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OECONOMIA SACRAMENTALIS CAPUT SECUNDUM SACRAMENTALIS CELEBRATIO MYSTERII PASCHALIS ARTICULUS 1 ECCLESIAE LITURGIAM CELEBRARE
교회 교리서

Sanctae imagines

성화상

1159 Sacra imago, liturgica icon, Christum praecipue repraesentat. Ipsa Deum invisibilem et incomprehensibilem nequit repraesentare; Filii Dei Incarnatio novam inauguravit imaginum “oeconomiam”
1159 성화와 전례에 쓰이는 성화상(icon)은 주로 그리스도를 그리고 있다. 볼 수 없고 알 수 없는 하느님을 성화상(聖畵像)으로 표현할 수 없었으나, 하느님의 아들이 사람이 되심으로써 성화상의 새로운 ‘경륜’이 열렸다.
“Olim Deus, ut corporis ac figurae expers, imagine nequaquam repraesentabatur. Nunc vero postquam in carne visus est Deus, et cum hominibus conversatus est, qua parte conspiciendum Se praebuit, Dei imaginem efformo. [...] Nos autem revelata facie gloriam Domini speculamur”
전에는 육신도 형체도 갖지 않으신 하느님을 결코 그림으로 나타낼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하느님께서 육신으로 나타나시어 사람들 가운데 사신 이후로 이제는 내가 본 하느님을 그릴 수 있습니다. …… 가려지지 않은 그 얼굴에서 우리는 주님의 영광을 볼 수 있습니다.(33)
1160 Per imaginem christiana iconographia evangelicum transcribit nuntium, quem sacra Scriptura transmittit per Verbum. Imago et Verbum sese mutuo explanant:
1160 그리스도교의 성화상은 성경이 언어로 전하는 복음의 메시지를 형상으로 옮긴다. 형상과 언어는 서로를 분명하게 해 준다.
“Ut compendiose fateamur, omnes ecclesiasticas sive scripto, sive sine scripto sancitas nobis traditiones illibate servamus; quarum una est etiam imaginalis picturae formatio, quae historiae evangelicae praedicationis concinit, ad certitudinem verae et non secundum phantasiam Dei Verbi inhumanationis effectae, et ad similem nobis utilitatem commode proficiens. Quae namque se mutuo indicant, indubitanter etiam mutuas habent significationes”
신앙을 간결하게 고백하기 위해서, 우리는 글이나 글 아닌 것으로 변함없이 전해진 교회의 모든 전통을 보존한다. 그 전통 중의 하나가 복음 선포와 부합되는 그림으로 표현하는 전통이다. 말씀이신 하느님께서 외형적으로가 아니라 참으로 사람이 되셨다는 사실을 믿는 우리가 보기에 이러한 그림들은 유용하고 유익한 것이다. 서로를 밝혀 주는 형상과 언어는 의심할 여지 없이 서로 그 의미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34)
1161 Omnia celebrationis liturgicae signa ad Christum referuntur: etiam sacrae imagines sanctae Dei Genetricis et sanctorum. Ipsae revera significant Christum qui in illis glorificatur. Ipsae manifestant “nubem testium”(Heb 12,1) qui in mundi salute participare pergunt et quibus in celebratione sacramentali praecipue coniungimur. Per eorum icones, homo, “ad imaginem Dei” effectus, tandem “ad Eius similitudinem” transfiguratus, nostrae revelatur fidei, atque per easdem etiam angeli, qui et ipsi in Christo sunt recapitulati:
1161 전례 거행의 모든 표징은 그리스도에 관한 것이다. 천주의 성모와 성인들의 성화상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성화상들은 그들 안에서 영광을 받으시는 그리스도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것은 세상 구원에 계속 참여하는 “구름처럼 많은 증인들”(히브 12,1)을 보여 주며, 우리는 특히 성사 거행 안에서 이들과 결합된다. 우리 신앙은 이러한 성화상을 통하여 ‘하느님의 모습으로’ 창조되어 마침내 “하느님의 모습을 닮도록”(35) 변화된 인간과 천사들을 본다. 그들은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여 완전히 하나가 된 모습이다.
“Sequentes [...] divinitus inspiratum sanctorum Patrum nostrorum magisterium, et catholicae Traditionem Ecclesiae (nam Spiritus Sancti hanc esse novimus, qui nimirum in ipsa inhabitat), definimus in omni certitudine ac diligentia, sicut figuram pretiosae ac vivificae crucis, ita venerabiles ac sanctas imagines proponendas tam quae de coloribus et tessellis, quam quae ex alia materia congruenter in sanctis Dei ecclesiis, et sacris vasis et vestibus, et in parietibus ac tabulis, domibus et viis: tam videlicet imaginem Dei ac Salvatoris nostri Iesu Christi, quam intemeratae Dominae nostrae sanctae Dei Genitricis, honorabiliumque angelorum et omnium sanctorum simul et almorum virorum”
하느님의 영감을 받은 우리 교부들의 가르침과 가톨릭 교회의 전승에 따라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확실하고도 명확하게 결정한다. (교회의 전승은 바로 교회 안에 계시는 성령의 전승이라고 우리는 믿는다.) 그림으로 그려졌거나, 모자이크로 만들어졌거나 또는 다른 적절한 재료로 만들어진 유서 깊고 거룩한 그림들과, 귀중하고 생명을 주는 십자가상은 하느님의 성당과 제기들과 제의에, 벽과 화판에, 집안과 거리에 모셔야 한다. 그리고 하느님이시며 구세주이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형상이나, 순결하신 우리 주 천주 성모의 성화상이나 거룩한 천사들과 모든 성인들의 성화상도 마찬가지이다.(36)
1162 “Imaginum pulchritudo et colores meam stimulant orationem. Aspectum movent picturae flores, atque ad instar prati visum oblectant meum, et Dei gloriam sensim instillant animo” Sanctarum iconum contemplatio, simul cum Verbi Dei meditatione et hymnorum liturgicorum cantu, ad signorum celebrationis harmoniam accedit ut mysterium celebratum in cordis imprimatur memoria et deinde in vita nova exprimatur fidelium.
1162 “성화상의 아름다움과 색채는 나의 기도를 고무시킵니다. 전원 풍경이 나의 마음을 자극하여 하느님의 영광을 찬미하게 하는 것처럼 성화상을 보는 것은 내 눈을 즐겁게 하는 축제와 같습니다.”(37) 성화상을 보는 일은 하느님 말씀에 대한 묵상과 전례의 찬미가와 합쳐져, 전례 거행의 표징들과 조화를 이룬다. 그리하여 전례가 기념하는 신비가 마음속에 기억되고, 나아가 신자들의 새로운 생활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