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OECONOMIA SACRAMENTALIS CAPUT PRIMUM ARTICULUS 2 MYSTERIUM PASCHALE IN ECCLESIAE SACRAMENTIS
교회 교리서

ARTICULUS 2 MYSTERIUM PASCHALE IN ECCLESIAE SACRAMENTIS

제2절 파스카 신비와 교회의 성사

1113 Tota vita liturgica Ecclesiae circa Sacrificium eucharisticum et sacramenta vertit. In Ecclesia septem sunt sacramenta: Baptismus, Confirmatio seu Chrismatio, Eucharistia, Paenitentia, Unctio infirmorum, Ordo et Matrimonium. In hoc articulo agitur de eo quod septem Ecclesiae sacramentis ratione doctrinali commune est. Id quod ratione celebrationis est commune, in capite secundo exponetur, et quod proprium unicuique est eorum, obiectum erit secundae sectionis.
1113 교회의 모든 전례 생활은 성찬의 희생 제사와 다른 성사들을 구심점으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24) 교회에는 일곱 가지 성사 곧,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혼인성사가 있다.(25) 제2절에서는 교회의 이러한 일곱 성사의 공통점을 교리적 관점에서 다룬다. 성사 거행의 공통점은 제2장에서 설명할 것이며, 각 성사의 고유한 면은 제2부의 주제가 될 것이다.

I. Christi sacramenta

I. 그리스도의 성사

1114 “Sanctarum Scripturarum doctrinae, apostolicis Traditionibus [...] et Patrum consensui inhaerendo”, profitemur “sacramenta novae Legis [...] fuisse omnia a Iesu Christo Domino nostro instituta”.
1114 우리는 “성경의 가르침과 사도전승과……교부들의 일치된 의견을 충실히 받아들여”,(26) “신약의 성사들이 모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졌다.”(27) 하고 고백한다.
1115 Iam verba et opera Iesu, tempore Eius vitae occultae Eiusque ministerii publici, salvifica erant. Eius mysterii Paschalis anticipabant virtutem. Illa id annuntiabant et praeparabant quod Ipse Ecclesiae erat daturus, cum omnia essent adimpleta. Mysteria vitae Christi fundamenta sunt illius quod Christus deinceps per Ecclesiae Suae ministros in sacramentis dispensat, quia “quod [...] Redemptoris nostri conspicuum fuit, in sacramenta transivit”.
1115 예수님의 나자렛 생활과 공생활 동안 그분의 말씀과 행위는 이미 구원을 위한 것이었다. 그것은 예수님의 파스카 신비가 지닌 능력을 미리 보여 주었으며, 모든 것이 이루어졌을 때 교회에게 주어질 것을 예고하고 준비하였다. 그리스도의 생애가 드러내는 신비들은 이제 그리스도께서 당신 교회의 봉사자들을 통하여 성사 안에서 나누어 주시는 것의 기초가 된다. “우리 구세주에게서 볼 수 있었던 것이 그분의 성사들로 넘어갔기”(28) 때문이다.
1116 “Virtutes quae exeunt” de corpore Christi, semper viventis et vivificantis, actiones Spiritus Sancti in Eius corpore operantis quod est Ecclesia, sacramenta “opera capitalia Dei” sunt in Novo et aeterno Foedere.
1116 성사들은 언제나 살아 계시며 생명을 주시는 그리스도의 몸에서 “나오는 힘”이요,(29)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 안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행위이다. 성사들은 새롭고 영원한 계약 안에서 이루어지는 ‘하느님의 걸작’이다.

