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9 “CREDO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교회 교리서

Ecclesia “sacramentum universale salutis”

구원의 보편적 성사인 교회

774 Verbum graecum \\\ duobus vocabulis in linguam latinam versum est: mysterium et sacramentum. In ulteriore interpretatione, vocabulum sacramentum magis visibile exprimit signum realitatis occultae salutis, quam vocabulum mysterium denotat. Hoc sensu, Christus Ipse mysterium est salutis: “non est enim aliud Dei mysterium nisi Christus” Opus salvificum Eius humanitatis sanctae et sanctificantis sacramentum est salutis, quod manifestatur et operatur in Ecclesiae sacramentis (quae Ecclesiae Orientales etiam “sancta mysteria” appellant). Septem sacramenta signa sunt et instrumenta per quae Spiritus Sanctus gratiam effundit Christi qui est Caput, in Ecclesiam quae corpus est Eius. Ecclesia ergo invisibilem continet et communicat gratiam quam ipsa significat. Hoc sensu analogico, ipsa appellatur “sacramentum”
774 그리스 말 mysterion은 라틴 말로 ‘신비’(mysterium)와 ‘성사’(sacramentum)라는 두 가지 말로 번역되었다. 후대의 설명에 따르면, ‘성사’는 ‘신비’가 가리키는 구원의 감추어진 실재에 대한 표징을 더 가시적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그리스도 자신이 구원의 신비이다. “그리스도 외에 다른 신비는 없습니다.”(200) 거룩하시며 또 거룩하게 하시는 그분의 인성이 이루신 구원의 업적은 교회의 성사들(동방 교회에서는 ‘거룩한 신비들’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안에서 드러나고 작용하는 구원의 성사이다. 일곱 가지 성사는 성령께서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안에 그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은총을 펼치시는 표지이며 도구들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자신이 의미하는 보이지 않는 은총을 간직하고 이를 나눈다. 이러한 유비적인 의미에서 교회를 ‘성사’라고 부른다.
775 Ecclesia est “in Christo veluti sacramentum seu signum et instrumentum intimae cum Deo unionis totiusque generis humani unitatis” sacramentum esse intimae unionis hominum cum Deo: talis est primus Ecclesiae scopus. Quia communio inter homines in unione cum Deo radicatur, Ecclesia est etiam sacramentum unitatis generis humani. In ea, haec unitas iam incepit, quia homines congregat “ex omnibus gentibus et tribubus et populis et linguis”(Apc 7,9); Ecclesia simul est “signum et instrumentum” plenae effectionis huius unitatis quae adhuc advenire debet.
775 “교회는 그리스도 안에서 성사와 같다. 교회는 곧 하느님과 이루는 깊은 결합과 온 인류가 이루는 일치의 표징이며 도구이다.”(201) 인간과 하느님의 깊은 일치를 이루는 성사가 되는 것, 이것이 교회의 첫 번째 목적이다. 사람들 사이의 친교는 하느님과의 일치에 뿌리박고 있기 때문에, 교회는 또한 인류 일치의 성사이기도 하다. 이 일치는 교회 안에서 이미 시작되었다. “모든 민족과 종족과 백성과 언어권”(묵시 7,9)의 사람들을 교회 안에 불러 모으기 때문이다. 이와 동시에 교회는 장차 도래할 이 일치를 완전히 실현하는 “표징이며 도구”이다.
776 Tamquam sacramentum, Ecclesia instrumentum est Christi. “Ab Eo etiam ut instrumentum Redemptionis omnium adsumitur” “universale salutis sacramentum” per quod Christus “mysterium amoris Dei erga homines manifestat simul et operatur ” Ea “est consilium visibile amoris Dei erga genus humanum” quod vult “ut universum genus humanum unum populum efformet Dei, in unum corpus coalescat Christi, in unum coaedificetur templum Spiritus Sancti”
776 성사인 교회는 그리스도의 도구이다. “그리스도께서는……이 백성을 또한 모든 사람을 위한 구원의 도구로 삼으시고”,(202) “구원의 보편 성사”(203) 로 세우시어 “인간을 위한 하느님의 사랑의 신비를 보여 주며 실천하신다.”(204) 교회는 “온 인류가 하느님의 한 백성을 이루고 그리스도의 한 몸으로 모이며 성령의 한 성전을 함께 세우기를”(205) 원하시는, “인류에 대한 하느님 사랑의 가시적인 계획이다.”(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