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PRIMA PROFESSIO FIDEI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FIDEI CHRISTIANAE PROFESSIO CAPUT TERTIUM CREDO IN SPIRITUM SANCTUM ARTICULUS 9 “CREDO SANCTAM ECCLESIAM CATHOLICAM”
교회 교리서

III. Vita consecrata

III. 봉헌 생활

914 “Status [...], qui professione consiliorum evangelicorum constituitur, licet ad Ecclesiae structuram hierarchicam non spectet, ad eius tamen vitam et sanctitatem inconcusse pertinet”
914 “복음적 권고의 서원으로 이루어지는 신분은, 교회의 교계 구조와 관련되지는 않지만, 분명히 교회의 생활과 성덕에 속한다.”(467)

Consilia evangelica, vita consecrata

복음적 권고와 봉헌 생활

915 Consilia evangelica, in sua multiplicitate, omnibus Christi proponuntur discipulis. Perfectio caritatis, ad quam omnes christifideles vocantur, pro illis qui libere vocationem assumunt ad vitam consecratam, implicat obligationem observandi castitatem in caelibatu pro Regno, paupertatem et oboedientiam. Horum consiliorum professio, in vitae stabilis statu ab Ecclesia agnito, “vitam consecratam” Deo distinguit.
915 그리스도의 모든 제자는 다양한 복음적 권고를 받고 있다. 모든 신자는 완전한 사랑으로 부름 받는다. 이 사랑은 봉헌 생활의 소명을 자유로이 받아들이는 사람들에게 하느님 나라를 위한 독신 생활의 정결, 청빈, 순명의 의무를 지운다. 교회가 인정하는 일정한 생활 신분에서, 바로 이 복음적 권고의 서원이 하느님께 ‘봉헌된 생활’의 특징이다.(468)
916 Vitae consecratae status apparet tunc tamquam unus e modis vivendi in consecratione “intimiore” quae in Baptismo radicatur et Deo totaliter devovet. In vita consecrata, christifideles sibi proponunt, sub Spiritus Sancti motione, Christum pressius sequi, se Deo super omnia dilecto dare et, perfectionem persequentes caritatis in Regni servitio, gloriam mundi futuri significare et annuntiare in Ecclesia.
916 이로써 봉헌 생활의 신분은 세례에 근거하며 하느님께 온전히 바쳐진 ‘더욱 깊은’ 봉헌을 체험하는 생활 방식 가운데 하나로 드러나게 된다.(469) 봉헌 생활을 통하여 그리스도 신자들은 성령의 감도 아래 그리스도를 더욱 가까이 따르기로 다짐하며, 모든 것 위에 사랑하는 하느님께 자신을 봉헌하고, 하느님 나라를 위해 봉사하는 애덕의 완성을 추구함으로써 교회에서 미래 세계의 영광을 예고하고 보여 준다.(470)

Arbor magna, plures rami

큰 나무, 많은 가지

917 “Quasi in arbore ex germine divinitus dato mirabiliter et multipliciter in agro Domini ramificata, variae formae vitae solitariae vel communis, variaeque Familiae [...] [creverunt], quae tum ad profectum sodalium, tum ad bonum totius corporis Christi opes augent”
917 “마치 하느님께서 심어 놓으신 씨앗에서 자라난 나무가 주님의 밭에서 놀랍게도 수없이 많은 가지가 뻗어 나듯이, 독수(獨修)나 공동의 여러 생활 형태와 다양한 수도 가족들이 생겨나 회원들의 진보와 그리스도의 몸 전체의 선익에 이바지한다.”(471)
918 “Inde ab exordiis quidem Ecclesiae fuerunt viri et mulieres, qui per praxim consiliorum evangelicorum Christum maiore cum libertate sequi pressiusque imitari intenderunt et suo quisque modo vitam Deo dicatam duxerunt, e quibus multi, Spiritu Sancto afflante, vel vitam solitariam degerunt vel Familias religiosas suscitaverunt, quas Ecclesia sua auctoritate libenter suscepit et adprobavit”
918 “맨 처음부터 교회에는 복음적 권고를 실천함으로써 더 자유롭게 그리스도를 따르고 더 가까이에서 그분을 본받고자 하여, 각자 나름대로 하느님께 봉헌된 생활을 하는 남녀들이 있었다. 그들 가운데 많은 이는 성령의 영감을 받아 독수 생활을 하거나 수도 가족을 일으켰다. 교회는 그 권위로 이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승인하였다.”(472)
919 Episcopi nova dona vitae consecratae a Spiritu Sancto Ecclesiae Eius concredita semper discernere satagent; novarum vitae consecratae formarum approbatio Sedi Apostolicae reservatur.
919 주교들은 성령께서 당신 교회에 맡기신 봉헌 생활의 새로운 은혜를 식별하려고 언제나 노력해야 한다. 봉헌 생활의 새로운 형태들을 승인하는 것은 사도좌에만 유보되어 있다.(473)

