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9 “CREDO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교회 교리서

Paragraphus 3 ECCLESIA EST UNA, SANCTA, CATHOLICA ET APOSTOLICA

제3단락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

811 “Haec est unica Christi Ecclesia, quam in Symbolo unam, sanctam, catholicam et apostolicam profitemur” Haec quattuor attributa inseparabiliter inter se connexa, Ecclesiae eiusque missionis lineamenta denotant essentialia. Ecclesia ea ex se ipsa non habet; Christus per Spiritum Sanctum tribuit Ecclesiae ut una, sancta, catholica sit et apostolica, atque etiam Ipse eam vocat ut unamquamque ex his qualitatibus deducat in rem.
811 “이것이 바로 그리스도의 유일한 교회이며, 우리는 신경에서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라고 고백한다.”(263) 서로 불가분의 관계인 이 네 속성들은(264) 교회와 교회 사명의 본질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 속성들은 교회가 스스로 지니게 된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께서 성령을 통해 당신의 교회를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가 되도록 해 주신 것이며, 그리스도께서는 교회가 이 특성들 하나하나를 실현하도록 촉구하신다.
812 Solum fides agnoscere potest Ecclesiam has proprietates ex fonte habere divino. Sed earum historicae manifestationes sunt etiam signa quae rationi humanae clare loquuntur. “Ecclesia per se ipsa” commemorat Concilium Vaticanum I “ob suam [...] eximiam sanctitatem [...], ob catholicam unitatem invictamque stabilitatem magnum quoddam et perpetuum est motivum credibilitatis et divinae suae legationis testimonium irrefragabile”
812 교회가 이 특성들을 하느님께 받는다는 사실은 오로지 신앙으로만 깨달을 수 있다. 그런데 역사를 통하여 드러나는 이 특성들은 인간 이성에 설득력을 지닌 명백한 표지이기도 하다. “교회의 거룩함과 보편적 일치와 확고한 안정성은 그 자체가 교회에 대한 위대하고 영원한 신뢰의 동기가 되며, 하느님께서 교회에 사명을 주셨다는 부인할 수 없는 증거가 된다.”(265) 는 점을 제1차 바티칸 공의회는 상기시키고 있다.

I. Ecclesia est una

I. 교회는 하나이다

“Unitatis Ecclesiae sacrum mysterium”

“교회 일치의 거룩한 신비”266)