II. Ecclesiae sacramenta

II. 교회의 성사

1117 Ecclesia, per Spiritum qui eam “in omnem veritatem” (Io 16,13) deducit, hunc thesaurum a Christo receptum paulatim agnovit eiusque “dispensationem” determinavit sicut pro sacrarum Scripturarum canone fecit et fidei doctrina, tamquam fidelis mysteriorum Dei dispensatrix. Sic Ecclesia saeculorum discrevit decursu, inter suas celebrationes liturgicas, septem esse quae, sensu huius termini proprio, sacramenta sunt a Domino instituta.
1117 “모든 진리 안으로”(요한 16,13) 인도하시는 성령을 통하여, 교회는 그리스도께 받은 이 보화를 점차 알아보게 되었고, 하느님의 신비들을 맡은 충실한 관리자로서,(30) 성경의 정경과 신앙 교리에 대하여 그랬듯이, 이 보화의 분배에 대해서도 명확히 규정하였다. 이처럼 교회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자신이 거행하는 전례들 가운데 엄밀한 의미에서 주님께서 세우신 성사는 일곱 가지가 있다는 것을 식별하게 되었다.
1118 Sacramenta, hoc duplici sensu, sunt “Ecclesiae”: ea sunt “per illam” et “pro illa”. Sunt “per Ecclesiam” quia haec sacramentum est actionis Christi in ea per Spiritus Sancti missionem operantis. Et sunt “pro Ecclesia”, sunt “sacramenta [...] quibus aedificatur Ecclesia”, quippe quae hominibus, praesertim in Eucharistia, mysterium communionis Dei-Amoris, Unius in Tribus Personis, manifestant et communicant.
1118 성사는 ‘교회를 통하여’, ‘교회를 위하여’ 존재한다는 두 가지 의미에서 ‘교회의’ 성사이다. 성사가 ‘교회를 통하여’ 존재한다는 것은, 교회가 그 안에서 성령의 파견으로 활동하시는 그리스도의 ‘성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성사들은 특히 성체성사 안에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 사랑의 친교의 신비를 인간들에게 보여 주고 나누어 주기 때문에 “교회를 위한” 것이며, “교회를 이루는 성사”(31) 이다.
1119 Ecclesia, cum Christo-Capite constituens “unam dumtaxat [...] mysticam personam”, in sacramentis operatur tamquam “communitas sacerdotalis” “organice exstructa”: per Baptisma et Confirmationem, populus sacerdotalis ad liturgiam celebrandam fit aptus; ex altera parte, quidam fideles, sacro Ordine insigniti, “ad Ecclesiam verbo et gratia Dei pascendam, Christi nomine instituuntur”.
1119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더불어 “오직 하나의 신비체”(32) 를 이루는 교회는, 성사 안에서 “유기적 구조”(33) 를 지닌 ‘사제 공동체’로서 활동한다. 세례성사와 견진성사를 통하여 사제적 백성은 전례를 거행할 자격을 갖추게 된다. 한편 어떤 신자들은 성품성사를 받아 “하느님의 말씀과 은총으로 교회를 사목하도록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워진다.”(34)
1120 Ministerium ordinatum seu “sacerdotium ministeriale” in sacerdotii baptismalis est servitium. Illud Christum revera, in sacramentis, agere per Spiritum Sanctum pro Ecclesia praestat. Missio salutis a Patre Eius Filio incarnato concredita, Apostolis committitur et per eos successoribus eorum: hi Spiritum Sanctum Iesu accipiunt ad agendum in nomine et in persona Eius. Sic ministerium ordinatum vinculum est sacramentale quod actionem liturgicam coniungit cum eo quod Apostoli dixerunt et fecerunt, et, per illos, cum eo quod Christus, sacramentorum fons et fundamentum, dixit et fecit.
1120 서품(敍品) 직무 또는 “직무 사제직”(35) 은 세례로 받은 보편 사제직에 봉사한다. 서품 직무는 성사들 안에서, 성령을 통하여, 교회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활동하고 계심을 보증한다. 성부께서 강생하신 성자께 맡기신 구원의 사명은 사도들에게 위임되었으며, 사도들을 통하여 그 후계자들에게 위임되었다. 그들은 예수님의 이름으로 예수님을 대신하여 일하도록 그분의 성령을 받는다.(36) 이처럼 서품 직무는 사도들이 말하고 행한 것과 전례 행위를 연결하는 성사적인 끈이며, 사도들을 통하여 전례 행위를 성사의 근원이며 설립자이신 그리스도께서 말하고 행하신 것과 연결하는 끈이기도 하다.
1121 Tria sacramenta Baptismi, Confirmationis et Ordinis, praeter gratiam, sacramentalem conferunt characterem seu “signum” per quod christianus Christi participat sacerdotium et Ecclesiae fit pars secundum status et munera diversa. Haec configuratio Christo et Ecclesiae, a Spiritu effecta, indelebilis est, perpetuo permanet in christiano tamquam dispositio positiva pro gratia, tamquam promissio et cautio protectionis divinae atque tamquam vocatio ad cultum divinum et ad Ecclesiae servitium. Haec igitur sacramenta numquam possunt iterari.
1121 세례, 견진, 성품 이 세 성사는 성사의 은총뿐 아니라 성사의 인호(印號), 곧 ‘인장’을 새겨 준다. 이 인호를 통하여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의 사제직에 참여하며, 각기 다른 신분과 역할에 따라 교회의 지체를 이룬다. 성령으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와 하나 되고 교회와 하나 되는 이 동화(同化:configuratio)는 결코 소멸될 수 없는 것이다.(37) 그리스도인 안에서 영원히 지속되는 이 동화는 은총을 받기 위한 조건이고, 하느님의 보호에 대한 약속과 보증이며, 하느님 예배와 교회 봉사에 대한 소명이다. 그러므로 이 성사들은 결코 다시 받을 수 없다.