Vita eremitica

은수 생활

920 Eremitae, quin publice tria consilia evangelica semper profiteantur, “arctiore a mundo secessu, solitudinis silentio, assidua prece et paenitentia, suam in laudem Dei et mundi salutem vitam devovent”
920 은수자들은, 세 가지 복음적 권고[福音三德]를 언제나 공적으로 선서하지는 않지만, “세속으로부터 더욱 철저하게 격리되어 고독의 침묵과 줄기찬 기도와 참회 고행으로 하느님 찬미와 세상의 구원에 자기의 신명을 바친다.”(474)
921 Ipsi singulis hanc interiorem mysterii Ecclesiae ostendunt rationem, quae intimitas est personalis cum Christo. Eremitae vita, oculis hominum abscondita, silentiosa est praedicatio Eius, cui ipse vitam suam donavit, quia Is pro ipso est omnia. Ibi vocatio habetur peculiaris ad inveniendam in deserto, in ipso spirituali proelio, Crucifixi gloriam.
921 은수자들은 그리스도와 인격적 친교를 이루는 교회 신비의 내적 측면을 보여 준다. 사람들에게 드러나지 않는 그들의 은수(隱修) 생활은 주님을 침묵으로 선포하는 것이다. 은수자에게는 주님만이 모든 것이기에 주님께 자기네 삶을 바친다. 은수 생활이야말로 사막의 영적 싸움에서 십자가에 못 박히신 분의 영광을 찾아야 하는 특별한 소명이다.

Virgines et viduae consecratae

봉헌된 동정녀들과 과부들

922 A temporibus apostolicis, virgines fuerunt et viduae christianae, quae a Domino vocatae ut Ei sine divisione adhaereant in maiore cordis, corporis et spiritus libertate, consilium ceperunt, ab Ecclesia approbatum, vivendi respective in virginitatis vel castitatis perpetuae statu “propter Regnum caelorum”(Mt 19,12).
922 사도 시대부터 더욱 자유로운 마음과 몸과 정신으로 전적으로 주님과 일치하도록 부름을 받은 동정녀들과(475) 과부들이,(476) 교회의 인정을 받아, “하늘 나라 때문에”(마태 19,12) 평생 동정이나 정결의 신분으로 살아가겠다는 결단을 내렸다.
923 Virgines, “sanctum propositum emittentes Christum pressius sequendi, ab Episcopo dioecesano iuxta probatum ritum liturgicum Deo consecrantur, Christo Dei Filio mystice desponsantur et Ecclesiae servitio dedicantur” Per hunc sollemnem ritum (Consecratio virginum), “virgo [...] [constituitur] persona sacrata, signum transcendens amoris Ecclesiae erga Christum, imago eschatologica Sponsae caelestis vitaeque futurae”
923 “그리스도를 더욱 가까이 따르려 거룩한 계획을 발원하는 동정녀들은, 승인된 전례 예식에 따라서 교구장에 의하여 하느님께 봉헌되고 천주 성자 그리스도께 신비적으로 약혼되며 교회의 봉사에 헌신한다.”(477) 이 장엄한 예식(Consecratio Virginum)으로 “동정녀는 봉헌된 사람이 되고”, “그리스도에 대한 교회의 사랑을 나타내는 초월적 표징이 되며, 하늘의 저 신부와 내세 생활의 종말적인 표상이 된다.”(478)
924 Aliis vitae consecratae formis accedens, ordo virginum mulierem in mundo viventem (vel monialem) instituit in oratione, paenitentia, fratrum servitio et apostolico labore, secundum statum et charismata unicuique respective oblata. Virgines consecratae consociari possunt ut fidelius propositum servent suum.
924 봉헌 생활의 다른 형식으로 사는(479) 동정녀들의 회도 있는데, 이들은 세속에 사는 여자로서 (또는 수도자로서) 각자에게 주어진 은사와 고유한 신분에 따라 기도와 속죄, 형제들에 대한 봉사와 사도직에 종사한다.(480) 봉헌된 동정녀들은 자기들의 계획을 더욱 충실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단체를 만들 수 있다.(481)

