quae ad Dominum pertinet”
751 ‘교회’(라틴 말 Ecclesia는 그리스 말의 ek-kalein ‘밖으로 부르다’에서 나옴)라는 말은 ‘불러 모음’을 뜻한다. 이 단어는 일반적으로 종교적인 성격을 지닌 백성의 집회를 가리킨다.(124) 이것은 그리스 말 구약 성경에서 하느님 앞에 모인 선택된 백성들의 집회, 특히 이스라엘이 하느님의 율법을 받아 하느님의 거룩한 백성으로 세워진 시나이 산의 집회에 자주 사용된 용어이다.(125)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의 초기 공동체는 스스로를 ‘교회’(Ecclesia)라고 부름으로써 자신들이 그 집회의 계승자임을 자처한다. 하느님께서는 세상의 모든 극변에 이르기까지 당신의 백성을 교회로 ‘불러 모으신다.’ Church(영어), Kirche(독일어)의 어원인 그리스 말 Kyriake는 ‘주님께 속한 모임’을 의미한다.
752 In sermone christiano, verbum “Ecclesia” congregationem denotat liturgicam, sed etiam communitatem localem et totam communitatem universalem credentium. Hae tres significationes de facto sunt inseparabiles. “Ecclesia” est populus quem Deus congregat ex mundo universo. Ipsa in communitatibus exsistit localibus et tamquam congregatio liturgica, praecipue eucharistica, ducitur in rem. Ex verbo et ex corpore vivit Christi et sic ipsa corpus Christi fit.
752 그리스도교 용어로 볼 때 ‘교회’는 전례적 집회를 가리키지만,(126) 또한 지역 신자 공동체를 가리키거나(127) 온 세계 신자 공동체 전체를 가리키기도 한다.(128) 사실 이러한 세 가지의 의미는 서로 뗄 수 없는 것이다. ‘교회’는 하느님께서 온 세상에서 모으시는 백성이다. 교회는 지역 공동체 안에 존재하며, 전례의 거행, 특히 성체성사를 위한 전례적 모임으로 실현된다. 교회는 그리스도의 말씀과 성체로 살아, 스스로 그리스도의 몸이 된다.

