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OECONOMIA SACRAMENTALIS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OECONOMIA SACRAMENTALIS

제 1 부 성사의 경륜

1076 Die Pentecostes, per Spiritus Sancti effusionem, Ecclesia mundo est manifestata. Donum Spiritus tempus inaugurat novum in “dispensatione mysterii” tempus Ecclesiae, quo perdurante Christus per liturgiam Ecclesiae Suae Suum opus salutis manifestat, praesens facit et communicat “donec veniat”(1 Cor 11,26). Per hoc Ecclesiae tempus, Christus vivit et agit iam in Ecclesia Sua et cum illa modo novo proprio huius novi temporis. Agit per sacramenta; hoc communis traditio Orientis et Occidentis “Oeconomiam sacramentalem” appellat; haec in communicatione (seu “dispensatione” consistit fructuum mysterii Paschalis Christi in celebratione liturgiae “sacramentalis” Ecclesiae.
1076 오순절 날 성령의 강림으로 교회가 세상에 나타나게 되었다.(1) 성령 강림은 ‘신비의 나눔’(dispensatio) 안에서 새로운 시대, 곧 교회의 시대를 연다. 이 교회 시대에 그리스도께서는 다시 “오실 때까지”(1코린 11,26) 당신 교회의 전례를 통하여 구원 활동을 드러내고, 현존하게 하고, 전해 주신다. 교회 시대라는 이 기간 동안에 그리스도께서는 당신 교회 안에, 교회와 더불어 이 새로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방식으로 살아 계시고 활동하신다. 그리스도께서는 성사들을 통하여 활동하신다. 바로 이것을 동방과 서방의 전통은 한결같이 ‘성사의 경륜’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 성사의 경륜은 교회가 ‘성사의’ 전례 거행을 통하여 그리스도의 파스카 신비에서 얻은 열매를 전해 주는(또는 나누어 주는) 것이다.
Hac de causa, imprimis ostendere oportet hanc “dispensationem sacramentalem ”(caput primum). Sic clarius apparebunt natura et rationes essentiales celebrationis liturgicae (caput secundum).
그렇기 때문에 먼저 이러한 ‘성사의 경륜’을 우선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제1장). 이렇게 함으로써 전례 거행의 성격과 본질적 면모들이 더 분명하게 드러날 것이다(제2장).

