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9 “CREDO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교회 교리서

Cur ministerium ecclesiale-

교회의 직무는 왜 존재하는가-

874 Ipse Christus est ministerii fons in Ecclesia. Ipse illud instituit illique auctoritatem et missionem, directionem praebuit et finalitatem:
874 그리스도께서 바로 교회 직무의 원천이시다. 그리스도께서는 교회를 세우시고, 그 교회에 권한과 사명을 주시며 그 방향과 목적을 제시하셨다.
“Christus Dominus, ad populum Dei pascendum semperque augendum, in Ecclesia Sua varia ministeria instituit, quae ad bonum totius corporis tendunt. Ministri enim, qui sacra potestate pollent, fratribus suis inserviunt, ut omnes qui de populo Dei sunt [...] ad salutem perveniant”
주님이신 그리스도께서는 하느님의 백성을 사목하고 또 언제나 증가시키도록 당신 교회 안에 온몸의 선익을 도모하는 여러 가지 봉사 직무를 마련하셨다. 실제로, 거룩한 권한을 가진 봉사자들이 자기 형제들에게 봉사하여 하느님의 백성으로서 그리스도인의 진정한 품위를 지닌 모든 사람이……구원에 이르게 하는 것이다.(397)
875 “Quomodo credent ei, quem non audierunt“” Quomodo autem audient sine praedicante- Quomodo vero praedicabunt nisi mittantur-”(Rom 10,14-15). Nemo, nec individuum ullum neque ulla communitas, potest sibi ipsi Evangelium annuntiare: “Fides ex auditu”(Rom 10,17). Nemo potest sibi ipsi mandatum dare et missionem Evangelium nuntiandi. Missus a Domino non auctoritate propria loquitur et agit, sed virtute auctoritatis Christi; non tamquam communitatis membrum, sed eidem nomine Christi loquens. Nemo potest sibi ipsi conferre gratiam, haec debet donari et offerri. Hoc supponit ministros gratiae, auctoritate et aptitudine a Christo ornatos. Ab Eo Episcopi et presbyteri missionem et facultatem (“sacram potestatem” agendi in persona Christi Capitis accipiunt, diaconi vero vim populo Dei serviendi in “diaconia ” liturgiae, verbi et caritatis, in communione cum Episcopo eiusque presbyterio. Hoc ministerium, in quo missi a Christo e dono Dei faciunt et tribuunt quod ex se ipsis facere et tribuere non possunt, Ecclesiae traditio “sacramentum” appellat. Ministerium Ecclesiae per sacramentum proprium confertur.
875 “자기가 들은 적이 없는 분을 어떻게 믿을 수 있겠습니까- 선포하는 사람이 없으면 어떻게 들을 수 있겠습니까- 파견되지 않았으면 어떻게 선포할 수 있겠습니까-”(로마 10,14-15) 어떤 개인, 어떤 공동체를 막론하고 아무도 자신에게 복음을 전할 수 없다. “믿음은 들음에서 옵니다”(로마 10,17). 아무도 복음을 전파할 사명이나 명령을 자신에게 부여할 수는 없다. 주님께서 파견하신 사람은 자신의 권위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권위에 힘입어 말하고 행동하며, 공동체의 일원으로서가 아니라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공동체에 말한다. 어느 누구도 자신에게 은총을 줄 수 없다. 은총은 주어지는 것이다. 이는 그리스도께서 권한과 능력을 부여하신 은총의 봉사자들을 전제로 한다. 주교와 사제들은 ‘머리이신 그리스도를 대신하여’(in persona Christi Capitis) 행동할 사명과 권한(‘거룩한 권한’)을 그리스도께 받는다. 부제(diaconus)는 주교와 사제단과 일치하여, 전례와 말씀과 자선의 봉사(diaconia)에서 하느님의 백성에게 봉사하는 힘을 받는다. 그리스도께서 파견하신 이들이 스스로는 행하거나 줄 수 없고 다만 하느님의 선물에 따라 행하고 베푸는 이 직무를 교회 전통은 ‘성사’라고 불러왔다. 교회의 직무는 고유한 성사를 통하여 주어진다.
876 Intrinsece coniuncta naturae sacramentali ministerii ecclesialis est eius indoles servitii. Ministri etenim, prorsus dependentes a Christo qui missionem praebet et auctoritatem, vere sunt “servi Christi” ad imaginem Christi qui libere propter nos “formam servi”(Phil 2,7) accepit. Quia verbum et gratia quorum sunt ministri, eorum non sunt, sed Christi qui illa eis pro aliis concredidit, ipsi libere omnium fient servi.