813 Ecclesia una est ratione sui fontis: “Huius mysterii supremum exemplar et principium est in Trinitate Personarum unitas unius Dei Patris et Filii in Spiritu Sancto ” Ecclesia una est ratione sui Fundatoris: “Ipse enim Filius incarnatus [...] per crucem Suam omnes homines Deo reconciliavit [...] restituens omnium unitatem in uno populo et uno corpore” Ecclesia una est ratione " animae" suae: “Spiritus Sanctus, qui credentes inhabitat totamque replet atque regit Ecclesiam, miram illam communionem fidelium efficit et tam intime omnes in Christo coniungit, ut Ecclesiae unitatis sit Principium” Ad ipsam ergo essentiam Ecclesiae pertinet ut una sit:
813 교회는 그 기원상 하나이다. “이 신비의 최고 표본과 최고 원리는 삼위의 일치, 곧 성령 안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하나가 되는 한 분이신 하느님의 일치이다.”(267) 교회는 그 설립자로 보아 하나이다. “강생하신 성자께서는 평화의 임금님으로서 당신 십자가를 통하여 모든 사람을 하느님과 화해시키시고 한 백성, 한 몸 안에서 모든 사람의 일치를 회복시키셨기 때문이다.”(268) 교회는 그 ‘영혼’으로 하나이다. “믿는 이들 안에 살아 계시는 성령께서는 온 교회를 가득 채우시고 다스리시어 신자들의 저 놀라운 친교를 이루시고 모든 이를 그리스도 안에서 깊이 결합시키시어, 교회 일치의 원리가 되신다.”(269) 그러므로 교회는 본질상 하나이다.
“O miraculum mysticum! Unus quidem est universorum Pater. Unum est etiam Verbum universorum, et Spiritus Sanctus unus, et Ipse est ubique. Una autem sola est Mater Virgo; mihi autem placet eam vocare Ecclesiam”
이 얼마나 놀라운 신비입니까- 우주의 아버지 한 분만 계시고, 우주의 ‘말씀’도 한 분만 계시며, 또한 어디서나 동일하신 성령도 한 분만 계십니다. 그리고 어머니이신 동정녀 한 분만 계시는데, 나는 그분을 교회라고 즐겨 부릅니다.(270)
814 Haec tamen Ecclesia una, inde ab origine sua, se cum magna praesentat diversitate, quae simul procedit e varietate donorum Dei et e multiplicitate personarum quae illa recipiunt. In populi Dei unitate diversitates congregantur populorum et culturarum. Inter Ecclesiae membra diversitas exsistit donorum, munerum, condicionum et vitae modorum; “in ecclesiastica communione legitime adsunt Ecclesiae particulares, propriis traditionibus fruentes” Magnae huius diversitatis divitiae unitati Ecclesiae non opponuntur. Peccatum tamen et eius consequentiarum pondus constanter unitatis dono minantur. Propterea Apostolus hortari debet ad servandam “unitatem spiritus in vinculo pacis”(Eph 4,3).
814 하나인 이 교회는 그 기원에서부터 이미 풍부한 다양성과 더불어 나타난다. 이 다양성은 하느님께서 주시는 은총의 다양성과 그것을 받는 사람들의 다수성에서 동시에 연유한다. 하느님 백성의 단일성에 다양한 민족들과 문화들이 합류한다. 교회 구성원들 사이에는 은혜와 직책과 조건과 생활양식의 다양성이 존재한다. “그러기에 또한 교회의 친교 안에는 고유한 전통을 지니는 개별 교회들이 당연히 존재한다.”(271) 이 다양성의 풍요로움은 교회의 일치에 배치되는 것이 아니다. 한편 죄와 죄의 결과가 가져오는 속박은 끊임없이 일치의 선물을 위협한다. 그러므로 바오로 사도 역시 “성령께서 평화의 끈으로 이루어 주신 일치”(에페 4,3)를 보존하라고 권고한다.
815 Quaenam sunt haec unitatis vincula- Super omnia, caritas quae “est vinculum perfectionis”(Col 3,14). Sed Ecclesiae peregrinantis unitas etiam per visibilia communionis fulcitur vincula:
815 이 일치의 끈은 무엇인가- 그것은 무엇보다도 “완전하게 묶어 주는”(콜로 3,14) 사랑이다. 그러나 순례하는 교회의 일치는 또한 다음과 같은 가시적인 친교의 끈들로 보장된다.
- per unius fidei Professionem ab Apostolis receptae;
- 사도들로부터 이어받은 한 신앙에 대한 고백,
- per communem cultus divini celebrationem, praesertim sacramentorum;
- 하느님에 대한 예배의 공통 거행, 특히 성사의 공통 거행,
- per apostolicam ope sacramenti Ordinis successionem, quae concordiam familiae Dei sustinet fraternam.
- 하느님 가족의 형제적 화목을 유지해 주는 성품성사를 통한 사도적 계승.(272)
816 “Haec est unica Christi Ecclesia, [...] quam Salvator noster, post Resurrectionem Suam, Petro pascendam tradidit, eique ac ceteris Apostolis diffundendam et regendam commisit [...]. Haec Ecclesia, in hoc mundo ut societas constituta et ordinata, subsistit in Ecclesia catholica, a Successore Petri et Episcopis in eius communione gubernata”
816 “그리스도의 유일한 교회이며,……우리 구세주께서 부활하신 뒤에 베드로에게 교회의 사목을 맡기셨고, 베드로와 다른 사도들에게 교회의 전파와 통치를 위임하셨으며, 교회를 영원히 진리의 기둥과 터전으로 세우셨다. 이 교회는 이 세상에 설립되고 조직된 사회로서 베드로의 후계자와 그와 친교를 이루는 주교들이 다스리고 있는 가톨릭 교회 안에 존재한다.”(273)
Decretum de Oecumenismo Concilii Vaticani II explicat: “Per solam enim catholicam Christi Ecclesiam, quae generale auxilium salutis est, omnis salutarium mediorum plenitudo attingi potest. Uni nempe Collegio apostolico cui Petrus praeest credimus Dominum commisisse omnia bona Foederis Novi, ad constituendum unum Christi corpus in terris, cui plene incorporentur oportet omnes, qui ad populum Dei iam aliquo modo pertinent”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은 다음과 같이 천명하고 있다. “구원의 보편적 수단인, 그리스도의 가톨릭 교회를 통해서만 구원 수단이 온갖 충만함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주님께서는 베드로가 앞장을 서는 한 사도단에 신약의 모든 보화를 맡기셨다고 우리는 믿는다. 그것은 그리스도의 한 몸을 지상에 세우시려는 것이었으며, 어느 모로든 이미 하느님 백성에 소속된 모든 이는 그 몸에 완전히 합체되어야 한다.”(274)