CAPUT PRIMUM

제 1 장 교회 시대의 파스카 신비

ARTICULUS 1 LITURGIA - SANCTISSIMAE TRINITATIS OPUS

제1절 거룩하신 삼위의 행위인 전례

I. Pater, liturgiae fons et finis

I. 전례의 원천이며 목적이신 성부

1077 “Benedictus Deus et Pater Domini nostri Iesu Christi, qui benedixit nos in omni benedictione spiritali in caelestibus in Christo, sicut elegit nos in Ipso ante mundi constitutionem, ut essemus sancti et immaculati in conspectu Eius in caritate, qui praedestinavit nos in adoptionem filiorum per Iesum Christum in Ipsum, secundum beneplacitum voluntatis Suae, in laudem gloriae gratiae Suae, in qua gratificavit nos in Dilecto”(Eph 1,3-6).
1077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느님께서 찬미받으시기를 빕니다. 하느님께서는 그리스도 안에서 하늘의 온갖 영적인 복을 우리에게 내리셨습니다. 세상 창조 이전에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를 선택하시어, 우리가 당신 앞에서 거룩하고 흠 없는 사람이 되게 해 주셨습니다. 사랑으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를 당신의 자녀로 삼으시기로 미리 정하셨습니다. 이는 하느님의 그 좋으신 뜻에 따라 이루어진 것입니다. 그리하여 사랑하시는 아드님 안에서 우리에게 베푸신 그 은총의 영광을 찬양하게 하셨습니다”(에페 1,3-6).
1078 Benedictio actio est divina quae vitam donat et cuius Pater est fons. Eius benedictio est simul verbum et donum (bene-dictio, \\\). Haec locutio homini applicata adorationem et redditionem Creatori eius significabit in gratiarum actione.
1078 강복은 생명을 주는 하느님의 행위이며, 그 생명의 원천은 성부이시다. 그분의 강복은 ‘말씀이요 선물’(bene-dictio, eu-logia)이다. 사람 편에서 보면, 이는 감사하는 마음으로 창조주께 드리는 ‘흠숭과 봉헌’을 의미한다.
1079 Inde ab initio usque ad temporum consummationem, totum Dei opus benedictio est. Inde a primae creationis liturgico po-ate usque ad caelestis Ierusalem cantica, inspirati auctores consilium annuntiant salutis tamquam immensam benedictionem divinam.
1079 태초부터 종말에 이르기까지 하느님께서 하시는 모든 일은 강복이다. 최초의 창조에 대한 전례 시가(典禮詩歌)에서부터 천상 예루살렘의 찬미가에 이르기까지 영감을 받은 저자들은 구원 계획이 무한한 하느님의 강복이라고 선포한다.
1080 Inde ab initio, Deus viventibus, praesertim viro et mulieri, benedixit. Foedus cum Noe et cum omnibus entibus animatis hanc fecunditatis renovat benedictionem, non obstante hominis peccato propter quod terra est “maledicta” Sed inde ab Abraham, benedictio divina penetrat hominum historiam quae mortem versus ibat, ut illam faceret vitam versus, ad eius fontem, ascendere: per fidem “patris credentium” qui benedictionem accipit, salutis historia inauguratur.