876 교회의 직무는 그 본질이 성사적이므로 봉사의 특성을 지닌다. 실제로 사명과 권위를 주시는 그리스도께 완전히 속한 성직자들은, 우리를 위하여 자유로이 “종의 모습”(필리 2,7)을 취하신 그리스도의 모습을 따르는 참된 ‘그리스도의 종’이다.(398) 성직자들이 봉사하는 말씀과 은총은 그들의 것이 아니라 다른 이들을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그들에게 맡기신 것이므로, 그들은 스스로 모든 사람의 종이 되어야 한다.(399)
877 Eodem modo, sacramentalis naturae ministerii ecclesialis est ut indolem collegialem habeat. Revera, Dominus Iesus, inde ab initio Sui ministerii, Duodecim instituit, “novi Israel germina simulque sacrae hierarchiae” originem. Simul electi, etiam sunt simul missi, eorumque unitas fraterna in servitium erit fraternae communionis omnium fidelium; ea quasi reverberatio erit et testimonium communionis Personarum divinarum. Hac de causa, quilibet Episcopus suum exercet ministerium in collegii episcopalis sinu, in communione cum Episcopo Romano, sancti Petri Successore et collegii capite; presbyteri ministerium exercent suum in presbyterii dioecesis sinu, sub Episcopi sui directione.
877 이와 마찬가지로 교회 직무는 그 본질이 성사적이므로 단체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사실 주 예수님께서는 당신의 봉사 직무를 시작하시면서 “새 이스라엘의 싹이 되고 거룩한 교계의 기원”(400) 인 열두 사도를 세우셨다. 함께 선택되어 함께 파견된 사도들의 형제적 일치는 모든 신자의 형제적 친교에 이바지할 것이며, 삼위일체이신 하느님의 친교를 반영하고 증언하는 것이다.(401) 이러한 까닭에 모든 주교는 베드로의 후계자이자 주교단의 으뜸인 로마 주교와 친교를 이루는 주교단 안에서 그의 봉사 직무를 수행한다. 사제들도 그들의 주교의 지도 아래 교구 사제단 안에서 그들의 봉사 직무를 수행한다.
878 Naturae denique sacramentalis est ministerii ecclesialis ut habeat indolem personalem. Si Christi ministri in communione agunt, etiam semper modo agunt personali. Unusquisque personaliter vocatur: “Tu me sequere”(Io 21,22), ut, in missione communi, testis sit personalis, responsabilitatem personaliter ferens coram Illo qui missionem praebet, “in Eius persona” et pro personis agens: “Ego te baptizo in nomine Patris...” “Ego te absolvo...”
878 끝으로 교회 직무는 그 본질이 성사적이므로 개별적 특성을 지닌다. 그리스도의 사제들은 공동으로 임무를 수행하지만 또한 언제나 개별적으로 행동하기도 한다. 각자는 “너는 나를 따라라.”(요한 21,22) 하는 부름을 받았다.(402) 이는 공동의 사명 안에서 개별적인 증인이 되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각자는 사명을 주시는 분 앞에서 각자 책임을 지면서, ‘그분을 대신하여’ 사람들에게 “나는 성부와……이름으로 세례를 줍니다.”, “나는……당신의 죄를 용서합니다.” 하고 선언한다.
879 Ministerium sacramentale in Ecclesia est igitur servitium in nomine Christi exercitum. Hoc indolem habet personalem et formam collegialem. Haec in vinculis efficitur inter collegium episcopale et eius caput, Successorem Petri, et in relatione inter responsabilitatem pastoralem Episcopi pro sua Ecclesia particulari et sollicitudinem collegii episcopalis communem pro Ecclesia universali.
879 그러므로 교회의 성사적 직무는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수행하는 봉사이다. 이 봉사는 개별적인 특성과 단체적인 형태를 지닌다. 이는 주교단과 그 으뜸인 베드로 사도의 후계자 사이의 유대, 개별 교회를 위한 주교의 사목적 책임과 보편 교회를 위한 주교단의 공동 관심 사이의 관계에서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