Unitatis vulnera

단일성의 상처

817 De facto, “in hac una et unica Dei Ecclesia iam a primordiis scissurae quaedam exortae sunt, quas ut damnandas graviter vituperat Apostolus; posterioribus vero saeculis ampliores natae sunt dissensiones, et communitates haud exiguae a plena communione Ecclesiae catholicae seiunctae sunt, quandoque non sine hominum utriusque partis culpa” Rupturae quae unitatem vulnerant corporis Christi (distinguuntur haeresis, apostasia et schisma), sine hominum peccatis non fiunt:
817 실제로 “하느님의 이 하나이고 유일한 교회에서는 처음부터 이미 분열이 생겨났으며, 사도는 이 분열을 단죄하여야 한다고 엄중히 책망하였다. 후세기에는 더 많은 불화가 생겨, 적지 않은 공동체들이 가톨릭 교회의 완전한 일치에서 갈라졌으며, 어떤 때에는 양쪽 사람들의 잘못이 없지 않았다.”(275) 이처럼 그리스도의 몸의 단일성에 상처를 입히는 분열은 분명히 인간들의 죄에서 생겨나는 것이다(이 분열은 이단, 배교, 이교로 구별된다).(276)
“Ubi peccata sunt, ibi est multitudo, ibi schismata, ibi haereses, ibi dissensiones; ubi autem virtus, ibi singularitas, ibi unio, ex quo omnium credentium erat cor unum et anima una”.
죄가 있는 곳에 다수(多數)가 있고, 이교가 있고, 이단이 있고, 갈등이 있습니다. 덕이 있는 곳에 합일이 있고 모든 믿는 이가 한 몸, 한마음을 이루는 일치가 있습니다.(277)
818 Illi qui hodie in communitatibus ortis ex talibus rupturis nascuntur “et fide Christi imbuuntur, de separationis peccato argui nequeunt, eosque fraterna reverentia et dilectione amplectitur Ecclesia catholica. [...] Iustificati ex fide in Baptismate, Christo incorporantur, ideoque christiano nomine iure decorantur et a filiis Ecclesiae catholicae ut fratres in Domino merito agnoscuntur”
818 이러한 분열에서 유래된 “공동체들 안에서 지금 태어나 그리스도를 믿게 된 사람들이 분열의 죄로 비난받을 수는 없으며, 가톨릭 교회는 그들을 형제적 존경과 사랑으로 끌어안는다.……세례 때에 믿음으로 의화된 그들은 그리스도와 한 몸을 이루고 마땅히 그리스도인이라는 이름을 가지며, 가톨릭 교회의 자녀들은 그들을 당연히 주님 안의 형제로 인정한다.”(278)
819 Praeterea, “elementa plura sanctificationis et veritatis” extra visibiles Ecclesiae catholicae limites exsistunt: “Verbum Dei scriptum, vita gratiae, fides, spes et caritas, aliaque interiora Spiritus Sancti dona ac visibilia elementa” Christi Spiritus his Ecclesiis et communitatibus utitur ecclesialibus tamquam salutis mediis quorum virtus ex gratiae et veritatis procedit plenitudine quam Christus Ecclesiae catholicae commisit. Haec omnia bona proveniunt a Christo et ad Illum ducunt atque ex semetipsis “ad unitatem catholicam” vocant.
819 또한 “성화와 진리의 많은 요소”(279) 가 가톨릭 교회의 가시적 울타리 밖에도 존재한다. 그것들은 “기록된 하느님 말씀, 은총의 생활, 믿음, 바람, 사랑, 성령의 다른 내적 선물과 가시적 요소들이 그러하다.”(280) 그리스도의 성령께서는 이 교회들과 공동체들을 구원의 수단으로 사용하시는데, 그 힘은 그리스도께서 가톨릭 교회에 맡기신 충만한 은총과 진리 자체에서 나온다. 이 모든 선물은 그리스도에게서 오고 그리스도께 인도하는 것으로,(281) “보편적(가톨릭) 일치를 재촉하고 있다.”(282)