III. Sacramenta fidei

III. 신앙의 성사

1122 Christus Suos Apostolos misit ut praedicent “in nomine Eius paenitentiam in remissionem peccatorum in omnes gentes” (Lc 24,47). “Docete omnes gentes, baptizantes eos in nomine Patris et Filii et Spiritus Sancti” (Mt 28,19). Missio baptizandi, missio igitur sacramentalis, in missione evangelizandi implicatur, quia sacramentum a verbo Dei et a fide praeparatur quae huic verbo est assensus:
1122 그리스도께서는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가 그의 이름으로 모든 민족들에게”(루카 24,47) 선포되도록 사도들을 파견하셨다.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들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어라”(마태 28,19). 성사는 하느님의 말씀과 이 말씀에 대한 동의인 신앙을 통해서 준비되는 것이기에, 세례를 주는 사명, 곧 성사들을 거행하는 사명은 복음 전파의 사명에 포함되어 있다.
“Populus Dei primum coadunatur Verbo Dei vivi [...]. Verbi praedicatio requiritur ad ipsum ministerium sacramentorum, quippe quae sint sacramenta fidei, quae de Verbo nascitur et nutritur”.
하느님의 백성은 그 무엇보다도 먼저 살아 계신 하느님의 말씀으로 모이며……말씀의 선포가 성사 집전 그 자체에 필요하다. 성사는 모두 신앙의 성사이며, 신앙은 말씀에서 생기고 자라나기 때문이다.(38)
1123 “Sacramenta ordinantur ad sanctificationem hominum, ad aedificationem corporis Christi, ad cultum denique Deo reddendum; ut signa vero etiam ad instructionem pertinent. Fidem non solum supponunt, sed verbis et rebus etiam alunt, roborant, exprimunt; quare fidei sacramenta dicuntur”.
1123 “성사는 인간의 성화와 그리스도 몸의 건설, 그리고 하느님께 드리는 경배를 지향하며, 표징들로서 교육에도 기여한다. 성사는 신앙을 전제할 뿐 아니라 말씀과 사물로 신앙을 기르고 굳건하게 하고 드러낸다. 그래서 신앙의 성사들이라고 한다.”(39)
1124 Ecclesiae fides fidem praecedit fidelis, qui invitatur ut illi adhaereat. Cum Ecclesia sacramenta celebrat, fidem profitetur ab Apostolis receptam. Inde vetus adagium: “Lex orandi, lex credendi” (vel: “Legem credendi lex statuat supplicandi”, secundum Prosperum Aquitanum [saeculo quinto]). Lex orationis est lex fidei. Ecclesia credit sicut orat. Liturgia elementum est constituens sanctae et vivificae Traditionis.
1124 교회의 신앙은 그 신앙에 초대된 신자들의 신앙에 앞선다. 교회는 성사를 거행하면서 사도들에게서 받은 신앙을 고백한다. 그래서 “기도하는 대로 믿는다.”(또는 5세기 프로스페루스 아퀴타누스가 말한 “기도의 법칙은 신앙의 법칙을 세운다.”)(40) 는 옛 격언이 생긴 것이다. 기도의 법은 신앙의 법이며, 교회는 자신이 기도하는 대로 믿는다. 전례는 살아 있는 성전(聖傳)을 구성하는 요소이다.(41)
1125 Hac de causa, nullus ritus sacramentalis potest ad placitum ministri vel communitatis mutari vel ad eorum variari commodum. Ipsa auctoritas Ecclesiae suprema non potest liturgiam ad placitum commutare suum, sed solummodo in oboedientia fidei et in religiosa mysterii liturgiae observantia.
1125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성사 예식도 사제나 공동체가 마음대로 변경하거나 조작해서는 안 된다. 심지어 교회의 최고 권위자도 전례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으며, 오로지 신앙에 순종하고 전례의 신비를 경건하게 존중하는 가운데 전례를 개정할 수 있다.
1126 Ceterum, quia sacramenta communionem fidei in Ecclesia exprimunt et explicant, lex orandi quoddam est e criteriis essentialibus dialogi qui unitatem christianorum intendit restaurare.
1126 한편, 성사들은 교회 안에서 신앙의 일치를 표현하고 발전시키기 때문에 기도하는 법은 그리스도인들의 일치 회복을 위한 대화에서 근본 기준의 하나이다.(42)