Ecclesiae symbola

교회의 상징들

753 In sacra Scriptura, multitudinem invenimus imaginum et figurarum quae inter se connectuntur, per quas Revelatio de Ecclesiae mysterio loquitur inexhauribili. Imagines ex Vetere Testamento desumptae variationes constituunt eiusdem ideae illis subiacentis, ideae “populi Dei” In Novo Testamento, omnes hae imagines novum inveniunt centrum eo quod Christus “Caput” fit huius populi, qui exinde corpus est Eius. Circa hoc centrum imagines glomerantur “sive a vita pastorali vel ab agricultura, sive ab aedificatione aut etiam a familia et sponsalibus desumptae”
753 성경에는 교회의 깊은 신비를 말하기 위해 계시에서 사용되는 서로 연결된 수많은 표상들이 있다. 구약 성경은 ‘하느님의 백성’이라는 근본 개념을 드러내고자 여러 가지 표상을 사용하고 있다. 신약 성경에서 이 모든 표상은 새로운 구심점을 발견하게 되는데,(129) 이는 그리스도께서 이 백성의 ‘머리’가 되셨으며(130) 이제 그들은 그분의 몸이 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다. 이 구심점을 중심으로 “유목 생활이나 농사, 건축 또는 가정과 부부 생활”(131) 에서 빌려 온 표상들이 결집되어 있다.
754 “Est enim Ecclesia ovile, cuius ostium unicum et necessarium Christus est. Est etiam grex, cuius Ipse Deus pastorem Se fore praenuntiavit, et cuius oves, etsi a pastoribus humanis gubernantur, indesinenter tamen deducuntur et nutriuntur ab Ipso Christo, bono Pastore Principeque pastorum, qui vitam Suam dedit pro ovibus”
754 “교회는 양 우리이며 그 유일하고 반드시 필요한 문은 그리스도이시다.(132) 교회는 또한 양 떼이며, 하느님께서 친히 그 목자가 되시겠다고 예고하셨다.(133) 비록 그 양들이 인간 목자들의 다스림을 받지만, 착한 목자이시며 목자들의 으뜸이신 그리스도께서 끊임없이 그 양들을 기르시고 이끌어 주신다.(134) 그리스도께서는 양들을 위하여 당신 목숨을 바치셨다.(135) (136)
755 “Est Ecclesia agricultura seu ager Dei. In illo agro crescit antiqua oliva, cuius radix sancta fuerunt Patriarchae, et in qua Iudaeorum et gentium reconciliatio facta est et fiet. Ipsa plantata est a caelesti Agricola tamquam vinea electa. Vitis vera Christus est, vitam et fecunditatem tribuens palmitibus, scilicet nobis, qui per Ecclesiam in Ipso manemus, et sine quo nihil possumus facere”
755 “교회는 하느님의 농사 곧 하느님의 밭이다.(137) 그 밭에서 옛 올리브 나무가 자라고 있다. 성조들이 그 거룩한 뿌리이며, 거기에서 유다인들과 이방인들의 화해가 이루어졌고 또 이루어질 것이다.(138) 바로 그 밭을 천상의 농부께서 포도밭으로 선택하셨다.(139) 그리스도께서는 참된 포도나무이시며 그 가지들인 우리에게 생명을 주시고 많은 열매를 맺게 하신다. 우리는 교회를 통하여 그리스도 안에 머무르며, 그리스도를 떠나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다.(140) (141)
756 “Saepius quoque Ecclesia dicitur aedificatio Dei. Dominus Ipse Se comparavit lapidi, quem reprobaverunt aedificantes, sed qui factus est in caput anguli (Mt 21,42 et par; Act 4,11; 1 Pe 2,7; Ps 118,22). Super illud fundamentum Ecclesia ab Apostolis exstruitur, ab eoque firmitatem et cohaesionem accipit. Quae constructio variis appellationibus decoratur: domus Dei, in qua nempe habitat Eius familia, habitaculum Dei in Spiritu, tabernaculum Dei cum hominibus, et praesertim templum sanctum, quod in lapideis sanctuariis repraesentatum a sanctis Patribus laudatur, et in liturgia non immerito assimilatur Civitati sanctae, novae Ierusalem. In ipsa enim tamquam lapides vivi his in terris aedificamur. Quam sanctam Civitatem Ioannes contemplatur, in renovatione mundi descendentem de caelis a Deo, "paratam sicut sponsam ornatam viro suo" (Apc 21,1-2)”
756 “또 흔히 교회를 하느님의 건물이라고 한다.(142) 주님께서 친히 당신을 돌에 비겨, 집 짓는 이들이 버린 돌이 바로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다고(마태 21,42과 병행구; 사도 4,11; 1베드 2,7; 시편 118[117],22) 하셨다. 그 기초 위에서 교회가 사도들을 통하여 지어졌고,(143) 그 기초 때문에 교회는 견고한 결속력을 지닌다. 그 건물은 여러 가지 이름으로 꾸며진다. 하느님의 집,(144) 곧 하느님의 가족들이 살고 있는 곳, 하느님의 신령한 거처,(145) 하느님께서 사람들과 함께 계시는 장막,(146) 특히 거룩한 교부들이 찬미하는, 돌로 지은 지성소에서 표상되는 성전이라 불리며, 전례에서는 당연히 거룩한 도읍, 새 예루살렘에 비겨진다. 바로 그 안에서 우리는 이 세상의 살아 있는 돌로 쓰인다.(147) 그 거룩한 도읍이 새로운 세상에서 ‘신랑을 위하여 단장한 신부처럼 차리고’(묵시 21,1-2) 하느님께서 계시는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것을 요한은 보았다.”(148)
757 “Ecclesia etiam, "quae sursum est Ierusalem" et "Mater nostra" appellatur (Gal 4,26); describitur ut Sponsa immaculata Agni immaculati, quam Christus "dilexit, et Seipsum tradidit pro ea, ut illam sanctificaret" (Eph 5,25-26), quam Sibi Foedere indissolubili sociavit et indesinenter "nutrit et fovet" (Eph 5,29)”
757 “‘하늘의 예루살렘’인 교회는 또한 ‘우리 어머니’라고 불리며(갈라 4,26),(149) 순결한 어린양의 순결한 신부로 묘사된다.(150) 그리스도께서는 교회를 ‘사랑하시고 교회를 위하여 당신 자신을 바치신 것은……교회를 거룩하게 하시려는 것이다’(에페 5,25-26). 풀릴 수 없는 계약으로 교회를 당신과 결합시키시어 끊임없이 ‘가꾸고 보살피신다’(에페 5,29).”(151)