In via ad unitatem

일치를 향하여

820 Unitatem, “quam Christus ab initio Ecclesiae Suae largitus est, [...] inamissibilem in Ecclesia catholica subsistere credimus et usque ad consummationem saeculi in dies crescere speramus” Christus Suae Ecclesiae donum unitatis semper praebet, sed Ecclesia semper orare et adlaborare debet ad conservandam, fulciendam et perficiendam unitatem quam pro illa Christus vult. Hac de causa, Ipse Iesus in hora Suae passionis Patrem oravit, et orare non desinit, pro Suorum discipulorum unitate: “...ut omnes unum sint, sicut Tu, Pater, in me et ego in Te, ut et ipsi in nobis unum sint: ut mundus credat quia Tu me misisti”(Io 17,21). Optatum unitatem omnium christianorum restaurandi Christi est donum et Spiritus Sancti vocatio.
820 “그리스도께서 처음부터 당신 교회에 주신 일치, 결코 잃어버릴 수 없는 그 일치가 가톨릭 교회 안에 있다고 우리는 믿으며 세상 종말까지 그 일치가 날로 자라나기를 바란다.”(283) 그리스도께서 당신 교회에 끊임없이 일치의 선물을 주고 계시지만, 교회는 언제나 이를 유지하고 강화하며 완성하기 위해 기도하고 노력해야 한다. 그리스도께서는 교회를 위해 이 일치를 바라신다. 이 때문에 예수님께서도 당신 수난 때에 성부께 기도하셨으며, 당신 제자들의 일치를 위해 기도하기를 멈추지 않으시는 것이다. “아버지, 그들이 모두 하나가 되게 해 주십시오. 아버지, 아버지께서 제 안에 계시고 제가 아버지 안에 있듯이, 그들도 우리 안에 있게 해 주십시오. 그리하여 아버지께서 저를 보내셨다는 것을 세상이 믿게 하십시오”(요한 17,21). 모든 그리스도인의 일치를 재건하려는 열망은 그리스도의 은총이고 성령의 부르심이다.(284)
821 Ut huic adaequate respondeatur, requiruntur:
821 이에 합당하게 응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요구된다.
- permanens Ecclesiae renovatio in maiore fidelitate ad eius vocationem. Haec renovatio vis est motus unitatem versus;
- 교회의 소명에 더욱더 충실하려는 끊임없는 쇄신. 이 쇄신은 일치 운동의 원동력이다.(285)
- cordis conversio ut singuli “secundum Evangelium vitam degere studeant” quia membrorum infidelitas Christi dono divisionum est causa;
- “복음에 따라 더욱 순수한 생활을 하려는”(286) 마음의 회개. 왜냐하면 그리스도의 선물에 대한 신비체 지체들의 불충실이 분열의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 oratio in communi, quia “cordis conversio vitaeque sanctitas, una cum privatis et publicis supplicationibus pro christianorum unitate, tamquam anima totius motus oecumenici existimandae sunt et merito oecumenismus spiritualis nuncupari possunt”
- 공동 기도. “마음의 회개와 거룩한 생활은 그리스도인들의 일치를 위한 사적 공적 기도와 더불어 일치 운동의 혼으로 여겨야 하며, 마땅히 영적 일치 운동이라 할 수 있기”(287) 때문이다.
- mutua fraterna cognitio;
- 형제적 상호 이해.(288)
- oecumenica institutio fidelium et speciatim sacerdotum;
- 신자들과 특히 사제들에 대한 교회 일치 교육.(289)
- dialogus inter theologos et conventus inter christianos diversarum Ecclesiarum et communitatum;
- 여러 교회나 공동체들이 시도하는 신학자들 사이의 대화와 그리스도인들 간의 만남.(290)
- cooperatio inter christianos in diversis servitii hominum campis.
- 인간을 위한 여러 봉사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교인들 사이의 협력.(291)
822 “Ad totam Ecclesiam sollicitudo unionis instaurandae spectat, tam ad fideles quam ad Pastores” Sed oportet nos esse conscios “hoc sanctum propositum reconciliandi christianos omnes in unitate unius unicaeque Ecclesiae Christi humanas vires et dotes excedere” Hac de causa, nostram spem reponimus totam “in oratione Christi pro Ecclesia, in amore Patris erga nos, in virtute Spiritus Sancti”
822 “일치 회복은 신자이든 목자이든 온 교회의 관심사이다.”(292) “그리스도의 하나이고 유일한 교회의 일치 안에서 모든 그리스도인을 화해시키려는 이 거룩한 목표는 인간의 힘과 재능을 초월한다는 것을 공의회가 잘 알고 있음을 밝힌다. 그러므로 교회를 위한 그리스도의 기도에, 우리를 위한 성부의 사랑에, 성령의 능력에 우리의 모든 희망을 둔다.”(293)

II. Ecclesia est sancta

II. 교회는 거룩하다

맨 처음이전 1 2 3 4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