IV. Sacramenta salutis

IV. 구원의 성사

1127 Sacramenta, in fide digne celebrata, gratiam conferunt quam significant. Sunt efficacia quia in eis Ipse Christus operatur: Ipse est qui baptizat, Ipse est qui in Suis agit sacramentis ut gratiam communicet quam sacramentum significat. Pater orationem Ecclesiae Filii Sui semper exaudit, quae, in uniuscuiusque sacramenti Epiclesi, suam fidem exprimit in virtutem Spiritus. Sicut ignis transformat in se quidquid tangit, Spiritus Sanctus in vitam transformat divinam id quod Eius virtuti submittitur.
1127 신앙 안에서 정당하게 거행된 성사는 그 성사가 의미하는 은총을 준다.(43) 성사는 그 안에 그리스도께서 일하고 계시기 때문에 유효하다. 세례를 주시는 분도 그리스도이시고, 성사가 의미하는 은총을 주시기 위해 성사 안에서 활동하시는 분도 그리스도이시다. 성부께서는 각 성사의 성령 청원 기도에서 성령의 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는 당신 성자의 교회가 바치는 기도를 늘 들어주신다. 마치 불이 자기에게 닿는 모든 것을 태워 불로 변화시키듯이 성령께서는 당신의 힘을 받아들이는 모든 것을 하느님의 생명으로 변화시키신다.
1128 Hic est sensus affirmationis Ecclesiae: sacramenta agunt ex opere operato (seu “ex ipso facto quod actio adimpleta est”), id est, virtute salvifici operis Christi, semel pro semper adimpleti. Inde hoc sequitur: “non [...] sacramentum perficitur per iustitiam hominis dantis vel suscipientis, sed per virtutem Dei”. Eo ipso quod sacramentum secundum intentionem Ecclesiae celebratur, virtus Christi et Eius Spiritus in eo et per id operatur independenter a sanctitate personali ministri. Tamen, sacramentorum fructus etiam a dispositionibus dependent illius qui ea recipit.
1128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는 다음과 같이 단언한다.(44) 성사들은 ‘사효적으로’(ex opere operato: ‘성사 거행 그 자체로’) 효력을 가진다. 곧, 단 한 번에 영원히 성취된 그리스도의 구원 업적으로 효력을 가진다. 따라서 “성사는 그것을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의 의로움이 아닌 하느님의 능력으로 이루어진다.”(45) 성사가 교회의 의향에 따라 거행되면 집전자의 개인적인 성덕과 관계없이 그리스도와 그분 성령의 힘이 성사 안에서 성사를 통하여 작용한다. 그렇지만 성사가 맺는 결실은 그것을 받는 사람의 마음가짐에도 달려 있다.
1129 Ecclesia affirmat sacramenta Novi Foederis esse pro credentibus ad salutem necessaria. “Gratia sacramentalis” est gratia Spiritus Sancti a Christo donata et unicuique sacramento propria. Spiritus sanat et transformat illos qui Eum recipiunt Filio Dei ipsos conformans. Vitae sacramentalis fructus est, ut Spiritus adoptionis fideles deificet, eos modo vitali cum Filio unico, Salvatore, coniungens.
1129 교회는 신약의 성사들이 신자들의 구원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말한다.(46) ‘성사의 은총’은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성령의 은총이며, 각 성사에 고유한 것이다. 성령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인 사람들을 성자와 같아지게 함으로써 치유하고 변화시키신다. 성사 생활의 효과는 인간을 하느님의 자녀가 되게 하는 성령께서 신자들을 외아들이신 구세주와 근본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다.(47)