Vita religiosa

수도 생활

925 Vita religiosa, in Oriente prioribus christianismi saeculis orta et in institutis canonice ab Ecclesia erectis acta, ab aliis vitae consecratae formis distinguitur ratione cultuali, publica consiliorum evangelicorum professione, vita fraterna in communi ducta, testimonio unioni Christi et Ecclesiae tributo.
925 수도 생활은 그리스도교 초기에 동방에서 생겨났다.(482) 교회법에 따라 설립된 수도회 안에서 살아가는(483) 수도 생활은 전례적 특성, 복음적 권고를 따르겠다는 공적 서원, 형제적인 공동생활, 그리스도와 교회에 대한 일치의 증거 등을 통하여 봉헌 생활의 다른 형식과 구별된다.(484)
926 Vita religiosa ab Ecclesiae procedit mysterio. Ea donum est quod Ecclesia a Domino recipit suo et quod ipsa, tamquam statum stabilem fideli vocato a Deo in professione offert consiliorum. Sic Ecclesia simul potest Christum manifestare et se tamquam Salvatoris agnoscere Sponsam. Vita religiosa invitatur ut, sub formis diversis, ipsam Dei significet caritatem, in nostri temporis sermone.
926 수도 생활은 교회의 신비에서 나오는 것이다. 수도 생활은 교회가 주님께 받은 선물이며, 복음적 권고를 실천하는 생활로 하느님의 부름을 받은 신자들에게 교회가 항구한 생활양식으로 제공하는 선물이다. 그럼으로써 교회는 그리스도를 드러낼 수 있고 동시에 스스로 구세주의 신부임을 인정하는 것이다. 수도 생활은 다양한 형태를 통해 이 시대의 언어로 하느님의 사랑을 드러내도록 초대받는다.
927 Omnes religiosi, exempti vel non exempti, inter Episcopi dioecesani in eius pastorali munere cooperatores locum obtinent. Plantatio et dilatatio missionalis Ecclesiae praesentiam requirunt vitae religiosae omnibus eius formis inde ab evangelizationis initio. “Illustrat historia merita egregia religiosarum Familiarum in fide propaganda necnon in novis conformandis Ecclesiis: nec solum antiquorum Institutorum monasticorum et Ordinum Mediae Aetatis, verum nostrae etiam aetatis Congregationum”
927 모든 수도자는, 면속(免屬)이거나 아니거나(485) 교구장 주교들의 사목 직무의 협조자들이다.(486) 교회의 뿌리 내림과 선교적 성장에는 “복음 선포의 시작부터”(487) 모든 형태의 수도 생활의 존재가 필요하였다. “고대의 수도 단체에서 중세의 수도단과 현대의 수도회에 이르기까지 수도 가족들이 신앙의 전파와 새로운 교회의 형성에 지대한 기여를 했다는 사실을 역사는 증언하고 있다.”(488)

Instituta saecularia

재속회

928 “Institutum saeculare est institutum vitae consecratae, in quo christifideles in saeculo viventes ad caritatis perfectionem contendunt atque ad mundi sanctificationem praesertim ab intus conferre student”
928 “재속회(在俗會)는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세속에 살면서 애덕의 완성을 향하여 노력하고 세상의 성화를 위하여 특히 그 안에서부터 기여하기를 힘쓰는 봉헌 생활회이다.”(489)
929 Membra horum institutorum, “vita perfecte et omnino [huic] sanctificationi consecrata” “munus Ecclesiae evangelizandi, in saeculo et ex saeculo, participant ” ubi eorum praesentia ut fermentum agit. Eorum testimonium vitae christianae tendit ad ordinandas secundum Deum res temporales atque ad mundum virtute Evangelii informandum. Vinculis sacris consilia assumunt evangelica et inter se communionem servant et fraternitatem vitae rationi saeculari eorum proprias.
929 재속회 회원들은 “온전히 그리고 전적으로 (이러한) 성화를 위해 봉헌된 생활”(490) 로 “세속 안에서 또 세속으로부터 교회의 복음화 임무에 참여”(491) 하는데, 이들의 존재는 세상의 누룩과 같다.(492) 이들의 그리스도인 생활의 증거는 현세 사물을 하느님께 맞게 정돈하고 세상을 복음의 힘으로 교화하기 위한 것이다. 그들은 거룩한 유대로 복음적 권고를 받아들여 자기들끼리 그 고유한 재속 생활 방식에 알맞게 친교와 형제애를 지켜 나간다.(493)