II. Origo, fundatio et missio Ecclesiae

II. 교회의 기원, 설립과 사명

758 Ad mysterium Ecclesiae scrutandum, oportet imprimis eius originem in consilio meditari Sanctissimae Trinitatis et eius progressivam in historia effectionem.
758 교회의 신비를 탐구하려면 먼저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의 계획 안에서 그 기원을 묵상하고, 역사 안에서 그 점진적인 실현을 묵상해야 한다.

Consilium in corde Patris ortum

성부의 심오한 계획

759 “Aeternus Pater, liberrimo et arcano sapientiae ac bonitatis Suae consilio, mundum universum creavit, homines ad participandam vitam divinam elevare decrevit ” ad quam omnes homines in Filio Suo appellat. “Credentes autem in Christum convocare statuit in sancta Ecclesia” Haec “familia Dei” constituitur et in rem gradatim ducitur per historiae humanae gressus secundum Patris dispositiones: revera, Ecclesia “iam ab origine mundi praefigurata, in historia populi Israel ac Foedere antiquo mirabiliter praeparata, in novissimis temporibus constituta, effuso Spiritu est manifestata, et in fine saeculorum gloriose consummabitur”
759 “영원하신 하느님 아버지께서는 당신 지혜와 자비의 지극히 자유롭고 심오한 계획으로 온 세상을 창조하시고, 인간을 들어 높여 신적 생명에 참여하게 하셨다.” 성부께서는 모든 사람들을 당신 아들 안에서 이 생명으로 부르셨으니, “그리스도를 믿는 이들을 거룩한 교회 안에 불러 모으기로 결정하셨다.” 이 ‘하느님의 가족’은 성부께서 세우신 계획에 따라서, 인류의 역사가 진행되는 가운데 점차로 형성되고 실현되어 간다. 사실 교회는, “세상이 생길 때부터 이미 예표되었고, 이스라엘 백성의 역사와 구약에서 오묘하게 준비되었고, 마지막 시대에 세워져 성령 강림으로 드러났으며, 세말에 영광스러이 완성될 것이다.”(152)

Ecclesia “iam ab origine mundi praefigurata”

세상이 생길 때부터 예시된 교회

760 “Mundus propter hanc [Ecclesiam] creatus est” dicebant christiani priorum temporum. Deus mundum creavit intuitu communionis in vita Sua divina, communionis quae efficitur per “convocationem” hominum in Christum, et haec “convocatio” Ecclesia est. Ecclesia finis est omnium, et ipsae dolorosae vicissitudines, sicut angelorum lapsus et hominis peccatum, permissae a Deo non fuerunt nisi ut occasio et medium ad totam Eius brachii extendendam virtutem, totam mensuram amoris quem mundo praebere volebat:
760 초기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은 교회를 위해 창조되었다.”(153) 고 말했다. 하느님께서는 당신의 생명에 참여하도록 세상을 창조하셨으며, 이 참여는 그리스도 안으로 사람들을 ‘불러 모음’으로써 실현되는데, 이 ‘불러 모음’이 바로 교회이다. 교회는 만물의 목적이며,(154) 천사의 타락이나 인간의 범죄와 같은 고통스러운 역경도, 하느님께서는 세상에 당신 팔의 힘을 펼치시어 완전한 사랑을 베풀기 위한 기회와 도구로서만 허락하셨다.
“Quemadmodum enim Eius voluntas est opus, et id mundus nominatur; ita etiam Eius propositum est hominum salus, et id vocatum est Ecclesia”
하느님의 의지에서 세상이 비롯되었듯이, 인간 구원이라는 하느님의 계획에서 교회가 비롯되었다.(155)

