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PRIMA OECONOMIA SACRAMENTALIS CAPUT SECUNDUM SACRAMENTALIS CELEBRATIO MYSTERII PASCHALIS ARTICULUS 1 ECCLESIAE LITURGIAM CELEBRARE
교회 교리서

Annus liturgicus

전례주년

1168 Novum tempus Resurrectionis, inde a Triduo Paschali, tamquam a suo fonte luminis, totum annum liturgicum sua replet claritate. Pedetentim, in alio et alio huius fontis latere, per liturgiam transfiguratur annus. Ipse est revera annus Domini acceptus. Oeconomia salutis intra temporis operatur quadrum, sed, inde ab eius adimpletione in Iesu Paschate et in Spiritus Sancti effusione, finis historiae anticipatur “praegustu” et Regnum Dei nostra ingreditur tempora.
1168 빛의 근원인 파스카 성삼일에서 시작하여 부활의 새로운 시기는 전례주년 전체를 찬란히 비춘다. 이 근원을 중심으로, 한 부분에서 다른 부분으로 점차 옮겨감으로써 한 해는 전례를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갖게 된다. 전례주년은 참으로 “주님의 은혜로운 해”이다.(48) 구원 경륜은 시간의 틀 안에서 펼쳐지고 있다. 그러나 그 구원 경륜이 예수님의 파스카와 성령의 파견으로 완성된 뒤에 역사의 종말이 ‘미리 맛봄’으로 실현되었고, 하느님 나라가 우리 시간 안으로 들어왔다.
1169 Hac de causa, Pascha festivitas quaedam inter alias simpliciter non est: ipsa est “Festivitas festivitatum” “Sollemnitas sollemnitatum” sicut Eucharistia sacramentum est sacramentorum (magnum sacramentum). Sanctus Athanasius illud “magnam Dominicam” appellat, quemadmodum Hebdomada sancta apud Orientales “Magna Hebdomada” appellatur. Resurrectionis mysterium, in quo Christus mortem abolevit, Sua potenti virtute nostrum vetus penetrat tempus, donec omnia Ei subiiciantur.
1169 그렇기 때문에 부활절은 단순히 여러 축일들 중의 하나가 아니라, 마치 성체성사가 성사 중의 성사(큰 성사)인 것처럼, ‘축일 중의 축일’, ‘대축일 중의 대축일’이다. 아타나시오 성인은 동방 교회가 성주간을 “대주간”이라고 부르듯이 이날을 “대주일”(49) 이라고 부른다. 그리스도께서 죽음을 쳐 이기신 부활의 신비는 모든 것이 그분께 굴복할 때까지 그 힘찬 능력으로 우리의 낡은 시대를 새롭게 한다.
1170 In Concilio Nicaeno (anno 325), omnes Ecclesiae consenserunt ut Pascha christianum die celebraretur Dominica quae plenilunium (14 Nisan) post aequinoctium subsequitur vernum. Propter diversas methodos ad diem 14 mensis Nisan calculandum adhibitas, Paschatis dies in Ecclesiis Occidentis et Orientis non semper simul incidit. Quapropter ipsae hodie consensionem quaerunt qua perveniant ad diem resurrectionis Domini communi tempore iterum celebrandam.
1170 니케아 공의회(325년)에서 모든 교회들은 춘분 후 만월(니산월 14일) 뒤에 오는 주일에 그리스도교의 부활절을 지내기로 합의했다. 니산월 14일을 계산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부활절 날짜는 항상 같지는 않다. 그래서 서방 교회와 동방 교회는 다시 주님의 부활절을 같은 날에 지내기 위해 합의점을 찾고 있는 중이다.
1171 Annus liturgicus est diversarum rationum unius mysterii Paschalis explicatio. Id praesertim valet de cyclo festivitatum circa Incarnationem (de Annuntiatione, Nativitate, Epiphania), quae initium nostrae commemorant salutis et mysterii Paschalis nobis communicant primitias.
1171 전례주년은 파스카라는 단 하나의 신비가 지닌 다양한 측면이 전개되는 것이다. 특히 우리 구원의 시작을 기념하고 우리에게 파스카 신비의 첫 열매를 전해 주는, 강생의 신비가 중심이 되는 축일들(주님 탄생 예고, 예수 성탄, 주님 공현)의 주기(週期)도 그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