V. Sacramenta vitae aeternae

V. 영원한 생명의 성사

1130 Ecclesia mysterium Domini sui celebrat “donec veniat” (1 Cor 11,26) et “sit Deus omnia in omnibus” (1 Cor 15,28). Inde ab aetate apostolica, liturgia ad suum trahitur finem per gemitum Spiritus in Ecclesia: “Marana tha!” (1 Cor 16,22). Sic liturgia desiderium participat Iesu: “Desiderio desideravi hoc Pascha manducare vobiscum, [...] donec impleatur in Regno Dei” (Lc 22,15-16). In Christi sacramentis, Ecclesia iam recipit arrabonem Eius hereditatis, iam vitam participat aeternam, licet exspectans “beatam spem et adventum gloriae magni Dei et Salvatoris nostri Iesu Christi” (Tit 2,13). “Et Spiritus et Sponsa dicunt: "Veni!" [...] Veni, Domine Iesu!” (Apc 22,17.20).
1130 교회는 “주님께서 오실 때까지”(1코린 11,26), “하느님께서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 때까지”(1코린 15,28) 주님의 신비를 기념한다. 전례는 사도 시대부터 교회 안에 계시는 성령의 “마라나 타”(Marana tha! 저희의 주님, 오십시오!, 1코린 16,22)라는 부르짖음을 통해서 그 완성을 향하여 인도되어 간다. 그러므로 전례에서 기원하는 것은 예수님께서 바라시는 것과 같은 것이다. “파스카 축제가 하느님의 나라에서 다 이루어질 때까지……나는 너희와 함께 이 파스카 음식을 먹기를 간절히 바랐다”(루카 22,15-16). 교회는 “복된 희망이 이루어지기를, 우리의 위대하신 하느님이시며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이 나타나기를 기다리면서”(티토 2,13) 그리스도의 성사들 안에서 자신의 상속에 대한 보증을 받으며, 이미 영원한 생명에 참여하고 있다. “성령과 신부가 ‘오십시오.’ 하고 말씀하신다.……오십시오, 주 예수님!”(묵시 22,17.20)
Sanctus Thomas ita diversas signi sacramentalis rationes compendiat: “Sacramentum est et signum rememorativum eius quod praecessit, scilicet passionis Christi; et demonstrativum eius quod in nobis efficitur per Christi passionem, scilicet gratiae; et prognosticum, idest praenuntiativum, futurae gloriae”.
토마스 성인은 성사의 표징이 가지는 서로 다른 여러 차원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성사는 전에 있었던 일, 곧 그리스도의 수난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는 표징이다. 성사는 그리스도의 수난으로 우리 안에 현재에 이루어지는 일, 곧 은총을 보여 준다. 성사는 수난이 예표하는 것, 곧 장차 나타날 영광을 예고한다.”(48)

Compendium

간추림

1131 Sacramenta sunt signa efficacia gratiae, a Christo instituta et Ecclesiae concredita, per quae vita divina nobis praebetur. Ritus visibiles quibus sacramenta celebrantur, gratias significant et efficiunt unicuique sacramento proprias. Fructum ferunt in illis qui ea cum requisitis recipiunt dispositionibus.
1131 성사는 그리스도께서 세우시고 교회에 맡기신 은총의 유효한 표징들로서, 이 표징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생명이 우리에게 베풀어진다. 성사 거행의 가시적인 예식은 각 성사에 고유한 은총을 나타내며 이를 실현한다. 성사는 합당한 마음가짐으로 받는 사람들에게서 열매를 맺는다.
1132 Ecclesia sacramenta celebrat tamquam sacerdotalis communitas a sacerdotio baptismali et ab illo ministrorum ordinatorum exstructa.
1132 교회는 세례 사제직(보편 사제직)과 성품 사제직(직무 사제직)으로 구성된 사제적 공동체로서 성사들을 거행한다.
1133 Spiritus Sanctus ad sacramenta per Verbum Dei praeparat et per fidem quae Verbum accipit in cordibus bene dispositis. Tunc sacramenta fidem roborant et exprimunt.
1133 성령께서는 하느님의 말씀과, 잘 준비된 마음으로 그 말씀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신앙을 통하여, 성사에 참여할 준비를 갖추도록 하신다. 그럴 때 성사는 신앙을 굳건하게 하고 표현한다.
1134 Vitae sacramentalis fructus est simul personalis et ecclesialis. Ex altera parte, hic fructus pro omni fideli est vita pro Deo in Iesu Christo; ex altera, pro Ecclesia est augmentum in caritate et in eius missione testimonii.
1134 성사 생활의 열매는 개인적이며 동시에 교회적이다. 한편으로 신자 개개인에게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느님을 위한 삶을, 다른 한편으로 교회에게는 사랑과 증거의 사명에서 성장을 이루어 준다.
맨 처음이전 1 2 다음맨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