Societates vitae apostolicae

사도 생활단

930 Diversis vitae consecratae formis “accedunt societates vitae apostolicae, quarum sodales, sine votis religiosis, finem apostolicum societatis proprium prosequuntur et, vitam fraternam in communi ducentes, secundum propriam vitae rationem, per observantiam constitutionum ad perfectionem caritatis tendunt. Inter has sunt societates in quibus sodales [...] consilia evangelica assumunt” secundum suas constitutiones.
930 다양한 형태의 봉헌 생활 이외에 사도 생활단들도 있는데, 그 회원들은 “수도 서원 없이 그 단체에 고유한 사도적 목적을 추구하고 고유한 생활 방식에 따라 형제적 공동생활을 하면서 회헌을 준수하며, 애덕의 완성을 향하여 정진한다. 이러한 단체들 가운데에는 그 회원들이 정해진 회헌에 따라 복음적 권고를 받아들이는 단체들도 있다.”(494)

Consecratio et missio: Regem annuntiare qui venit

봉헌 생활과 선교 - 오시는 왕을 선포함

931 Deo summe dilecto traditus, ille quem iam Baptismus Ei dicaverat, sic intimius servitio divino invenitur consecratus et bono Ecclesiae deditus. Per statum consecrationis ad Deum, Ecclesia manifestat Christum atque ostendit quomodo Spiritus Sanctus modo admirabili in ipsa agat. Ii qui consilia evangelica profitentur, habent imprimis, ut missionem, suam consecrationem in vitam ducere. “Cum vi ipsius consecrationis sese servitio Ecclesiae dedicent, obligatione tenentur ad operam, ratione suo Instituto propria, speciali modo in actione missionali navandam”
931 세례로써 이미 하느님께 봉헌된 사람은 지극히 사랑하는 하느님께 자신을 내맡김으로써 더욱 그분께 봉사하고 교회의 선익을 위해 자신을 바친다. 교회는 봉헌 생활의 신분을 통하여 그리스도를 나타내고, 성령께서 어떻게 교회 안에서 기묘하게 활동하시는지를 보여 준다. 그러므로 복음적 권고를 따르기로 서원한 사람들은 우선 그들의 봉헌을 실천할 사명을 지닌다. “봉헌 생활회의 회원들은 자기 봉헌에 의하여 교회의 봉사에 헌신하므로 자기 소속회의 고유한 방침대로 선교 활동에 특별히 열중할 의무가 있다.”(495)
932 In Ecclesia quae est veluti sacramentum, id est signum et instrumentum vitae Dei, vita religiosa tamquam signum mysterii Redemptionis apparet peculiare. “Pressius” Christum sequi et imitari, “clarius” Eius manifestare exinanitionem, est “profundius” praesens, in corde Christi, esse coaetaneis suis. Illi qui in hac “arctiore ” sunt via, suos fratres exemplo stimulant suo et “praeclarum et eximium testimonium reddunt, mundum transfigurari Deoque offerri non posse sine spiritu beatitudinum”
932 하느님 생명의 성사, 곧 하느님 생명의 표징과 도구인 교회 안에서, 봉헌 생활은 구속 신비의 독특한 표징으로 나타난다. 그리스도를 ‘더욱 가까이’ 따르고 본받는 것, 그분의 낮추심을 ‘더욱 분명히’ 나타내는 것은 그리스도의 마음으로 이 시대 사람들과 ‘더 깊이’ 함께하는 일이 된다. 이 ‘더 좁은’ 길에 들어서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표양으로 형제들을 자극하고, “참행복의 정신이 아니고서는 세상을 변혁시킬 수도 없고 하느님께 봉헌할 수도 없다는 사실을 자기 신분으로 빛나는 뛰어난 증거로 보여 주는 것이다.”(496)
933 Sive hoc testimonium publicum sit, sicut in statu religioso, sive magis privatum vel etiam secretum, Christi Adventus pro omnibus consecratis origo et eorum vitae permanet directio:
933 비록 이러한 증거가 수도자 신분에서처럼 공적이건 사적이건, 아니면 숨겨진 것일지라도, ‘그리스도의 오심’은 봉헌된 모든 사람의 삶의 원천과 방향이 된다.
“Cum enim populus Dei hic manentem civitatem non habeat, [...] [hic status] tum bona caelestia iam in hoc saeculo praesentia omnibus credentibus manifestat, tum vitam novam et aeternam Redemptione Christi acquisitam testificat, tum resurrectionem futuram et gloriam Regni caelestis praenuntiat”
하느님의 백성은 여기에 영속하는 나라가 없어 미래의 나라를 찾아야 하므로,……수도자 신분은 또한 이미 이 세상에 있는 천상 보화를 모든 신자에게 보여 주고, 그리스도의 구원으로 얻은 새롭고 영원한 생명의 증거를 드러내며, 미래의 부활과 하늘 나라의 영광을 예고하여 준다.(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