Ecclesia “in Vetere Foedere praeparata”

구약에서 준비된 교회

761 Populi Dei congregatio incipit ab instante in quo peccatum communionem hominum cum Deo hominumque inter se destruit. Ecclesiae congregatio est quasi reactio Dei ad chaos a peccato provocatum. Haec readunatio secreto in sinu omnium efficitur populorum: “In omni gente, qui timet [...] [Deum] et operatur iustitiam, acceptus est Illi”(Act 10,35).
761 하느님의 백성을 모으는 일은 하느님과 인간, 인간과 인간 사이의 일치가 죄로 파괴된 순간부터 시작되었다. 말하자면 죄로 야기된 혼돈에 대한 하느님의 반작용이 바로 교회라는 불러 모음이다. 이러한 재결합은 모든 민족의 품 속에서 은밀하게 실현된다. 하느님께서는 “어떤 민족에서건 당신을 경외하며 의로운 일을 하는 사람은 다 받아 주신다”(사도 10,35).(156)
762 Remota praeparatio congregationis populi Dei incipit cum vocatione Abraham, cui Deus promittit eum patrem populi magni futurum esse. Praeparatio immediata cum electione incipit Israel, tamquam populi Dei. Per suam electionem, Israel futurae congregationis omnium gentium debet esse signum. Sed iam Prophetae accusant Israel quod Foedus ruperit et se in modum meretricis gesserit. Foedus Novum annuntiant et aeternum. “Quod Foedus Novum Christus instituit”
762 하느님의 백성을 모으기 위한 먼 준비는 아브라함을 부름으로써 시작된다. 하느님께서는 그에게 큰 민족의 조상이 될 것이라고 약속하신다.(157) 직접적인 준비는 이스라엘을 하느님의 백성으로 선택함으로써 시작된다.(158) 이 선택으로 이스라엘은 장차 모든 민족을 모으는 징표가 될 것이다.(159) 그러나 예언자들은 이미 이스라엘이 이 계약을 어기고 창녀와 같이 처신했음을 비난하고 있다.(160) 예언자들은 영원한 “새 계약”을 예고한다.(161) “이 새로운 계약은 그리스도께서 세우셨다.”(162)

Ecclesia “a Christo Iesu constituta”

