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교리서 DOCTRINE

가톨릭 교리서

검색 (목차 또는 내용) 검색

PARS SECUNDA MYSTERII CHRISTIANI CELEBRATIO

교회 교리서
SECTIO SECUNDA SEPTEM ECCLESIAE SACRAMENTA CAPUT PRIMUM INITIATIONIS CHRISTIANAE SACRAMENTA ARTICULUS 3 SACRAMENTUM EUCHARISTIAE
교회 교리서

Signa panis et vini

빵과 포도주의 표징

1333 In corde celebrationis Eucharistiae habentur panis et vinum quae, per Christi verba et per Spiritus Sancti invocationem, corpus et sanguis Christi fiunt. Ecclesia, mandato Domini fidelis, in Eius memoriam, usque ad reditum Eius gloriosum, agere pergit id quod Ipse Suae passionis egit pridie: “Accepit panem...” “Accepit calicem, ex genimine vitis repletum...”. Panis et vini signa, cum corpus et sanguis Christi arcano modo efficiuntur, creationis etiam significare pergunt bonitatem. Sic in Offertorio, gratias agimus Creatori propter panem et vinum, fructum “operis manuum hominum” sed etiam prius “fructum terrae” atque “vitis” Creatoris igitur dona. Ecclesia in gestu Melchisedech, regis et sacerdotis, qui protulit “panem et vinum”(Gn 14,18), propriae suae oblationis perspicit praefigurationem.
1333 성찬례 거행의 중심에 놓여 있는 빵과 포도주는 그리스도의 말씀과 성령 청원 기도를 통해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된다. 주님의 명을 충실히 따르는 교회는 주님께서 영광스럽게 다시 오실 때까지 주님을 기념하면서, 주님께서 수난 전날 밤에 행하신 의식을 계속한다. “그리스도께서는 빵을 들어……”, “포도주가 담긴 잔을 들어…….” 빵과 포도주의 표징은 신비롭게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변화되면서도 창조계의 좋은 생산물이라는 의미도 잃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는 ‘봉헌’ 때에 빵과 포도주에 대하여 창조주께 감사드린다.(164) 빵과 포도주는 땅을 가꾼 ‘인간 노동’의 결과일 뿐 아니라 창조주께서 주신 ‘땅’과 ‘포도나무’의 열매이기 때문이다. “빵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온”(창세 14,18) 왕이며 사제인 멜키체덱의 행위를 교회는 자신이 드리는 봉헌의 예표로 본다.(165)
1334 In Vetere Foedere, panis et vinum, inter terrae primitias, offeruntur velut sacrificium, tamquam signum gratitudinis erga Creatorem. Sed ea novam etiam accipiunt in contextu Exodi significationem: Panes azymi, quos Israel singulis annis in Paschate edebat, festinationem commemorant liberatoris exitus ex Aegypto; recordatio manna deserti semper Israel commemorabit, ipsum ex pane Verbi Dei vivere. Panis denique quotidianus est Terrae promissae fructus, pignus fidelitatis Dei promissionibus Eius. “Calix benedictionis”(1 Cor 10,16), ad finem convivii Paschalis Iudaeorum, gaudio festivo vini rationem addit eschatologicam, illam messianicae exspectationis restitutionis Ierusalem. Iesus Suam instituit Eucharistiam, sensum novum praebens et definitivum benedictioni panis et calicis.
1334 구약 시대에는 창조주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서, 땅에서 나는 맏물들 가운데 빵과 포도주를 제물로 바쳤다. 그런데 이것들이 이집트 탈출 사건에서 새로운 의미를 얻게 되었다. 이스라엘 백성이 해마다 파스카 때에 먹는 누룩 없는 빵은 이집트 종살이에서 벗어나기 위해 서둘러 떠났음을 기념하는 것이며, 광야에서 먹은 만나에 대한 기억은 이스라엘이 하느님 말씀의 빵으로 살아간다는 것을 늘 상기하게 한다.(166) 그들이 날마다 먹는 빵은 하느님께서 당신의 약속에 충실하시다는 보증으로 주신 약속된 땅의 산물이다. 유다인들이 파스카 식사 끝에 마시는 “축복의 잔”(1코린 10,16)은 포도주가 지닌 축제의 기쁨에 종말론적 차원, 곧 예루살렘을 재건할 메시아에 대한 기다림이라는 소망을 더한다. 예수님께서는 빵과 포도주의 축복에 새롭고 결정적인 의미를 부여하시면서 성체성사를 세우셨다.
1335 Miracula multiplicationis panum, cum Dominus benedictionem dixit, panes fregit et per Suos discipulos ad multitudinem nutriendam distribuit, superabundantiam praefigurant unius huius panis Eucharistiae Eius. Signum aquae in vinum mutatae in Cana, iam Horam annuntiat glorificationis Iesu. Ipsum consummationem manifestat convivii nuptiarum in Patris Regno, in quo fideles novum vinum bibent sanguinem Christi effectum.
1335 주님께서 군중을 먹이시려고 빵을 축복하시고 떼어서 제자들을 시켜 나누어 주신 빵의 기적은, 당신 성찬의 이 유일한 빵이 말할 수 없이 풍요함을 예시한다.(167) 카나에서 물을 포도주로 변하게 한 표징은(168) 예수님께서 영광스럽게 되실 ‘때’를 이미 예고하고 있으며, 신자들이 그리스도의 피로 변한 새로운 포도주를 마시게 될(169) 하느님 나라 혼인 잔치의 실현을 나타낸다.
1336 Prima Eucharistiae annuntiatio discipulos divisit, sicut illos passionis annuntiatio scandalizavit: “Durus est hic sermo! Quis potest eum audire-”(Io 6,60). Eucharistia et crux petrae sunt scandali. Idem est mysterium et occasio esse non desinit divisionis. “Numquid et vos vultis abire-”(Io 6,67): haec Domini interrogatio per aetates resonat, tamquam invitatio amoris Eius ad detegendum, Ipsum esse unum qui habeat “verba vitae aeternae”(Io 6,68), atque in fide accipere donum Eucharistiae Eius esse Ipsum accipere.
1336 수난 예고가 제자들을 혼란에 빠지게 하였듯이, 성체성사에 대한 첫 번째 예고도 제자들을 분열시켰다. “이 말씀은 듣기가 너무 거북하다. 누가 듣고 있을 수 있겠는가-”(요한 6,60) 성체와 십자가는 걸림돌이다. 그것은 동일한 신비이며 끊임없이 분열을 일으키는 계기가 된다. “너희도 떠나고 싶으냐-”(요한 6,67) 주님의 이 질문은 오랜 세월을 통해 울려 퍼지고 있다. 이 질문은 또한 당신만이 “영원한 생명의 말씀”(요한 6,68)을 가지고 계시다는 것을 깨닫고, 그분이 주시는 성찬의 선물을 신앙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곧 그분을 받아들이는 것임을 깨달으라는 사랑에 찬 권유이다.