1080 태초부터 하느님께서는 모든 생명체, 특히 남자와 여자에게 강복하셨다. 땅이 “저주를 받게 된” 원인인 인간의 죄에도, 노아와 그 외의 모든 생물과 맺으신 계약은 번성을 위한 이 강복을 새롭게 한다. 그러나 죽음으로 향해 가고 있던 인간의 역사를 생명으로, 그 원천으로 되돌려 놓은 하느님의 강복이 역사 안에 들어오게 된 것은 아브라함부터이다. 강복을 받아들인 “믿는 이들의 조상”의 신앙을 통하여 구원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081 Benedictiones divinae in mirabilibus et salvificis manifestantur eventibus: tales sunt nativitas Isaac, exitus de Aegypto (Pascha et Exodus), donum Terrae promissae, electio David, Dei praesentia in Templo, exilium purificans et reditus “parvi residui” Lex, Prophetae et Psalmi qui populi electi intexunt liturgiam, has divinas simul commemorant benedictiones illisque cum laudis et gratiarum actionis respondent benedictionibus.
1081 하느님의 강복은 이사악의 탄생, 이집트 탈출(파스카와 탈출), 약속된 땅을 주신 일, 다윗을 임금으로 세우신 일, 하느님께서 성전에 현존하시는 것, 정화를 위한 귀양살이, 그리고 ‘소수의 남은 자들’의 귀환 등 놀라운 구원 사건 안에서 드러난다. 선택된 백성의 전례의 골격을 이루는 율법과 예언서와 시편들은 이러한 하느님의 강복을 환기시키며, 동시에 찬미와 감사로 그에 응답한다.
1082 In Ecclesiae liturgia, benedictio divina plene revelatur et communicatur: Pater tamquam fons et finis omnium benedictionum creationis et salutis agnoscitur et adoratur; in Verbo Suo, pro nobis incarnato, mortuo et resuscitato, nos Suis cumulat benedictionibus, et per Illum in corda nostra donum effundit quod omnia continet dona: Spiritum Sanctum.
1082 하느님의 강복은 교회의 전례에서 온전하게 드러나고 전달된다. 성부께서는 피조물을 위한 모든 강복과 구원의 원천이며 목적으로 인정되시고 흠숭을 받으신다. 그리고 우리를 위해 강생하시고 돌아가시고 부활하신 당신의 ‘말씀’ 안에서 우리를 복으로 채워 주시며, 그 ‘말씀’을 통해서 모든 선물을 포함하는 ‘선물’, 곧 성령을 우리 마음에 부어 주신다.
1083 Duplex tunc intelligitur liturgiae christianae ratio tamquam responsionis fidei et amoris “benedictionibus spiritualibus” quibus Pater nos gratificavit. Ex altera parte, Ecclesia, suo Domino unita et sub Spiritus Sancti actione, Patri benedicit “super inenarrabili dono Eius”(2 Cor 9,15), per adorationem, laudem et gratiarum actionem. Ex altera vero, et usque ad consilii Dei consummationem, Ecclesia Patri “oblationem suorum propriorum donorum” offerre non desinit Eumque precari ut Spiritum Sanctum super hanc mittat oblationem, super semetipsam, super fideles et super totum mundum, ut, per communionem in morte et resurrectione Christi-Sacerdotis et per virtutem Spiritus, hae divinae benedictiones fructus ferant vitae “in laudem gloriae gratiae Suae”(Eph 1,6).
1083 이로써 우리는 그리스도교 전례가 성부께서 베푸시는 ‘영적 축복’에 대한 신앙과 사랑의 응답이라는 두 가지 차원을 지녔음을 이해할 수 있다. 한편으로 교회는 주님과 일치하여 “성령 안에서”(2) 흠숭과 찬양과 감사를 통해 “이루 말할 수 없는 선물”(2코린 9,15)에 대하여 성부께 찬미를 드린다. 다른 한편으로 교회는 하느님의 계획이 완성될 때까지 성부께 “당신께서 주신 선물을 제물로 드리고”, 당신의 성령을 이 제물과 교회 자신과 신자들과 온 세상에 보내 주시도록 간청한다. 또한 교회는 사제이신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에 일치하여 성령의 능력으로 하느님의 이 강복들이 “당신 은총의 영광을 찬양하기 위한”(에페 1,6) 생명의 열매를 맺도록 끊임없이 간청한다.