그리스도 예수님께서 세우신 교회

763 Ad Filium pertinet, in plenitudine temporum, consilium salutis Patris Sui ad effectum adducere: haec est Eius “missionis” ratio. “Dominus enim Iesus Ecclesiae Suae initium fecit praedicando faustum nuntium, Adventum scilicet Regni Dei a saeculis in Scripturis promissi” Ad voluntatem Patris implendam, Christus Regnum caelorum inauguravit in terris. Ecclesia est “Regnum Christi iam praesens in mysterio”
763 때가 찼을 때 성부의 이러한 구원 계획을 실현하는 것은 성자의 일이다. 이것이 바로 성자 “파견”의(163) 동기이다. “주 예수님께서는 오래전부터 성경에서 약속된 하느님의 나라가 다가왔다는 기쁜 소식을 선포하심으로써 당신 교회를 시작하셨던 것이다.”(164) 그리스도께서는 성부의 뜻을 이루시려고, 지상에서 하늘 나라를 시작하셨다. 교회는 “신비 안에서 이미 현존하는 그리스도의 나라이다.”(165)
764 “Hoc vero Regnum in verbo, operibus et praesentia Christi hominibus elucescit ” Iesu accipere verbum est “Regnum ipsum suscipere” Germen et initium Regni sunt “pusillus grex”(Lc 12,32) eorum ad quos Iesus circa Se convocandos venit et quorum Ipse est Pastor. Illi veram Iesu constituunt familiam. Illos quos Ipse circa Se congregavit, novum docuit “modum agendi” sed etiam propriam orationem.
764 “이 나라는 그리스도의 말씀과 활동과 현존 안에서 사람들에게 빛나기 시작한다.”(166) 예수님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것은 바로 “하느님의 나라를 받아들이는 것”(167) 이다. 이 나라의 시작과 싹은 예수님께서 오시어 당신 주위로 불러 모으신 사람들의 “작은 양 떼”(루카 12,32)이며, 예수님께서 바로 그들의 목자이시다.(168) 그들은 예수님의 참가족을 이룬다.(169) 이처럼 당신 주위에 모인 사람들에게 예수님께서는 새로운 ‘행동 양식’을 가르쳐 주시고, 또 고유한 기도도 가르쳐 주셨다.(170)
765 Dominus Iesus Suam communitatem instruxit structura quae usque ad plenam Regni permanebit adimpletionem. Electio habetur imprimis Duodecim cum Petro tamquam eorum duce. Ii, duodecim Israel repraesentantes tribus, petrae sunt fundamenti novae Ierusalem. Duodecim aliique discipuli missionem participant Christi, potestatem Eius, sed etiam Eius sortem. Omnibus his actibus, Christus Suam Ecclesiam praeparat et aedificat.
765 주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공동체에 하느님 나라가 완전히 이룩될 때까지 지속될 조직을 만들어 주셨다. 우선 베드로를 으뜸으로 하는 열두 제자를 선택하셨다.(171) 이스라엘의 열두 지파를 대표하는(172) 그들은 새 예루살렘의 초석이다.(173) 열두 제자와(174) 다른 제자들은(175) 그리스도의 사명과 권능, 그리고 그분의 운명에도 참여한다.(176) 그리스도께서는 그 모든 활동을 통하여 당신 교회를 준비하고 세우신다.
766 Sed Ecclesia praecipue nata est ex dono totali Christi pro nostra salute, in Eucharistiae institutione anticipato et in cruce deducto in rem. “Exordium et incrementum [Ecclesiae] significantur sanguine et aqua ex aperto latere Iesu crucifixi exeunti” “Nam de latere Christi in cruce dormientis ortum est totius Ecclesiae mirabile sacramentum” Sicut Eva de latere Adami formata est, sic Ecclesia est nata de corde transfixo Cristi in cruce mortui.
766 그러나 교회는 우리 구원을 위해 그리스도께서 자신을 온전히 내어 주심으로써 태어났다. 이 전적인 헌신은 특히 성체성사를 세움에서 예비되고 십자가 위에서 실현되었다. “그 기원과 성장은 십자가에 못 박히시고 창에 찔리신 예수님의 옆구리에서 흘러나온 피와 물로 상징되었다.”(177) “십자가에서 잠드신 그리스도의 옆구리에서 온 교회의 놀라운 성사가 솟아 나왔기 때문이다.”(178) 하와가 잠든 아담의 옆구리에서 만들어졌듯이, 교회도 십자가 위에서 돌아가신 그리스도의 꿰뚫린 심장에서 태어났다.(179)

Ecclesia “a Spiritu Sancto manifestata”

성령을 통하여 나타난 교회

767 “Opere autem consummato, quod Pater Filio commisit in terra faciendum, missus est Spiritus Sanctus die Pentecostes, ut Ecclesiam iugiter sanctificaret” Tunc “Ecclesia coram multitudine publice manifestata est, [et] diffusio Evangelii inter gentes per praedicationem exordium sumpsit” Ecclesia, quia omnium hominum ad salutem est “convocatio” sua ipsa natura, est missionalis, missa a Christo ad omnes nationes ut ex illis faciat discipulos.
767 “성부께서 성자께 지상에서 이루시도록 맡기신 일이 성취된 다음, 오순절에 성령께서 교회를 끊임없이 거룩하게 하시도록 파견되셨다.”(180) 그날 “교회는 많은 사람 앞에 공공연히 나타나, 설교를 통하여 여러 민족들 사이에서 복음을 전파하기 시작하였다.”(181) 교회는 모든 사람을 구원으로 ‘불러 모으는 것’이기 때문에, 그 본성상 선교적이다. 그리스도께서는 모든 민족에게 교회를 파견하시어 그들을 당신 제자로 삼도록 하셨다.(182)
맨 처음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