Liturgia Horarum

시간 전례(성무일도)

1174 Christi mysterium, Eius Incarnatio Eiusque Pascha, quod in Eucharistia, praesertim in congregatione dominicali, celebramus, tempus uniuscuiusque diei penetrat et transfigurat per liturgiae Horarum celebrationem, per “Officium divinum” Hoc celebrationis officium apostolicis hortationibus “ad orandum sine intermissione” fideliter obsequens, “ita est constitutum ut totus cursus diei ac noctis per laudem Dei consecretur” “Orationem publicam Ecclesiae” constituit, in qua fideles (clerici, religiosi et laici) regale exercent baptizatorum sacerdotium. Liturgia Horarum, “forma probata” ab Ecclesia cum celebratur, “vere vox est ipsius Sponsae, quae Sponsum alloquitur, immo etiam oratio Christi cum Ipsius corpore ad Patrem”
1174 우리가 성찬례에서 특히 주일 집회에서 거행하는 그리스도의 신비인 강생과 파스카의 신비는, 시간 전례 곧 “성무일도”의(52) 거행을 통하여 매일의 시간에 스며들어 그 시간을 변화시킨다. “끊임없이 기도하십시오.”라고(53) 하는 사도의 권고에 따라 충실하게 거행하는 이 성무일도(聖務日禱)는 “낮과 밤의 모든 흐름이 하느님 찬미를 통하여 성화되도록 이루어져 있다.”(54) 이것은 “교회의 공적 기도”(55) 인데, 이로써 신자들(성직자, 수도자, 평신도)은 세례 받은 사람들의 왕다운 사제직을 수행한다. 교회가 ‘공인한 형식으로’ 거행하는 시간 전례는 “참으로 자기 신랑에게 이야기하는 신부의 목소리이며, 또한 당신 몸과 함께 하느님 아버지께 바치는 그리스도의 기도이다.”(56)
1175 Liturgia Horarum est destinata ut totius populi Dei fiat oratio. In ea enim Ipse Christus “sacerdotale munus per ipsam Suam Ecclesiam pergit” exercere; unusquisque, secundum suum munus in Ecclesia proprium et vitae suae adiuncta, in ea participat: sacerdotes quia, quatenus ministerio pastorali addicti, vocati sunt ut in oratione et ministerio verbi assidui permaneant; religiosi et religiosae propter suae vitae consecratae charisma; omnes fideles secundum suam possibilitatem. “Curent animarum Pastores ut Horae praecipuae, praesertim Vesperae, diebus Dominicis et festis sollemnioribus, in ecclesia communiter celebrentur. Commendatur ut et ipsi laici recitent Officium divinum, vel cum sacerdotibus, vel inter se congregati, quin immo unusquisque solus”
1175 시간 전례는 하느님 백성 전체의 기도가 되어야만 한다. 이 전례에서 그리스도께서는 친히 “저 사제 임무를 바로 당신 교회를 통하여 수행하신다.”(57) 모든 신자는 교회 안에서 저마다 자신의 고유한 위치와 생활의 처지에 따라 여기에 참여한다. 사제들은 사목직을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기도와 말씀의 봉사에 충실하라는 요청을 받고 있기 때문에,(58) 남녀 수도자들은 자기 봉헌 생활의 은사에 따라,(59) 성무일도를 바치며, 모든 신자들도 가능한 한 성무일도를 바쳐야 한다. “영혼의 목자들은 주일과 대축일에 주요 시간경 특히 저녁 기도를 성당에서 합동으로 바치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또한 평신도들도 사제들과 함께, 또는 자기들끼리 모여서, 아니면 각기 혼자서 성무일도를 바치도록 권장한다.”(60)
1176 Liturgiam Horarum celebrare exigit non solum vocem cordi concordare oranti, sed etiam “liturgicam et biblicam praecipue psalmorum institutionem sibi uberiorem” comparare.
1176 시간 전례의 거행은 목소리와 기도하는 마음의 조화를 요구할 뿐만 아니라, “전례와 성경 특히 시편에 대한 풍부한 지식을 갖출 것”(61) 을 요구한다.
1177 Hymni et litaniae Orationis Horarum precationem psalmorum in tempus inserunt Ecclesiae, symbolismum exprimentes momenti diei, temporis liturgici vel festivitatis celebratae. Praeterea lectio Verbi Dei in singulis Horis (cum responsoriis vel tropariis quae illam consequuntur) et, quibusdam in Horis, lectiones Patrum et magistrorum spiritualium sensum mysterii celebrati profundius revelant, psalmorum adiuvant intelligentiam et ad orationem praeparant silentiosam. Lectio divina, in qua Verbum Dei legitur et meditatione consideratur ut ipsum efficiatur oratio, in celebratione liturgica sic etiam radicatur.
1177 여러 시간경의 ‘찬미가’는 시편 기도를 교회의 절기에 맞추어 하루 중의 시간이나 전례 시기나 기념하는 축일의 상징적 의미를 표현한다. 그뿐 아니라, 시간경마다 읽는 하느님 말씀(성경 소구와, 이어지는 응송 또는 화답송: troparia)과 어떤 시간경(독서 기도)에서 읽는 교부들과 영성가들의 글은 기념하는 신비의 의미를 더욱 깊이 일깨우고, 시편들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며, 침묵 기도를 준비시켜 준다. 하느님의 말씀을 읽고 묵상하여 기도가 되게 하는 거룩한 독서(lectio divina)는 이렇게 해서 전례 거행 안에 그 바탕을 두고 있다.
1178 Liturgia Horarum, quae quasi celebrationis eucharisticae est productio, non excludit, sed tamquam complementum postulat diversas populi Dei devotiones, praesertim adorationem et cultum Sanctissimi Sacramenti.
1178 성찬례 거행의 연장인 시간 전례는 하느님 백성의 여러 가지 신심 행위들, 특히 성체 조배와 공경을 배제하지 않으며, 그러한 보완적인 신심 행위를 장려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